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古文眞寶前集

고문진보전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고문진보전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於潛令刁同年野翁亭
蘇軾
山翁不出山하고
溪翁長在溪하니
不如野翁來往溪山間하여
上友麋鹿下鳧鷖
問翁何所樂하여
三年不去
翁言此間亦有樂하니
非絲非竹非蛾眉
山人醉後鐵冠注+鐵冠 : 天目山唐道士 常冠鐵冠하니라하고
溪女笑時銀櫛低注+溪女笑時銀櫛低 : 於潛婦女 皆揷大銀櫛하니 長尺許 謂之逢沓이라하니라
我來觀政問風謠하니
皆云吠犬足生氂注+吠犬足生氂 : 岑熙爲魏郡太守하니 人歌之曰 我有枳棘이러니 岑君伐之하고 我有蟊賊이러니 岑君遏之로다 吠犬不驚하여 足下生氂라하니라
但恐此翁一旦捨此去하여
長使山人寞溪女啼


於潛令 刁同年의 野翁亭에 쓰다
소식
山翁은 산 나가지 않고
溪翁은 언제나 시내에 있으니
野翁이 시내와 산 사이 왕래하여
위로는 麋鹿 아래로는 鳧鷖와 벗삼는 것만 못하네.
野翁에게 묻노니 무엇을 즐거워하여
삼 년 동안 떠나지 않아 번거롭게 밀어내게 하는가.
野翁이 말하기를 이 사이에 또한 즐거움이 있으니
현악기도 관악기도 아니요 蛾眉의 美人도 아니라네.
山人은 취한 뒤에 豪放하여 鐵冠 떨어뜨리고注+天目山의 唐道士는 항상 철관을 썼다.
시냇가의 여인들은 웃을 때에 은빗 흘러내린다오.注+오잠의 부녀자들은 모두 큰 은비녀를 꽂으니 길이가 한 자가 넘었는 바, 이것을 일러 逢沓이라 하였다.
내가 와서 政事 관찰하고 風謠 물어보니
모두들 말하기를 개도 발바닥에 털이 자란다 하네.注+岑熙가 魏郡太守가 되니, 사람들이 노래하기를 “내 가시나무가 있었는데 岑君이 베어주고, 내 해치는 벌레가 있었는데 잠군이 막아주도다. 짖는 개도 놀라지 아니하여 발바닥에 털이 자란다오.” 하였다.
다만 이 노인 하루 아침 이곳을 버리고 떠나가서
길이 산중 사람들 적막하고 시냇가의 여인들 울게 할까 두렵다네.
賞析
이 시는《蘇東坡集》2책 4권에 실려 있는 바, 東坡가 38세 때인 熙寧 6년(1073) 3월 浙江의 杭州通判으로 있다가 密州知事로 부임하면서 杭州府 於潛縣에 들렀을 때 지은 것으로, 당시 오잠령으로 있던 刁氏의 소박한 성품과 治績을 찬미한 내용이다. 刁氏가 누구인지는 확실치 않으나 刁約 또는 刁璹(조숙)이라는 설이 있는 바, 李德弘의《艮齋集》續集 4권에는 “刁約은 字가 景純이니, 蘇軾과는 同年이고 만년에 藏春塢의 主人이 되었다.” 하여 그가 바로 ‘刁同年’이라 하였으며, 金隆의《勿巖集》에도 같은 내용이 보인다. 그러나 刁約은 오잠령으로 있은 적이 없으므로 刁璹이 맞는 듯하다. 동파는 이때 이 시와 함께〈綠筠軒〉ㆍ〈於潛女〉등 두 편의 시도 지었다.


역주
역주1 煩推擠 : 李德弘은 “推擠는 손으로 밀어서 가게 하고 밀쳐서 엎어지게 하는 것이다. 수령된 자가 문서를 작성하고 政令을 시행하는 사이에 자주 上官의 힐책을 당하며 혹은 어리석은 백성들로부터 원망과 비방을 받는 것이 마치 남으로부터 밀쳐내는 욕을 당하는 것과 같으므로 이렇게 말한 것이다.” 하였다. 金隆의《勿巖集》에도 같은 내용이 보인다.
역주2 : 삭

고문진보전집 책은 2017.12.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