동양고전종합DB

古文眞寶前集

고문진보전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고문진보전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把酒問月
李白
靑天有月來幾時
我今停杯一問之
人攀明月不可得이나
月行却與人相隨
皎如飛鏡臨丹闕하니
綠煙滅盡淸輝發이라
但見宵從海上來하니
寧知曉向雲間沒
秋復春이요
孤栖與誰隣
今人不見古時月이나
今月曾經照古人이라
古人今人若流水하니
共看明月皆如此
惟願當歌對酒時
月光長照金樽裏


술잔을 잡고 달에게 묻다
이백
푸른 하늘에 달 있은 지 얼마나 되었는가
내 이제 술잔 멈추고 한번 묻노라.
사람은 明月에 오를 수 없으나
달의 運行은 도리어 사람과 서로 따르네.
밝기는 나는 거울이 붉은 궁궐에 임한 듯하니
푸른 안개 모두 사라지자 맑은 빛 발하누나.
다만 밤마다 바다 위로부터 옴 볼 뿐이니
어찌 새벽이면 구름 사이로 없어짐 알겠는가.
옥토끼는 약방아 찧되 가을과 또 봄에 하며
姮娥는 외로이 깃들어 누구와 이웃하는가.
지금 사람은 옛 달 보지 못하였으나
지금 달은 일찍이 옛사람 비추었다오.
옛사람과 지금 사람 흐르는 물 같으니
함께 밝은 달 보고 이와 같이 느꼈으리라.
오직 원하노니 노래하고 술 마실 때에는
달빛이 언제나 금술잔 속에 비췄으면 하네.
賞析
이 시는《李太白集》20권에 실려 있는 바, 自注에 “친구인 賈淳이 나로 하여금 이것을 묻게 하였다.”는 내용이 있다. 이백의 기개가 豪放하므로 그가 지은 문장도 豪誕함을 엿볼 수 있다. 영원하고 아름다우며 신비한 달의 형상을 묘사하고, 이를 통하여 시인 자신의 고고하여 세속을 초탈한 모습을 드러내었다.
李玄錫〈1647(인조 25)-1703(숙종 29)〉의《游齋集》3권에 이 시를 본떠서 지은 시가 있다.
“내게 椒花酒 한 말 있으니 술잔 들고 달을 맞이하여 벗을 부르듯 하였다오. 둥근 달 그림자 술잔속에 드리워져 술에 섞여 시인의 입속으로 들어갔지만, 술 마시고 달을 보니 여전히 하늘에 있길래 크게 웃으며 달에게 아무 탈 없느냐고 물었네. 천지가 개벽함으로부터 하늘에 달이 있어 우리 인간을 비추어준 지 또한 이미 오래네. 규방의 수심과 변방의 원망은 네가 매개가 되어서이고 취흥과 시흥 또한 네가 꾀어서이지. 향기를 풍기지만 세상 사람들 맡지 못하게 하고 약방아 찧지만 어찌 인간에게 수명을 연장해준 적 있었나. 다만 차고 기울어 백발을 재촉할 뿐인데 둥근달 급히 돌아 미쳐 달리는듯 하네. 내가 지금 물으나 달은 잠자코 있으니 나도 말을 잊고 술잔만 잡노라.[我有椒花酒一斗 擧盃邀月如呼友 月影團團落盃中 和酒倒入詞人口 吸罷見月猶在天 大笑問月無恙否 自天之開天有月 照我人間亦已久 閨愁塞恨汝爲媒 麴生詩魔汝能誘 飄香不使世間聞 擣藥何曾借人壽 只見盈虧催白髮 氷輪急轉如狂走 我今問之月不語 我亦忘言但把酒]”
이외에 成俔〈1439(세종 21)-1504(연산군 10)〉의《虛白堂集》風雅錄 2권과 洪彦弼 〈1476(성종 7)-1549(명종 4)〉의《黙齋集》1권에도 같은 제목의 시가 실려 있다.


역주
역주1 玉兎擣藥 : 玉兎는 하얀 토끼로, 전설에 달 속에는 하얀 옥토끼가 있어 계수나무 아래에서 약방아를 찧어 인간에 뿌려 준다고 한다.
역주2 姮娥 : 嫦娥로도 쓰는 바, 달을 가리킨다. 전설상 有窮의 군주 夷羿의 아내가 長生不死하는 仙藥을 훔쳐 먹고 신선이 되어 月宮으로 들어가 항아가 되었다 한다.《淮南子 覽冥訓》
동영상 재생
1 파주문월 514

고문진보전집 책은 2017.12.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