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古文眞寶前集

고문진보전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고문진보전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李潮八分小篆歌
杜甫
蒼頡鳥跡注+蒼頡鳥跡 : 蒼頡 黃帝臣이니 觀鳥跡而制字하니라旣茫昧하니
字體變化如浮雲이라
石鼓又已訛하니
大小二篆生八分이라注+大小二篆生八分 : 周太史籒 始制大篆하고 秦丞相李斯 爲小篆하고 王次仲 減隷書爲八分書하니라 蔡邕曰 臣父嘗言 八分書 割程邈隷字法하여 去八하고 法李斯小篆하여 去二分하여 取八分이라 故曰八分書라하니라
秦有李斯漢蔡邕이요
中間作者寂不聞이라
嶧山之碑注+嶧山之碑 : 始皇 東行할새 上鄒嶧山하여 刻石頌功德하니 其文 李斯小篆이라野火焚하고
이라
縣光和
尙骨立하니
書貴瘦硬方通神이라
惜哉李蔡不復得하니
吾甥李潮下筆親이라
尙書韓擇木
蔡有隣
開元已來數八分하니
潮也奄有二子成三人이라
況潮小篆逼秦相하여
快劍長戟森相向이라
八分一字百金이니
蛟龍盤拏肉屈强이라
吳郡誇草書
草書非古空雄壯이라
豈如吾甥不流宕하여
丈人行
巴東逢李潮하니
逾月求我歌
我今衰老才力薄하니
潮乎潮乎奈汝何


李潮의 八分書와 小篆을 읊은 노래
杜甫
창힐의 鳥跡注+창힐은 黃帝의 신하이니, 새의 발자국을 보고 글자를 만들었다.은 이미 아득하니
글자체의 변화 뜬 구름 같아 알 수 없네.
陳倉의 石鼓文도 이미 와전되니
大篆과 小篆에서 八分書가 나왔다네.注+周나라 태사인 籒(주)가 처음으로 대전을 만들고 秦나라의 승상인 李斯가 소전을 만 들고 王次中이 예서를 줄여 八分書를 만들었다. 채옹이 말하기를 “신의 아비가 일찍이 말하기를 ‘팔분서는 정막의 예서법을 줄여서 팔분을 제거하고 이사의 소전을 본받아 이 분을 제거하여 팔분을 취하였으므로 팔분서라 했다.’ 하였습니다.” 하였다.
秦나라에는 李斯 漢나라에는 蔡邕이 있었는데
중간에는 작자가 적막하여 알려지지 않았다오.
역산의 碑注+秦始皇이 동쪽으로 巡行할 적에 추역산에 올라 돌에 새겨 공덕을 칭송하니, 이 글은 이사의 소전이다.는 들불에 타버렸고
대추나무에 전각한 것은 자획이 살쪄 참모습 잃었네.
苦縣에 있는 光和의 老子碑 아직도 뼈대가 서 있으니
글씨는 야위고 굳셈 귀하니 神을 통할 수 있네.
애석하다 李斯와 蔡邕 다시 얻을 수 없는데
우리 생질 李潮 붓을 놀리면 이들과 가깝다오.
尙書인 韓擇木과
騎曹인 蔡有隣은
開元 이래로 八分을 잘 쓴다고 꼽아오는데
李潮는 두 사람의 경지 소유하여 셋이 되었다오.
더구나 李潮의 小篆은 秦나라 승상 李斯와 가까워
예리한 칼과 긴 창이 삼엄하게 서로 향한 듯하여라.
八分 한 글자는 百金의 값이 나가니
교룡이 서려 있는 듯 근육이 억세어 보이누나.
吳郡의 張顚이 草書 과시하나
草書는 옛것 아니니 부질없이 웅장하기만 하다오.
어찌 우리 생질이 방탕한 데로 흐르지 아니하여
丞相과 中郞의 丈人 항렬이 됨만 하겠는가.
巴東에서 李潮 만나니
한 달이 넘도록 나에게 노래 지어주기 청하였네.
내 이제 노쇠하고 재주와 힘도 부족하니
李潮여! 李潮여! 너에게 어찌하리.
賞析
이 시는《杜少陵集》18권에 실려 있는 바, 작자의 甥姪인 李潮가 八分書와 小篆體에 뛰어남을 노래한 것으로, 大曆 元年(766)에 夔州에서 지은 것이다. 이조는 李斯의 嶧山碑를 본받았다고 하며, 八分書로 쓴 것으로는〈唐慧義寺彌勒像碑〉와〈彭元曜墓誌〉가 있다고 한다.


역주
역주1 陳倉 : 陝西省 寶雞縣 동쪽의 지명으로 원래 石鼓가 이곳에 흩어져 있었다.
역주2 棗木傳刻肥失眞 : 鄒嶧山의 비석이 들불에 타버리자, 이것을 다시 대추나무에 옮겨 새겼는데, 원래보다 글자체가 두꺼워졌으므로 자획이 살쪄 참모습을 잃었다고 한 것이다.
역주3 苦(호)縣光和 : 苦는 音이 怙(호)로 河南省 鹿邑縣 동쪽의 옛 땅 이름으로 老子의 고향이고, 光和는 東漢 靈帝의 연호이다. 호현의 老子碑는 光和年間에 세운 것으로 蔡邕이 썼다.
역주4 : 호
역주5 騎曹 : 兵部를 가리킨다.
역주6 : 値
역주7 張顚 : 顚은 미치광이라는 뜻으로, 唐나라 때 書家인 張旭의 異稱이다. 자가 伯高인데 草書를 잘 써 草聖으로 알려졌는 바, 특히 술에 취하면 큰소리로 고함치고 미친듯이 달리며 초서를 쓴 것으로 유명하다.
역주8 丞相中郞 : 승상은 관명으로 秦나라 승상을 지낸 李斯를 가리키고, 중랑 또한 官名으로 後漢 때에 이 벼슬을 지낸 蔡邕을 가리킨다.

고문진보전집 책은 2017.12.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