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古文眞寶前集

고문진보전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고문진보전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驪山
蘇軾
在京兆府昭應縣하니 有溫湯泉이라 明皇 建華淸宮于此山下하니라
君門如天深幾重
이라
人生難處是安穩이니
何爲來此驪山中
複道凌雲接金闕이요
樓觀隱煙橫翠空이라
林深霧暗迷八駿하고注+八駿 : 周穆王 得八駿馬하고 周行天下하여 將皆有車轍馬跡하니 絶地, 翻羽, 奔霄, 越影, 踰輝, 迢光, 騰露, 快翼이라
朝東暮西勞六龍이라注+六龍 : 天子法駕前六馬 故稱六龍하니 取乾六龍之義
六龍西幸峨眉棧하니
悲風便入이라
하니
麋鹿來遊猿鶴怨이라
我上春半老하니
滿地落花無人掃
羯鼓樓高掛夕陽이요
長生殿古生靑草

築臺未就已堪悲
長楊五柞注+長楊五柞 : 漢武帝建長楊五柞宮이러니 幸免喪亡이라漢幸免이요
江都樓成隋自迷注+江都樓成隋自迷 : 隋煬帝開汴河하여 爲江都之遊할새 浙人項昇 進新宮圖하니 營建旣成 幸之曰 使眞仙遊此라도 亦當自迷리니 可目之曰迷樓라하니라
由來流連多喪德이니
宴安鴆毒因奢惑이라注+宴安鴆毒因奢惑 : 左傳 宴安鴆毒 不可懷也라하니 宴安之禍甚鴆毒이라하니라
古所戒
不必驪山可亡國이라


여산
소식
驪山은 京兆府 昭應縣에 있으니 온천탕이 있다. 唐 明皇이 화청궁을 이 산에 세웠다.
궁궐문 하늘처럼 몇 겹이나 깊은데
君王은 天帝처럼 法宮에 앉아 계시네.
人生이 대처하기 어려운 것 안온한 생활이니
어찌하여 이 驪山 가운데로 왔는가.
複道는 구름 위로 솟아 금대궐과 연해 있고
樓觀은 안개 속에 숨어 푸른 공중에 비껴 있네.
숲 깊고 안개 자욱하여 八駿馬注+周나라 穆王이 여덟 준마를 얻고는 천하를 두루 돌아다녀 장차 모두 수레바퀴 자국과 말 발자국이 있게 되었으니, 八駿馬는 절지ㆍ번우ㆍ분소ㆍ월영ㆍ유휘ㆍ초광ㆍ등로ㆍ쾌익이다. 길을 잃고
아침에는 동쪽 저녁에는 서쪽 여섯 龍馬注+天子의 法駕는 앞에 말 여섯 필을 멍에하므로 六龍이라고 칭하니, 乾卦의 육룡의 뜻을 취한 것이다.가 수고롭다오.
여섯 龍馬 타고 서쪽의 峨眉山 棧道로 행차하니
슬픈 바람 곧 華淸院에 들어오네.
長楊宮과 五柞宮 지은注+漢나라 武帝가 長楊宮과 五柞宮을 세웠는데, 다행히 멸망을 면하였다. 漢나라 요행으로 멸망 면했고
고라니와 사슴 와서 놀고 원숭이와 학 슬피 우누나.
霓裳羽衣曲 흩어져 공허하니
땅에 가득히 떨어진 꽃 쓰는 이 없어라.
羯鼓樓는 높이 솟아 석양에 걸려 있고
長生殿은 낡아 푸른 풀만 자라누나.
가련하다 吳나라와 楚나라 모두 醯鷄와 같아
대 쌓다가 이루지 못하니 이미 슬픔만 자아내네.
내 朝元閣에 올라 보니 봄이 반쯤 지났는데
江都에 迷樓 이루어지자 隋나라 스스로 혼미하였네.注+隋나라 煬帝가 汴河를 열어 江都에 유람하니, 浙땅 사람인 項昇이 新宮圖(새 궁궐을 그린 그림)를 올렸다. 건축이 이루어지자 양제는 이 곳에 가서 말하기를 만일 진짜 신선이 이 곳에서 놀더라도 마땅히 스스로 혼미할 것이니, 迷樓라고 이름하라. 하였다.
예로부터 流連의 놀이 德을 잃음 많으니
편안함 좋아함은 鴆毒과 같아 사치함에 연유하네.注+《左傳》에 “편안함을 좋아함은 짐새의 독과 같아 생각해서는 안 된다.” 하였는데, 註에 “편안함을 좋아하는 화가 짐새의 독보다 심하다.” 하였다.
三風과 十愆 옛부터 경계하는 것이니
굳이 驪山만이 나라 망치는 것 아니라오.
賞析
이 시는《蘇東坡集》3책 6권에 실려 있다. 驪山은 陝西省 臨潼縣 동남쪽ㆍ藍田縣의 藍田山과 연해 있는 산의 이름으로 이 산 밑에 있던 華淸池라는 온천은 양귀비가 목욕하던 곳으로 유명하다. 人君이 되어 정사에 유념하지 않고 토목 공사를 일으켜 궁전을 세우며 遊幸의 즐거움을 탐하는 것은 모두 나라를 망하게 하는 지름길임을 풍자하였다.


역주
역주1 君王如帝坐法宮 : 法宮은 路寢의 正殿을 가리키는 바, 곧 皇帝가 구중궁궐의 깊은 곳에 있어 하늘의 玉皇上帝처럼 위엄이 있음을 말한 것이다.
역주2 華淸院 : 華淸宮을 가리킨 것으로 원래 湯泉宮, 또는 溫泉宮이라 부르던 것을 玄宗 天寶 6년(747)에 개칭한 것이다.
역주3 霓裳蕭散羽衣空 : 霓裳羽衣曲을 가리키는 바, 唐나라 玄宗이 지은 곡조로 楊貴妃가 이 곡조에 맞추어 춤을 추어 유명하다.
역주4 朝元 : 전각의 이름으로 본문에 나오는 羯鼓樓와 長生殿과 함께 華淸宮에 딸린 殿閣이다.
역주5 可憐吳楚兩醯鷄 : 醯鷄는 술벌레의 일종인 초파리로 하루살이 따위의 무지한 미물이다. 춘추시대 吳王 夫差는 姑蘇臺를 지었고 楚나라 靈王은 章華臺를 지었는 바, 오왕 부차와 초나라 영왕은 모두 궁전을 아름답게 꾸미고 酒色에 빠져 향락을 즐기다가 패망한 인물이므로 초파리와 같이 무지함을 말한 것이다.
역주6 三風十愆 : 《書經》〈伊訓〉에 보이는 내용으로 군주가 나라를 망치는 세 종류의 열 가지 잘못을 이른다. 三風은 巫風과 淫風ㆍ亂風으로 노래와 춤에 빠지는 잘못을 무풍이라 하고 재물과 여색, 놀이와 사냥에 빠지는 잘못을 음풍이라 하며 聖人의 말씀을 업신여기고 忠直한 말을 거스르고 연치와 덕망이 있는 자를 멀리하고 나쁜 사람과 친한 잘못을 난풍이라 한다.
동영상 재생
1 여산 703

고문진보전집 책은 2017.12.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