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古文眞寶前集

고문진보전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고문진보전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歸田園
陶潛
敍東皐之勝槪하고 終歸於農桑之務本 朋友之責善也
種苗在東皐하니
苗生滿阡陌이라
雖有荷鋤倦이나
濁酒聊自適이라
日暮巾柴車하니
路暗光已夕이라
歸人望煙火하고
稚子候簷隙이라
問君亦何爲
이라
但願桑麻成하여
蠶月得紡績이라
素心正如此하니
開逕望三益이라注+三益 : 論語 益者三友 損者三友라하니라


田園으로 돌아가다
도잠
동쪽 언덕의 아름다운 경치를 서술하고 끝에는 農桑의 본업을 힘씀과 朋友의 責善에 귀결되었다.
동쪽 언덕에 모 심으니
모가 자라 두둑에 가득하네.
비록 호미 메고 다니는 수고로움 있으나
濁酒로 애오라지 스스로 즐긴다오.
해 저물자 나무 수레 묶어 돌아오니
햇빛이 이미 져 저녁길 어두워라.
돌아가는 사람 연기 바라보며
어린 자식 처마 틈에서 기다리네.
그대에게 묻노니 또 무엇 하는가
人生 百年에는 마땅히 해야 할 일 있다오.
다만 뽕나무와 삼 잘 자라
누에치는 달에 길쌈하기 원하네.
평소의 마음 진정 이와 같으니
길 열고 세 좋은 벗注+《論語》에 “유익한 벗이 셋이요 손해되는 벗이 셋이다.” 하였다. 오기를 바라노라.
賞析
이 시는 《陶靖節集》2권에 실려 있는〈귀전원거〉6수 중 마지막 편으로 작자에 대하여 논란이 있다. 《文選》31권에는 도연명의 작이 아니라 江文通(江淹)이 지은 〈雜體詩〉 30수 중 하나인 〈陶徵君田居〉시로 되어 있는 바, 이 때문에 마지막 수를 제외한 5수만을 도연명의 작이라 하여 〈귀전원거〉시는 전체 6수가 아니라 5수라고 보기도 한다. 강엄은 梁나라의 시인으로 원작과 구별하기 어려울 만큼 擬古를 잘하였다.


역주
역주1 百年會有役 : 會는 當[마땅히]의 뜻이다. 李德弘의 《艮齋集》續集 4권에는 “사람은 평생동안 응당 해야 할 일이 있으니, 내 어찌 홀로 할 일이 없을 수 있겠는가. 이 때문에 농사에 진력한다는 뜻이다.” 하였고, 金隆의《勿巖集》4권에는 “농사에 힘을 다해야 함을 말한 것이다.” 하였다.
동영상 재생
1 귀전원 221

고문진보전집 책은 2017.12.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