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古文眞寶前集

고문진보전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고문진보전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責子
陶潛
白髮被兩鬢하니
肌膚不復實이라
雖有五男兒注+雖有五男兒 : 淵明 有子五人하니 長曰舒 次曰宣이요 三曰雍이요 四曰端이요 五曰通이라
總不好紙筆이라
已二八이나
懶惰故無匹이요
阿宣이나
而不愛文術하고
雍端年十三이나
不識六與七이요
通子垂九齡이나
但覓梨與栗이라
天運苟如此하니
且進盃中物하라注+ 天運苟如此 且進盃中物 : 淵明歸之天運하고 自飮盃中酒하여 以釋憂悶也


아들을 꾸짖다
도잠
백발이 양 귀밑머리 덮으니
살갗도 다시는 充實하지 못하네.
비록 다섯 아들 있으나注+陶淵明은 아들이 다섯 명 있었는데, 장자는 舒이고 둘째는 宣이고 셋째는 雍이고 넷째는 端이고 다섯째는 通이다.
모두 종이와 붓 좋아하지 않누나.
舒는 이미 열여섯 살 되었으나
게으르기 진실로 비할 데 없고
宣은 行年이 志學의 나이 되었으나
文學을 좋아하지 않으며
雍과 端은 나이 열세 살이나
여섯과 일곱도 알지 못하고
通이란 놈은 아홉 살 되었으나
단지 배와 밤만 찾누나.
天運이 진실로 이와 같으니
우선 잔 속의 술이나 올리라.注+陶淵明은 이를 天運으로 돌리고 스스로 잔 속의 술을 마셔 근심과 고민을 풀어버린 것이다.
賞析
이 시는《陶靖節集》3권에 실려 있으며, 舒ㆍ宣ㆍ雍ㆍ端ㆍ通은 舒儼ㆍ宣俟ㆍ雍份ㆍ端佚ㆍ通佟 등 다섯 아들의 小名이다. 이 시에 대하여 杜甫와 黃庭堅은 상반된 평가를 하였다. 두보는〈遣興〉 시에서 “陶潛은 세속을 피한 노인이지만 반드시 도를 통달하지는 못했으리라.……자식이 어질든 어리석든 어찌 그리도 마음속에 둔단 말인가.[陶潛避俗翁 未必能達道……有子賢與愚 何其挂懷抱]”라고 하여 부정적으로 평한 반면, 황정견은 〈書陶淵明責子詩〉 後說에서 “도연명의 시를 보면 느긋하고 편안한 사람임을 알 수 있으니, 자상함과 해학이 볼 만하다. 속인들은 도연명의 자식들이 모두 불초하여 도연명의 슬픔과 탄식이 시로 나타났다고 말하지만 백치 앞에선 꿈 이야기를 할 수 없는 법이다.”라고 하여 도리어 칭찬하였다.
鄭弘溟〈1592(선조 25)-1650(효종 1)〉의 《畸庵集》1권에도 이 시에 차운한 시가 보이는 바, “가업을 마침내 맡길 곳이 없으니 생각함에 다만 근심스럽고 두렵네. 버려져서 죽는다면 누가 다시 이 몸을 기억해줄까.[家業竟無託 念來祗憂栗 棄置乘化去 誰復記此物]” 라고 하여, 늙고 병들어 여생이 얼마 남지 않았는데 家業을 유지할 훌륭한 자식이 없음을 한탄하고 있다.


역주
역주1 阿舒 : 阿는 美稱, 또는 아이란 뜻이며 舒는 그의 이름이다.
역주2 行志學 : 行은 行年으로 나이가 먹은 것을 이르며 志學은 학문에 뜻한 나이란 뜻으로 15세를 가리키는 바, 《論語》〈爲政〉에 “나는 15세에 학문에 뜻하였다.[吾十有五而志于學]”고 보인다. 그러나 金隆의 《勿巖集》4권에는 “行은 將(장차)의 뜻이다.”라고 하였다.
동영상 재생
1 책자 281

고문진보전집 책은 2017.12.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