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古文眞寶前集

고문진보전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고문진보전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後石鼓歌
蘇軾(子瞻)
東坡年二十六 初入仕하여 作鳳翔八觀하니 此其一也
冬十二月歲辛丑
我初從政見魯叟注+魯叟 : 孔子也
舊聞石鼓今見之하니
文字鬱律蛟蛇走
細觀初以指畫肚注+細觀初以指畫肚 : 虞世南 學書할새 常於被下 以指畫肚하니라
欲讀嗟如箝在口
하니
我今況又百年後
强尋偏旁推點畫하니
時得一二遺八九
我車旣攻馬亦同
其魚維鱮貫之柳注+我車旣攻馬亦同 其魚維鱮貫之柳 : 公自注호되 石鼓文之辭云 我車旣攻하고 我馬亦同이라하고 又曰 其魚維何 維鱮維鯉로다 何以貫之 維楊與柳라하니 惟此六句可讀이요 餘不可通이라
古器縱橫猶識鼎이요
衆星錯落僅名斗
糢糊半已似瘢胝하나

娟娟缺月隱雲霧
濯濯嘉禾秀稂莠
하니
獨立千載誰與友
上追軒頡相唯諾이요
下挹冰斯同鷇㝅注+下挹冰斯同鷇㝅 : 冰斯 唐李陽冰, 秦李斯也 二人 能篆文하니라 乳子也 言石鼓之文 上可追配於軒轅하고 下視陽冰李斯 如未成之鳥雛也
憶昔周宣歌하니
注+當時籒史變蝌蚪 : 宣王時 史籒著大篆十五篇하고 魯共王 壞孔子宅하여 得古書하니 皆科蚪文字
厭亂人方思聖賢하니
中興天爲生耆耈
東征徐虜鬫虓虎
北伐犬戎隨指嗾
象胥雜遝貢狼鹿이요注+象胥雜遝貢狼鹿 : 象胥 卽後世之譯史 能通四夷之語者
聯翩賜圭卣注+圭卣 : 圭 瑞玉이니 上銳下方하여 以封爵公侯伯子男하니 各有制 中罇也 有功者 賜玉瓚秬鬯一卣也
遂因鼙鼓思將帥하니注+遂因鼙鼓思將帥 : 記 聽鼓鼙之聲이면 則思將帥之臣이라하니라
豈爲考擊煩矇瞍
何人作頌比崧高
萬古斯文齊岣嶁注+萬古斯文齊岣嶁 : 行陽縣北之山神禹碑 今名碧碑 二字 一音巨窶 此歌 從韻하여 作古后力后反이라 退之詩 岣嶁山尖神禹碑 字靑石赤形摹奇라하니라
勳勞至大不矜伐하니
文武未遠猶忠厚
欲尋年代無甲乙하니
豈有文字記誰某
自從周衰更하여
竟使秦人有
掃除詩書誦法律하고
投棄俎豆陳鞭杻
當年何人佐

登山刻石頌功烈하니注+登山刻石頌功烈 : 秦始皇 上鄒嶧山하여 刻石頌秦하니라
後者無繼前無偶
皆云皇帝巡四國하여
烹滅彊暴救黔首注+黔首 : 秦謂百姓曰黔首라하니 謂其頭黑이니 猶言黎民也
六經旣已委灰塵하니
此鼓亦當隨擊掊
傳聞淪泗上하고
欲使萬夫沈水取
暴君縱欲窮人力이나
神物義不汙秦垢
是時石鼓何處避
無乃天工令鬼守

細思物理坐歎息하니
人生安得如汝壽


후석고가
소식(자첨)
東坡가 26세에 처음으로 들어가 벼슬하면서〈鳳翔八觀〉시를 지었는데 이것이 첫 번째이다.
겨울 십이월 신축년에
나는 처음 정사에 종사하여 孔子注+魯나라 노인은 孔子이다.를 뵈었네.
옛부터 石鼓가 있단 말 들었는데 이제 보게 되니
文字가 구불구불하여 교룡과 뱀이 달리는 듯하여라.
자세히 보며 처음에는 손가락으로 배 위에 썼고注+虞世南이 글씨를 배울 적에 항상 이불 밑에서 손가락으로 배 위에 글씨를 쓰고는 하였다.
읽자니 한스럽게도 입에 재갈이 물린 듯하였다오.
韓公은 옛것을 좋아하였는데도 늦게 태어남 한하였는데
나는 지금 하물며 또 백 년이 지난 뒤에 있어서랴.
偏旁을 억지로 찾아보고 點劃을 추측해 보니
때로 한두 가지는 알고 여덟아홉 가지는 모르겠네.
내 수레 이미 수리하고 말도 갖추어졌다는 것과
물고기는 연어인데 이것을 버들 가지에 꿴다는 말뿐이네.注+公(蘇軾)이 스스로 註를 내기를 “〈石鼓文〉의 글에 ‘내 수레를 이미 수리하였고 내 말을 또한 같은 색으로 구비하였다.’ 하고 또 말하기를 ‘그 물고기는 무엇인가? 연어와 잉어로다. 무엇으로 꿰는가? 버드나무와 수양버들이다.’ 하였으니, 오직 이 여섯 구만 읽을 수 있고 그 나머지는 통할 수가 없었다.” 하였다.
옛날 器物들 종횡으로 놓여 있는데 겨우 솥만 알고
별들 어지러운데 겨우 北斗星만 아는 것과 같구나.
모호하여 절반은 이미 흉터와 딱정이 같은데
구불구불한데 사람의 발꿈치와 팔꿈치 분별하는 듯하네.
곱고 고운 조각달 雲霧에 숨어 있는 듯하고
깨끗한 아름다운 벼 잡초 중에 빼어난 듯하여라.
수백 번의 전쟁에 표류하면서도 우연히 남았으니
천년에 홀로 서 누구와 벗하였나.
위로 軒轅氏와 蒼頡 좇아 서로 응답하고
아래로 李陽冰과 李斯 굽어보니 새새끼같네.注+‘氷斯’는 唐나라 李陽冰과 秦나라 李斯이니, 두 사람은 篆書를 잘하였다. 㝅(누)는 젖먹이이니, 석고의 글이 위로 黃帝 軒轅氏에게 짝할 만하고 아래로 이양빙과 이사를 보기를 아직 자라지 않은 새새끼처럼 여김을 말한 것이다.
저 옛날 周 宣王이 鴻雁을 노래하였으니
당시에 史官인 籒(주)가 과두문자를 변형하였다오.注+周나라 宣王 때에 사주가 大篆 15편을 지었고 魯나라 恭王이 孔子의 집을 허물면서 옛책을 얻었는데 모두 蝌蚪文字로 기록되어 있었다.
혼란 싫어하여 사람들 聖賢을 생각하니
中興 위해 하늘이 元老들을 탄생하였네.
동쪽으로 徐虜 정벌하여 포효하는 범이 싸우는 듯하였고
북쪽으로 犬戎 정벌하여 지시에 따르게 했네.
象胥들 어지러이 모여 이리와 사슴 바치고注+象胥는 바로 후세의 譯史이니, 사방 오랑캐의 말에 통한 자이다.
方叔과 召虎는 나란히 笏과 검은 기장술注+圭는 서옥으로 위는 뾰족하고 아래는 네모져서 공^후^백^자^남의 관작을 봉할 때에 사용하였으니, 각각 제도가 있다. 卣는 중간 크기의 술잔이니, 功이 있는 자에게는 옥 술잔과 검은 기장술 한 그릇을 하사하였다.
하사받았다오.
마침내 鼙鼓 소리에 장수들의 功德 생각하니注+《禮記》〈樂記〉에 “북소리를 들으면 군사를 거느리는 신하를 생각한다.” 하였다.
어찌 악기를 두드려 樂工들 번거롭게 할 것이 있겠는가.
어느 사람이 頌 지어 詩經의 崧高에 견주었나
萬古의 이 碑文 岣嶁山의 神禹碑와 똑같구나.注+行陽縣 북쪽 산의 神禹碑이니, 지금 碧碑라고 이름한다. 두 글자는 한 음을 거루라고 하니, 이 노래는 韻을 따라 古后力后反(구루번)으로 읽는다. 韓退之의 詩에 “구루산 뾰족한 곳의 신우비 글자가 푸르고 돌이 붉은데 모양이 기이하다.” 하였다.
공로가 지극히 크지만 자랑하지 않으니
文王 武王의 세대와 멀지 아니하여 아직도 忠厚하다오.
年代를 찾고자 하나 甲乙의 干支 없으니
어찌 누가 지었다고 기록한 文字 있겠는가.
周나라가 쇠한 뒤로 七國을 지나
끝내 秦나라 사람들이 九有를 소유하였네.
詩書를 쓸어버리고 법률만 외우며
俎豆를 던져버리고 채찍과 형틀만 늘어놓았다오.
당년에 어떤 사람이 祖龍 도왔던가
上蔡의 公子로 黃狗 끌고 다녔다네.
泰山에 올라 비석에 새겨 功烈 칭송하니注+진시황이 鄒嶧山에 올라가 돌에 새겨 秦나라를 칭송하였다.
뒤에도 이을 이 없고 앞에도 짝할 이 없다 하였다오.
비석마다 모두 말하기를 皇帝가 사방 나라 순행하여
강포한 자들 삶아 없애고 백성注+秦나라는 백성을 검수라 하였으니, 그 머리가 검음을 말한 것이니, ‘黎民’이란 말과 같다.
을 구제했다 하였네.
六經이 이미 재와 먼지 되어 버렸으니
이 石鼓도 마땅히 쳐서 버려졌으리라.
九鼎이 泗水 가에 빠졌다는 말 전해 듣고는
만 명을 동원하여 물에 들어가 취하려 하였다오.
폭군이 욕심 부려 人力을 다하였으나
신묘한 물건 의롭게도 秦나라 때에 더럽혀지지 않았네.
이때에 石鼓文 어느 곳에서 피난하였던가
天工이 귀신들로 하여금 지키게 하지 않았을까.
흥망이 백 번 변하였으나 이 물건 스스로 한가로웠으니
부귀는 하루 아침이나 이름은 영원히 없어지지 않누나.
자세히 사물의 이치 생각하며 앉아서 탄식하니
인생이 어이하면 이 石鼓처럼 영원히 남을 수 있을까.
賞析
이 시는《蘇東坡集》2책 2권에 실려 있다. 소동파는 仁宗 嘉祐 6년(1061)에 制科에 응시하여 鳳翔縣에 부임하였다. 이해에〈鳳翔八觀〉시를 지었는데, 이 시의 序에 “鳳翔八觀이란 볼 만한 곳 여덟 곳을 기록한 것이다. 옛날 司馬子長은 천리를 멀다 하지 않고 會稽에 올라가 禹穴을 찾았고 李太白은 七澤의 볼 만한 곳을 찾아 荊州에 이르렀으니, 두 사람 모두 세속을 서글퍼하고 자신이 古人을 만나지 못함을 슬퍼한 나머지 그 유적이나마 보기 위해 이처럼 수고하였던 것이다. 鳳翔은 秦과 蜀의 경계로 사대부들이 아침 저녁으로 왕래하는 곳이고, 또 이 八觀은 모두 잠깐이면 갈 수 있는 곳이므로 好事者들이 두루 보지 않을 수 없다. 그러므로 이 시를 지어 가서 보고 싶지만 알지 못하는 자들에게 말해 주고자 한다.” 하였다.


역주
역주1 韓公好古生已遲 : 韓公은〈石鼓歌〉를 지은 韓愈를 가리키는데, 거기에 ‘嗟余好古生苦晩’이란 句가 있다.
역주2 曲猶能辨跟肘 : 李德弘의《艮齋集》續集 4권에 “跟은 발꿈치이고 肘는 팔꿈치이니, 글자의 體를 사람 모습에 견주어서 발꿈치와 팔꿈치를 분별한다고 이른 것이다.” 하였다. 金隆의《勿巖集》에도 같은 내용이 보인다.
역주3 漂流百戰偶然存 : 臺本에 ‘溧’자로 되어 있는 것을 ‘漂’자로 바로잡았다.
역주4 鴻雁 : 《詩經》〈小雅〉의 篇名으로 백성들이 周 宣王의 공덕을 칭송한 것이다.
역주5 當時籒史變蝌蚪 : 李德弘은 “蝌蚪體를 변하여 大篆으로 썼음을 말한 것이다. 韓公의 시에 ‘石鼓文이 隸書와 과두체와 비슷하지 않다.’고 말하였으니, 이미 그 字體를 변화시켰다면 과두체와 같지 않은 것이 당연하다.” 하였고, 金隆의《勿巖集》에는 “太史의 이름이 籒(주)인데 籒史라고 말한 것은 또한 史籒라는 말과 다름이 없다.” 하였다.
역주6 方召 : 方叔과 召虎로 周 宣王 때에 南蠻을 정벌하여 큰 공을 세웠다.
역주7 七國 : 戰國時代의 七雄인 秦ㆍ楚ㆍ燕ㆍ齊ㆍ韓ㆍ魏ㆍ趙의 일곱 나라를 이른다.
역주8 九有 : 九州와 같은 말로 중국의 冀州ㆍ兗州ㆍ靑州ㆍ徐州ㆍ揚州ㆍ荊州ㆍ豫州ㆍ梁州ㆍ雍州를 이르는데, 왕조에 따라 연혁이 있었으나 모두 중국 또는 천하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하였다.
역주9 祖龍 : 祖는 始, 龍은 人君인 바, 곧 秦始皇을 가리킨 것이다.
역주10 上蔡公子牽黃狗 : 上蔡公子는 秦나라의 李斯를 가리킨다. 李斯가 斬刑을 받아 죽을 때에 둘째아들의 손을 잡고 “이제 내가 너와 함께 다시 누렁이를 끌고 上蔡의 東門밖으로 나가 날랜 토끼를 쫓으려 해도 되겠는가.”하고 父子가 붙잡고 통곡하였다 한다.《史記 李斯傳》
역주11 九鼎 : 夏나라 禹王이 九州의 쇠를 모아 주조하였다는 솥으로, 夏ㆍ殷ㆍ周 三代를 통하여 국가의 王統을 상징하는 물건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다가 周나라 顯王 때 德이 쇠퇴하자 이 솥이 泗水의 彭城 아래로 빠져 버렸다. 그후 秦始皇 초년에 팽성에 다시 나타났으므로 26년에 시황이 많은 사람을 동원하여 찾았으나 끝내 찾지 못하였다.《史記 封禪書》
역주12 興亡百變物自閑 富貴一朝名不朽 : 李德弘은 “物과 名은 모두 石鼓를 가리킨 것이다.” 하였다.

고문진보전집 책은 2017.12.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