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古文眞寶前集

고문진보전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고문진보전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桃源行
王安石
古今詠桃源者 多惑於神仙之說이어늘 荊公 獨指爲避秦之人이라하니라
하니
秦人半死長城下
避世不獨이요
亦有種桃者
一來種桃不記春하니
采花食實枝爲薪이라
兒孫生長與世隔하니
이라
漁郞放舟迷遠近하니
花間忽見驚相問이라
世上空知古有秦이니
山中豈料今爲晉
聞道長安吹戰塵하고
東風回首亦沾巾이라
一去寧復得
天下紛紛經幾秦


桃源을 읊은 노래
왕안석
고금에 桃源을 읊은 자들은 神仙術에 혹한 자가 많은데, 荊公만은 홀로 秦나라를 피해온 사람이라고 가리켜 말하였다.
望夷宮 가운데에서 사슴을 말이라 하니
秦나라 사람들 절반은 長城 아래에서 죽어갔네.
세상을 피하여 숨은 자들 商山의 노인뿐 아니요
또한 桃源에 복숭아 심어 기른 자 있었네.
한번 와서 복숭아 심은 뒤로 햇수 기억하지 못하니
꽃 따고 열매 먹으며 나뭇가지로 섶 만들었네.
子孫들 생장하여 세상과 단절되었으니
父子가 있음만 알고 君臣은 없다오.
漁郞이 배 가는 대로 가다가 遠近을 잃었는데
꽃 사이에서 갑자기 그를 보고 놀라 물었네.
세상에서는 부질없이 옛날 秦나라 있음만 알 뿐이니
산중에서야 어찌 지금이 晉나라임 알겠는가.
長安에 전쟁의 먼지 날려 漢나라 망했단 말 듣고
東風에 머리 돌려 회상하며 눈물로 수건 적시네.
重華가 한번 가버리니 다시 어찌 얻을런가
天下는 분분히 몇 번이나 秦나라의 폭정 만났는가.
賞析
이 시는《王臨川集》4권에 실려 있는 바, 武陵桃源을 읊은 것이다. 제목 밑의 주에 “고금에 도원을 노래한 자들이 神仙說에 현혹되어 도원을 長生不死하는 곳이라고 여긴 자가 많은데, 荊公의〈도원행〉에 秦나라의 난리를 피하여 숨은 자들이라고 한 것을 보니, 신선설에 빠진 자가 아니고 사리를 아는 자이다.” 하였다.
成俔의《虛白堂集》風雅錄 1권에 같은 제목의 시가 실려 있다.
“돌다리 동쪽으로 가로지르니 창해가 넓고 북쪽으로 장성 쌓으니 요갈을 감싸네. 아방궁 萬夫의 힘을 소진시키니 꼬리 붉은 방어 물을 찾아 구차하게 사누나. 함곡관 아득하니 얼마나 떨어져 있나. 진나라 사람 무릉의 백성으로 바뀌었네. 오직 복숭아나무 심을 줄 알아 언덕이 되니 온나무에 꽃이 만발함에 청춘이 돌아왔네. 무릉은 어느 곳인가 고깃배 늙은이 꽃사이에서 밭가는 사람을 만났다네. 진나라 망하고 진시황 죽은 것 한하지 않고 도리어 세속의 사람이 자신의 뜻 어지럽힐까 두려워하네. 당시의 진위를 알 수 없으나 도연명이 기문을 지어 윤색하였다오. 지금 천년동안 들어갈 길이 없어 그림으로 그려 부질없이 신선 모습만 상상하네.[石橋東跨滄海闊 北築長城抱遼碣 阿房殫盡萬夫力 頳魴覓水偸生活 函關茫茫隔幾塵 秦人變作華胥民 惟知種桃作丘畛 花開萬樹回靑春 武陵何處漁舟叟 花間邂逅逢耕耦 不恨秦亡祖龍死 却恐凡人亂我趣 當時眞僞不可知 淵明作記潤色之 如今千載無路入 畵圖空想神仙姿]”
이 외에 金昌翕〈1653(효종 4)-1722(경종 2)〉의《三淵集》拾遺 1권에도〈桃源行〉이 있는데 내용의 전개가 이 시와 흡사하다.


역주
역주1 望夷宮中鹿爲馬 : 望夷宮은 秦代의 宮殿 이름으로 지금의 陝西省 涇縣 동남쪽에 위치해 있었는데, 동북쪽으로 涇水에 臨하여 北夷를 바라볼 수 있으므로 붙여진 이름이다. 간신인 趙高는 重臣들이 얼마나 자신의 말을 따르는가를 시험하기 위해 한번은 二世皇帝에게 사슴을 바치면서 말이라고 아뢰었다. 二世皇帝가 신하들에게 이것이 “말이냐?”고 묻자, 신하들은 조고의 위세를 두려워하여 혹은 사슴이라 하고 혹은 말이라 하였는데, 조고는 사슴이라고 바른 말을 한 자들을 찾아내어 모두 해쳤다.《史記 秦始皇本紀》
역주2 商山翁 : 秦나라의 폭정를 피하여 상산에 숨은 네 노인으로 東園公ㆍ綺里季ㆍ夏黃公ㆍ甪里先生을 가리키는 바, 수염과 눈썹이 하얗게 세었다 하여 商山 四皓라 칭하였다.
역주3 桃源 : 어떤 어부가 桃花源을 거슬러 올라가 한 골짜기에 이르니, 仙境이 나왔는데, 그곳에는 秦의 폭정을 피하여 숨어 들어온 사람들의 후손들이 살고 있었다 한다.
역주4 知有父子無君臣 : 난세를 피하여 桃花源에 은둔한 사람들은 父子間의 親愛만 알 뿐, 국가가 있음을 생각하지 않았다는 뜻이다.
역주5 重華 : 舜임금의 美稱으로, 여기서는 舜임금과 같은 聖君을 말한 것이다.
동영상 재생
1 도원행 602
동영상 재생
2 도원행 662

고문진보전집 책은 2017.12.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