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古文眞寶前集

고문진보전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고문진보전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燕思亭
馬存(子才)
李白騎鯨飛上天하니
江南風月閑多年이라
縱有高亭與美酒
何人一斗詩百篇

未到亭中名已好
紫蟹肥時晩稻香이요
黃鷄啄處秋風早
我憶金鑾殿上人
醉著宮錦烏角巾이라
이요
長鯨吸海萬壑貧이라
如傾元氣入胸腹하니
須臾百媚生陽春이라
讀書不必破萬卷이니
筆下自有鬼與神이라注+讀書不必破萬卷 筆下自有鬼與神 : 杜詩 讀書破萬卷하고 下筆如有神이라
我曹本是狂吟客이니
하라
他年須使襄陽兒
再唱滿街陌이라


燕思亭에서
마존(자재)
李白이 고래 타고 하늘로 날아오르니
江南의 風月 쓸쓸한 지 여러 해였네.
비록 높은 亭子와 아름다운 술 있으나
어느 사람이 술 한 말에 詩 백 편 지을까.
주인은 분명 금거북 풀어주고 술 산 노인이니
亭子 가운데에 이르기 전에 명성 이미 아름답네.
붉은 게 살찔 때에 늦벼 향기롭고
누런 닭 쪼는 곳에 가을바람 이르네.
내 생각하니 金鑾殿 위에 있던 李白은
취하여 宮中의 비단 도포에 烏角巾 쓰고 있었네.
巨靈이 산을 쪼개어 큰 河水 마르고
큰 고래 바닷물 들이켜 온 골짝의 물 다한 듯하네.
元氣를 기울여 가슴과 배에 부어 넣은 듯하니
삽시간에 온갖 文章 따뜻한 봄의 온화함 나오네.
독서에 굳이 만 권 讀破할 것 없으니
붓 아래에 자연 鬼神의 묘함 있다오.注+두보가 韋左丞에게 준 시에 “책을 읽어 만 권을 독파하고 붓을 잡고 글씨를 쓰면 귀신이 있는 듯하다.” 하였다.
우리들 본래 멋대로 시읊는 나그네이니
시내와 산에 말하노니 서로 생각하지 말라.
다른 해에 모름지기 襄陽의 아이들로 하여금
다시 銅鞮歌 불러 온 길거리에 가득하게 하리라.
賞析
이 시는 李白이 죽은 뒤 그의 文章을 이을 사람이 없음을 한탄한 것이다. 이 정자의 주인은 賀知章과 같은 풍모를 지녔지만 李白과 같은 客이 없음을 어이하겠는가. 초대받은 자신은 단지 狂吟客일 뿐이니, 어린아이들이 손뼉을 치며 조롱할 것이라고 한탄한 내용이다. 思亭의 소재는 알 수 없으나 아마도 이백이 일찍이 노닐며 시를 짓던 곳인 듯하다.


역주
역주1 主人定是金龜老 : 金龜老는 벼슬아치의 관복에 차는 금거북을 풀어주고 술을 산 노인이란 뜻으로 賀知章을 가리키는 바, 그는 李白을 보자 謫仙人이라 부르고 차고 있던 금거북을 풀어 술을 산 故事가 있으므로 風流가 있는 燕思亭의 主人을 그에게 비유하여 말한 것이다. 李德弘의《艮齋集》續集 4권에 “馬子才가 李太白으로 자처하였기 때문에 主人을 賀知章에게 견준 것이다.” 하였다.
역주2 巨靈擘山洪河竭 : 巨靈은 黃河의 神으로, 전설에 華山이 황하를 가로막고 있었는데, 巨靈이 불끈 힘을 써서 華山을 둘로 쪼개어 북쪽에 있는 것은 首陽山이 되고 남쪽에 있는 것은 太華山이 되었으며 황하가 그 사이로 흐르게 되었다 한다.
역주3 寄語溪山莫相憶 : 李德弘은 “마자재가 스스로 말하기를 ‘내가 곧 이태백이니 시내와 산은 이태백을 생각하지 말라’고 한 것이다. 그리하여 곧바로 그 아래에 이어서 말하기를 ‘모름지기 襄陽의 아이들로 하여금 다시 〈銅鞮歌〉를 부르게 하리라.’ 하여, 자신이 이태백 當時의 일과 같이 하겠다고 말한 것이다.” 하였다.
역주4 銅鞮 : 樂府의 하나인 白銅鍉曲으로 白銅蹄 또는 白銅鞮로도 쓰는 바, 本書 8권에 나오는〈襄陽歌〉의 註에 “樂府에〈銅鍉歌〉가 있는데 해석하기를 ‘鍉는 오랑캐들이 맹세할 때에 피를 마시는 그릇이다.’ 하였다.《韻府》에는 鞮로 되어 있는데 註에 ‘정갱이까지 올라오는 가죽 신발이니, 바로 지금의 靴이다.’ 하였는데, 이는 잘못인 듯하다.” 하여 銅鍉로 쓰는 것이 옳다고 하였다.
동영상 재생
1 연사정 684

고문진보전집 책은 2017.12.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