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古文眞寶前集

고문진보전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고문진보전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傷田家
聶夷中
孫光憲 謂此詩有三百篇之旨
二月賣新絲
이라注+ 二月賣新絲 五月糶新穀 : 二月借貸하여 以納官而約以絲還償之하니 是二月而已賣新絲矣 五月借貸하여 以納官而約以穀還償之하니 是五月而已糶新穀矣
醫得眼前瘡이나
剜却心頭肉이라注+ 剜却心頭肉 : 絲成穀熟之日 賤價而倍還하여 皆爲他人所有하니 是剜却心頭肉矣
我願君王心
化作光明燭하여
不照綺羅筵하고
徧照逃亡屋이라


농가를 슬퍼하다
섭이중
손광헌이 이르기를 “이 詩는 《詩經》3백 편의 뜻이 있다.” 하였다.
이월에 새 고치실 팔고
오월에 새 곡식 판다오.注+2월에 돈을 꾸어서 관청에 바치고 여름에 누에를 쳐서 生絲로 갚을 것을 약속하니, 이는 2월에 이미 새로 나올 생사를 팔아먹은 것이다. 5월에 돈을 꾸어서 관청에 바치고 곡식으로 갚을 것을 약속하니, 이는 5월에 이미 새로 나올 곡식을 팔아먹은 것이다.
당장 눈앞의 상처는 치료하나
심장의 살 도려내는 것 같구나.注+生絲가 나오고 곡식이 여무는 날에는 헐값에 팔아 곱절로 갚아서 모두 타인의 소유가 되니, 이는 심장의 살을 도려내는 듯한 것이다.
나의 소원은 君王의 마음
변하여 광명한 촛불 되어서
비단 자리에 비추지 말고
流浪하는 백성들의 집에 비췄으면 하네.
賞析
이 시는 《唐文粹》16권에 실려 있다. 唐나라의 혼란한 사회 속에서 고통 받는 농민들의 辛苦를 읊은 것으로, 위정자가 백성들의 실정을 밝게 살펴주기를 바라는 작자의 간절한 심정을 토로하고 있다. 《唐才子傳》9권에 의하면 聶夷中은 전란이 끊이지 않던 晩唐의 혼란기에 進士가 되었고, 田野에서 입신하여 온갖 신고를 겪었기 때문에 세상을 근심하는 시를 많이 지었다 한다. 《全唐詩話》에는 섭이중의 시를 평하여 “詩語는 비근하지만 詩意는 심원하여 《시경》의 뜻과 합치된다.[語近意遠 合三百篇之旨]”고 하였는데, 이는 그가 농민의 실상을 체득하였기 때문에 가능했을 것이다.
丁壽崗〈1454(단종 2)-1527(중종 22)〉의 《月軒集》4권에도 이와 같은 제목으로 농민들의 고통을 읊은 시가 있다.
“빚을 갚느라 한 치의 실오라기도 없고 세금을 바치느라 한 말의 곡식도 없네. 소금과 부추도 오히려 넉넉치 못한데 더구나 고량진미 먹기를 바라겠는가. 잔치가 끝난 동쪽 집에는 세 길의 촛불만이 부질없이 타고 있네. 하늘은 어찌하여 재물을 아끼지 않으면서 유독 한미한 집에만 아끼는가.[債還無寸絲 稅入無斗穀 鹽虀猶不贍 況望食粱肉 宴罷東家樓 虛燒三丈燭 天何不靳財 獨靳寒微屋]”
李稷〈1362(공민왕 11)-1431(세종 13)〉의 《亨齋詩集》2권에도 같은 제목의 시가 보인다.


역주
역주1 五月糶新穀 : 李德弘〈1541(중종 36)-1596(선조 29)〉의 《艮齋集》續集 4권에 “糶(조)와 糴(적)은 모두 쌀과 돈을 서로 바꾸는 것을 말하니, 자기의 쌀을 내어 남에게 주고 남의 돈과 물건을 취하는 것을 糶라 하고, 자기의 물건을 내어 남에게 주어서 남의 미곡을 취하는 것을 糴이라 한다. 그러므로 常平倉法에 풍년에는 곡식을 사들이니 [糶] 민간의 곡식이 흔하면 관청에서 사들여 쌓아두는 것을 말하고, 흉년에는 미곡을 방출하니[糴] 민간의 곡식이 귀하면 관청에서 곡식을 팔아 백성들에게 주는 것을 말한다. 이 시에서는 농부들이 곡식을 수확하기도 전에 미리 남에게서 돈이나 물건을 가져오면서 곡식을 수확하면 갚기로 약속하였다. 그러므로 ‘오월에 새 곡식을 판다.[五月糶新穀]’ 고 말한 것이다.” 하였다. 金隆〈1525(중종 20)-1594(선조 27)〉의 《勿巖集》 4권에도 糶糴에 대한 주가 보이는 바 앞의 해설과 거의 같으나, 다만 “糶糴은 빚을 내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지금 사람들은 매양 빚을 내는 것으로 이 두 글자의 뜻을 이해하니, 제대로 알지 못하는 것이다. 五月糶新穀은 또한 자기의 곡식을 미리 내어 남의 물건과 바꿈을 말한 것이다.”라고 하여 다소 차이가 있다.
동영상 재생
1 상전가 300

고문진보전집 책은 2017.12.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