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古文眞寶前集

고문진보전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고문진보전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王右軍
李白
右軍本淸眞하니
瀟洒在風塵이라
山陰遇羽客하니
이라
掃素注+ 掃素 : 古以帛書故 稱素하니 今用紙라도 亦通稱素寫道經하니
筆精妙入神이라
書罷籠鵝去하니注+ 書罷籠鵝去 : 山陰有道士하여 好養鵝러니 羲之往觀하고 求而市之한대 道士云 爲我寫道經하면 擧群相贈하리라 羲之寫畢 籠鵝而歸하니라


왕우군
이백
右軍은 본래 맑고 眞率하니
깨끗한 흉금으로 풍진 세상에 있네.
山陰에서 道士 만나니
이 거위 좋아하는 손님 사랑하였네.
흰 비단 쓸고注+옛날에는 비단에 글을 썼으므로 ‘素’라고 칭하였는데, 지금은 종이를 사용하나 또한 ‘素’라고 칭한다.
道經 쓰니
筆法이 정하여 신묘한 경지에 들어갔네.
글씨 다 쓰자 채롱에 거위 넣어 가니注+山陰에 道士가 있어 거위 기르는 것을 좋아하였는데 王羲之가 가서 보고는 팔 것을 청하자, 도사가 이르기를 “나를 위해서 道經을 써 주면 온 무리를 다 주겠다.” 하였다. 왕희지는 도경을 다 써 준 다음 거위를 새장에 넣어 가지고 돌아갔다.
어찌 일찍이 주인과 작별할까.
賞析
이 시는《李太白集》22권에 실려 있다. 東晉의 명필가인 王羲之에 대하여 있는 사실 그대로를 읊었으나 이 속에서 왕희지의 淸白ㆍ眞率ㆍ瀟灑한 風貌를 엿볼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丁範祖의 《海左集》15권에 왕희지가 글씨를 써 주고 사례로 거위를 받은 일을 소재로 한 〈王右軍山陰籠鵝〉시가 실려 있다.
“뛰어난 필법은 만고에 모범을 남겼고 蘭亭의 봄놀이는 훌륭한 문장이 전하네. 거위와 바꾼 것은 진귀한 새 보려고 한 것이 아니요 골격을 단련하는 《黃庭經》의 신선술 배우려고 해서라오.[萬古墨池留典則 春遊曲水有文章 換鵝非爲珍禽玩 要學黃庭鍊骨方]”


역주
역주1 愛此好鵝賓 : 臺本에는 ‘要’字로 되어 있으나 本集을 따라 ‘愛’字로 바로잡았다.
역주2 何曾別主人 : 金隆의 《勿巖集》4권에 “주인은 羽客을 가리킨다.” 하였다.
동영상 재생
1 왕우군 219

고문진보전집 책은 2017.12.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