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古文眞寶前集

고문진보전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고문진보전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對酒憶賀監 2수
李白
唐賀知章 字季眞이니 開元中 遷禮侍兼集賢大學士러니 天寶中 乞爲道士하여 以宅爲千秋觀한대 與之居하니라
이라
長安一相見하고
呼我謫仙人이라注+ 長安一相見 呼我謫仙人 : 知章 在紫極宮하여 一見呼白爲謫仙하니 降也
昔好盃中物터니
今爲松下塵이라
換酒處注+ 金龜換酒處 : 知章 見李白하고 因解金龜換酒하여 盡歡而罷하니라
이라


狂客歸四明하니
山陰道士迎이라
敕賜鏡湖水하니注+ 敕賜鏡湖水 : 鏡湖 在山陰이라 ○ 按賀知章 自號四明狂客하고 因請爲道士하여 還鄕里한대 詔賜鏡湖剡川一曲하니라
이라
人亡餘故宅하여
空有荷花生이라
念此杳如夢하니
凄然傷我情이라


술잔을 대하여 賀監을 생각하다
이백
唐나라 賀知章은 자가 季眞이니 開元年間에 예부시랑 겸 집현태학사로 승진하였으며, 天寶年間에 道士가 되어 집을 千秋觀으로 삼을 것을 청하자 그에게 주어 살게 하였다.
四明山에 狂客 있으니
풍류객인 賀季眞이라오.
長安에서 한 번 서로 만나보고는
나를 謫仙人이라 불렀다네.注+賀知章이 자극궁에 있으면서 한 번 李白을 보고는 謫仙이라 불렀으니, 謫은 人間으로 내려온 것이다.
옛날엔 잔 속의 물건 좋아하더니
지금은 소나무 아래 塵土 되었어라.
금거북 풀어 술 사주던 곳에注+賀知章이 李白을 보고는 인하여 금거북을 풀어 술을 사서 실컷 즐기고 헤어졌다.
옛날 생각하니 눈물이 수건 적시누나.

[또]
狂客이 四明山으로 돌아가니
山陰의 道士가 그를 맞이하였다오.
勅命으로 鏡湖의 물 하사하니注+鏡湖는 山陰에 있다.
○ 살펴보건대 賀知章이 스스로 四明狂客이라 호하고 인하여 도사가 되어서 향리로 돌아갈 것을 청하자, 鏡湖 剡川 한 굽이를 하사하도록 명하였다.

그대 때문에 누대와 못 영화로웠네.
사람은 죽어 없어지고 옛집만 남아
부질없이 연꽃만 피었구나.
이것을 생각하면 아득하기 꿈만 같으니
처량하게 나의 마음 상심하게 하네.
賞析
이 시는 《李太白集》23권에 실려 있는 바, 이 시의 幷序에 “太子賓客 賀知章이 長安의 紫極宮에서 나를 한번 보고는 謫仙人이라 부르고, 金龜를 풀어 술을 사서 즐겁게 마셨다. 서글픈 마음에 그리움이 일어 이 시를 짓는다.” 하였다. 하지장은 四明狂客이라 自號한 것에서 알 수 있듯이 曠達하고 소탈한 인물이었다. 이백이 처음 장안에 왔을 때에 이백의 시를 보고 기량을 인정해 주었으며, 술을 좋아하고 담소를 즐겨 이백의 호방한 성품과 잘 통하였던 인물이다. 그런 그가 죽자, 이백이 예전에 그와 함께 즐거웠던 추억을 떠올리며 쓸쓸한 현재의 심경을 읊은 것이다.
조선 孫肇瑞의 《格齋集》2권에도 하지장을 그리워하는 내용의 〈重憶賀監〉시가 보인다.
“江東으로 비록 가고 싶지만 누구와 함께 술 마실까. 원숭이와 학 우는 맑은 바람부는 밤에 무료하게 달만 이고 돌아오네.[江東雖欲往 誰與共銜盃 猿鶴淸風夜 無聊戴月廻]”


역주
역주1 四明有狂客 風流賀季眞 : 四明은 浙江省에 있는 山의 이름이고 季眞은 賀知章의 字인데, 하지장이 ‘四明狂客’이라고 自號하였으므로 이렇게 말한 것이다.
역주2 金龜 : 《事物紀元》에 따르면 三代 이전에는 관리들이 가죽으로 만든 算袋라는 것을 찼는데 魏나라 때에 거북 모양으로 고쳤다. 唐 高祖가 몸에 차는 물고기를 주었는데, 三品 이상은 금으로 장식했고 五品 이상은 은으로 장식하였으므로 魚袋라고 이름하였다. 則天武后 때에 거북 모양으로 바꾸었다가 얼마 후 물고기 모양으로 바꾸었다고 한다. 그렇다면 금구는 천자가 관리에게 차도록 하사한 장신구인데, 賀知章이 함부로 술을 바꾸어 마신 것을 보면 이백이 하지장을 狂客, 風流라고 칭한 것이 지나친 말은 아닐 듯하다.
역주3 却憶淚沾巾 : 賀知章이 일찍 죽었으므로 말한 것이다.
역주4 爲君臺沼榮 : 李德弘의 《艮齋集》續集 4권에 “皇帝로부터 鑑湖를 하사받고 또 臺觀을 지어 살았으니, 어찌 영화롭지 않겠는가. 湖도 沼의 뜻이다.” 하였다.
동영상 재생
1 대주억하감 296

고문진보전집 책은 2017.12.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