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古文眞寶前集

고문진보전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고문진보전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田家
柳宗元(子厚)
古道饒蒺藜하니
縈廻古城曲이라
蓼花被隄岸하니
陂水寒更綠이라
是時收穫竟하니
落日多樵牧이라
風高楡柳疎하고
霜重梨棗熟이라
行人迷去徑이요
野鳥競棲宿이라
田翁笑相念하여
이라
今年幸少豊하니
無惡饘與粥이라


농가
유종원(자후)
옛길엔 질려 많은데
옛성 굽게 둘러 있네.
여뀌꽃 방죽 언덕 뒤덮고
방죽의 물 차갑고도 푸르누나.
이때에 수확 마치니
지는 해에 樵夫와 牧童들 많구나.
바람 높으니 느릅나무와 버드나무 앙상하고
서리 짙으니 배와 대추 익어가네.
행인들은 갈 길 잃고
들새들은 깃들 곳 다투어 잠자누나.
늙은 농부 웃으며 서로 염려해 주어
어두운 밤에 언덕 조심하라 하네.
금년엔 다행히 다소 풍년 들었으니
미음이든 죽이든 싫어하지 말구려.
賞析
이 시는 《柳河東集》43권에 실려 있는 〈田家〉시 3수 중 마지막 수로, 나그네의 관점에서 시골의 가을 풍경과 시골 사람의 人情을 노래한 自然詩이다. 柳宗元은 韓愈와 함께 古文의 大家로 일컬어지는데, 시에 있어서는 도연명과 흡사하다. 蘇軾은 유종원의 시를 평가하여 “子厚(유종원)의 시는 陶淵明의 아래, 韋蘇州(韋應物)의 위에 있다. 退之(한유)는 豪放과 奇險에 있어서는 뛰어나지만 溫麗와 精深에 있어서는 부족하다. 枯淡을 귀하게 여기는 까닭은 겉은 말랐어도 속은 기름지고, 담박한 듯하면서도 실제는 아름답기 때문이니[外枯而中膏 似淡而實美], 연명과 자후가 이러한 부류이다.” 하였다. 본서 3권에 제2수가 함께 실려 있다.


역주
역주1 昏黑愼原陸 : 어두운 밤중이니 길을 조심해 가란 뜻으로, 李德弘의 《艮齋集》續集 4권에 “바로 農家에서 서로 위로하고 서로 염려해 주는 말이다.” 하였다.
동영상 재생
1 전가 282
동영상 재생
2 전가 706

고문진보전집 책은 2017.12.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