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古文眞寶前集

고문진보전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고문진보전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月下獨酌
李白(太白)
終篇 形容獨酌 曲盡其妙하니라
花下一壺酒
獨酌無相親이라
擧盃邀明月하니
對影成이라
月旣不解飮하고
影徒隨我身이라
하니
行樂須及春이라
我歌月徘徊하고
我舞影凌亂이라
醒時同交歡이나
醉後各分散이라
永結無情遊하여
相期邈雲漢이라


달 아래서 홀로 술을 따라 마시다
이백(태백)
마지막 편은 홀로 술을 따라 마시는 것을 형용하였는데, 그 묘함을 곡진히 다하였다.
꽃 아래에서 한 병 술
홀로 마시며 서로 친한 이 없다오.
잔을 들어 밝은 달 맞이하니
그림자를 대하여 세 사람 이루네.
달은 이미 술 마실 줄 모르고
그림자만 한갓 내 몸 따르누나.
잠시 달과 그림자 짝하니
行樂은 모름지기 봄철에 해야 하네.
내가 노래하면 달은 배회하고
내가 춤추면 그림자는 어지럽게 흔들리네.
깨었을 때에는 함께 사귀고 즐기나
취한 뒤에는 각기 나뉘어 흩어진다오.
無情한 놀이 길이 맺어
멀리 은하수 두고 서로 기약하노라.
賞析
이 시는 《李太白集》23권에 실려 있는 4수 중 제1수이다. 시인은 천재적인 풍부한 상상력을 통하여 ‘獨(獨酌)’에서 ‘不獨(成三人)’으로, ‘不獨(暫伴月將影)’에서 ‘獨(各分散)’으로, 다시 ‘獨’에서 ‘不獨(永結無情遊)’으로 변화하는 복잡한 감정을 독백의 형식으로 그려내었다. 표면적으로 보면 시인은 진정으로 그 즐거움을 자득한 듯 하지만 이면에는 무한한 슬픔이 내재되어 있다. 다음 편의 〈春日醉起言志〉에서도 ‘獨’과 ‘不獨’ 사이에서 고뇌하는 시인의 절대적인 고독을 엿볼 수 있다.
趙浚〈1346(충목왕 2)-1405(태종 5)〉의 《松堂集》에도 달 아래서 홀로 술을 마시는 내용을 읊은 시가 보인다.


역주
역주1 三人 : 홀로 잔을 기울이는 자신과 하늘의 밝은 달, 그리고 달빛에 비친 자신의 그림자를 합하여 말한 것이다.
역주2 暫伴月將影 : ‘將’은 ‘與’와 같은 바, 달과 그림자를 벗할 수 있는 시간이 짧음을 표현하였다.
동영상 재생
1 월하독작 492

고문진보전집 책은 2017.12.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