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古文眞寶前集

고문진보전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고문진보전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憫農
李紳
農家當暑耘耨 流汗浹於田泥하나니 人知食其粟이니 安知耕稼之苦哉 憫憂念其勞也
鋤禾日當午하니
汗滴禾下土
誰知盤中飧
粒粒皆辛苦


농사짓는 사람을 딱하게 여기다
이신
農家에서 무더운 여름철에 김을 매면 흐르는 땀이 밭고랑의 진흙을 적신다. 사람들은 곡식을 먹을 줄만 아니, 어찌 밭 갈고 심는 괴로움을 알겠는가. 딱하게 여기고 근심하여 그 수고로움을 생각한 것이다.
벼를 김매는데 해가 中天에 당하니
땀 방울 벼포기 아래 흙에 떨어지네.
그 누가 소반 가운데의 밥이
알알이 모두 농부의 辛苦임 알겠는가.
賞析
《唐文粹》16권에 실린〈憫農〉2수 중의 제2수로, 농부의 辛苦를 읊은 내용이다. 唐나라 懿宗 때에 聶夷中이 이 시를 모방하여 지은 〈田家〉시가 《全唐詩》에 실려 있으므로 아래에 소개한다.
“아비는 언덕배기 밭을 갈고 자식은 산 속의 황무지를 일구누나. 유월이라 벼가 채 익지도 않았건만 관가에선 벌써 창고를 수리한다오. 밭을 매다가 정오를 당하니 땀방울이 벼 아래의 땅에 떨어지네. 뉘라서 그릇에 담긴 음식이 알알이 모두 농부의 신고임을 알리오.[父耕原上田 子斸山中荒 六月禾未秀 官家已修倉 鋤田當日午 汗滴禾下土 誰念盤中餐 粒粒皆辛苦]”
卞季良〈1369(공민왕 18)-1430(세종 12)〉이 지은 〈苦熱行〉이라는 시에 “평민들 더위에 시달림 무엇이 괴이한가. 남쪽 이랑의 김매는 노인 보지 못하였는가. 일년내내 힘들여 마침내 남들을 먹이니 선왕이 이 때문에 농부의 공 생각한 것이라오.[平人執熱亦何怪 不見南畝鋤禾翁 終年勞力竟食人 先王所以思農功]”라고 하여 폭염에 김매는 농부의 괴로움을 읊었다. 《春亭集 2권》
또 金正國〈1485(성종 16)-1541(중종 36)〉의 《思齋集》2권에도 〈憫農〉이라는 제목으로 백성들을 착취하는 관리를 비판한 시가 보인다.
“굶주린 범보다도 사납고 독사보다도 독하니 누가 良醫를 불러 너의 병 치료해줄까. 근래에 세금 독촉하는 데 서투른 이 볼 수 없으니 도처마다 오직 白着歌만 들리네.[猛於餓虎毒於蛇 誰喚良醫去爾痾 邇來不見催科拙 到處唯聞白着歌]”〈白着歌는 관리들의 가렴주구를 원망하는 노래로, 本集에 다음과 같은 註가 붙어있다. “唐나라 元載가 세금을 많이 거두니, 당시 사람들이 白着歌를 지었다. 그 내용에 ‘명분없이 세금을 많이 거두어 가는 곳마다 공공연하네.[無名重斂 所着公然]’라고 하였으니, 꺼림이 없음을 말한 것이다.”〉


동영상 재생
1 민농 208

고문진보전집 책은 2017.12.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