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古文眞寶前集

고문진보전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고문진보전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幽懷
韓愈
幽懷不可寫하여
行此春江潯이라
適與佳節會하니
士女競光陰이라
凝妝耀洲渚하고
繁吹蕩人心이라
間關林中鳥
知時爲和音이라
豈無一樽酒리오
自酌還自吟이라
但悲時易失하여
四序迭相侵이라
我歌하니
이라


그윽한 懷抱
한유
그윽한 회포 쏟을 길 없어
이 봄에 강가 거닐고 있네.
마침 아름다운 철 만나니
男女들 光陰을 다투누나.
짙은 화장 물가에 비치고
요란한 피리소리에 사람 마음 일렁이네.
곱게 우는 숲속의 새들
철을 알고 아름답게 지저귀누나.
어찌 한 동이의 술 없으리오
혼자 따라 마시고 다시 혼자 읊노라.
다만 좋은 철은 잃기 쉬워
四時의 節氣 번갈아 바뀜 슬퍼하네.
내 君子行 노래하노니
옛날을 보니 지금을 보는 것과 같구나.
賞析
이 시는《韓昌黎集》2권에 실려 있는데, 마지막 두 구인 ‘我歌君子行 視古猶視今’을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대의가 달라진다. 〈視古猶視今〉은 王羲之의 〈蘭亭記〉의 ‘後之視今 亦猶今之視昔 悲夫’에서 따온 말이다. 왕희지의 원의를 그대로 옮겨왔다면 자신이 시간의 흐름을 슬퍼하듯이 고인도 시간의 흐름을 슬퍼한다는, 시간의 덧없음을 노래한 시가 된다. 그러나 《文選》에 실려 있는 古樂府인 〈君子行〉은 군자는 힘써 도를 지켜 혐의를 피하고 시간을 아끼며 賢士를 애써 구해야 한다는 내용이므로 ‘我歌君子行’이라는 말이 ‘視古猶視今’과는 잘 어울리지 않는다. 왕희지의 말을 斷章取義하여 옛날의 군자들이 시간을 아끼며 德을 쌓았듯이 지금 우리도 그래야 한다는 뜻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듯하다.


역주
역주1 君子行 : 樂府의 詩歌로 本書 11권에 실려 있다.
역주2 視古猶視今 : 李德弘의 《艮齋集》續集 4권에 “옛날의 君子를 보건대 그 心事가 지금의 군자와 다름이 없으므로 이렇게 말한 것이다.” 하였다. 金隆의《勿巖集》에도 이와 같은 내용이 보인다.
동영상 재생
1 유회 296

고문진보전집 책은 2017.12.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