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古文眞寶前集

고문진보전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고문진보전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遊龍門奉先寺
杜甫(子美)
龍門 在西京河南縣하니 名闕塞山이요 一名伊闕이라
已從러니
更宿招提境이라
陰壑生하고
月林散淸影이라
象緯注+ 象緯 : 象 星之垂象於天者 五星也 不言經星者(생)하고
雲臥衣裳冷이라
聞晨鐘하니
令人發深省이라


龍門의 奉先寺에 놀다
두보(자미)
용문은 西京의 河南縣에 있으니, 일명 闕塞山(궐색산)이요 일명 伊闕이다.
이미 招提 따라 놀았는데
다시 招提의 境內에서 유숙하누나.
음침한 골짜기에서는 신령스러운 바람소리 나오고
달 비추는 숲에는 맑은 그림자 흩어지네.
하늘 높이 대궐에는 象緯注+象은 별이 하늘에 상을 드리운 것이요 緯는 五星이니 經星을 말하지 않은 것은 생략한 것이다.
가 가깝고
구름 속에 누웠으니 의상이 차가워라.
잠을 깨어 새벽 종소리 들으니
사람으로 하여금 깊은 반성 발하게 하네.
賞析
이 시는《杜少陵集》1권에 실려 있다. 용문산의 봉선사에서 노닐었던 일을 읊은 것으로 開元 23년(735) 두보가 洛陽에 있을 때에 지은 작품이다. 3~6구는 봉선사의 밤 풍경을 묘사하였고 7ㆍ8구는 산사에서 느끼는 감회를 읊었다. 깊은 골짜기에서 불어오는 맑은 바람, 숲에 청명하게 비추는 달빛, 손에 잡힐 듯한 별, 구름도 쉬어 가는 높은 산사에서 새벽 공기를 가르며 은은히 들려오는 종소리, 이러한 때에 누군들 자신을 한 번 깊이 돌아보지 않겠는가.
《益齋亂稿》4권에 李齊賢〈1287(충렬왕 13)-1367(공민왕 16)〉이 寶蓋山의 地藏寺에서 두보의 〈遊龍門奉先寺〉 韻을 사용하여 지은 시가 있으며, 이외에 趙錫胤〈1605(선조 38)-1654(효종 5)〉의 《樂靜集》5권과 李獻慶〈1719(숙종 45)-1791(정조 15)〉의 《艮翁集》8권에도 이 시에 차운한 시가 실려 있다.


역주
역주1 招提 : 梵語로 寺刹을 가리킨다. 李德弘의 《艮齋集》續集 4권에 “절에 머무는 것을 초제라고 하니, 불교용어로는 ‘招門提奢’, 중국어로는 ‘四萬僧物’이라고 하는데, 후인들이 잘못 옮겨 쓴 것이다. 절을 초제라 한 것은 門, 奢 두 글자를 생략한 것이다. 杜詩의 註에도 이와 같이 기록되어 있는데 무슨 뜻인지 상세하지 않은 바, 깊이 따질 필요가 없다.” 하였다. 金隆의 《勿巖集》에도 이와 같은 내용이 보인다.
역주2 靈籟 : 《莊子》에 자연의 소리를 天籟, 地籟, 人籟로 구분한 것에서 유래한 말이다. ‘虎籟’로 되어 있는 판본도 있다.
역주3 天闕 : 주석가들마다 의견이 분분하다. ‘闕’字는 舊本대로 ‘闚’字가 되어야 하는데 이는 闚天(天象을 살피다)으로 臥雲과 함께 도치된 표현이고 그래야 對句도 잘 호응한다는 설이 있고, 龍門의 지형이 두 산봉우리가 마주보고 우뚝 서 있어 마치 門闕과 같으므로 천궐이라고 표현하였다는 해석도 있다.
역주4 : 교
동영상 재생
1 유용문봉선사 295

고문진보전집 책은 2017.12.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