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古文眞寶前集

고문진보전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고문진보전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直中書省
直宿中書省闥所作也
紫殿肅陰陰하고
彤庭赫弘敞이라
風動萬年枝注+ 萬年枝 : 今之冬靑樹 或以爲羅漢柏者非也
日華承露掌이라注+承露掌 : 漢武帝作承露銅盤하니 高三十丈이요 大十圍 上有仙人掌하여 擎玉盃하여 以承雲表之露하니 和玉屑飮之하면 云可長生이라
이요
深沈映이라
紅藥當階翻이요
蒼苔依砌上이라
玆言翔鳳池注+鳳池 : 中書地在禁近하고 秉鈞持衡하여 多承寵任이라 是以 人固其位하니 謂之鳳凰池
鳴珮多淸響이라
信美非吾室이니
中園思偃仰이라
朋情以鬱陶하고
春物方駘蕩이라
安得凌風翰하여
聊恣山泉賞注+紫殿肅陰陰……聊恣山泉賞 : 首言中書省之美麗하고 終思園林之閑雅 方春而鬱陶하여 以思我交朋하니 安得羽翰하여 凌風而歸하여 恣賞山林泉石也리오


中書省에서 숙직하다
사영운
이는 中書省에서 숙직하면서 지은 것이다.
붉은 궁전은 으슥하고 침침하며
궁전의 뜰은 밝고도 넓게 트여 있네.
바람은 萬年枝注+萬年枝는 지금의 冬靑나무이니, 혹자는 羅漢柏이라고 하나 옳지 않다. 움직이고
햇빛은 承露掌注+漢나라 武帝가 이슬을 받는 구리 쟁반을 만드니 높이가 30丈이요 크기가 열 아름이었다. 위에 仙人掌(신선의 손바닥)이 있어서 옥 잔을 받들어 구름 밖의 이슬을 받는데, 여기에 옥가루를 타서 마시면 長生不死할 수 있다고 한다.에 비치누나.
영롱한 창에는 비단을 돈 모양으로 잘라 장식하고
깊은 문살은 붉은 網紗처럼 비치누나.
붉은 芍藥은 뜰에서 펄럭이고
푸른 이끼는 섬돌 따라 올라오네.
이 鳳凰池注+中書省은 宮中의 가까운 곳에 있고 銓衡을 맡아 총애를 많이 받는다. 이 때문에 사람들이 그 지위를 견고하게 여겨 鳳凰池라 이른 것이다.
울리는 佩玉소리 맑고 요란하네.
진실로 아름답지만 나의 집 아니니
고향의 동산 가운데에서 한가롭게 지낼 생각하노라.
벗 그리워하는 情 가슴속에 맺혀 있고
봄의 風物은 한창 화창해라.
어이하면 바람 탈 나래 얻어
山泉 마음껏 구경할 수 있을는지.注+처음에는 中書省의 아름답고 화려함을 말하였고 마지막에는 동산과 숲의 한가롭고 고상함을 생각하였다. 봄을 당하여 울적해져서 나의 다정한 벗을 그리워하니, 어이하면 나래를 얻어 바람을 타고 돌아가서 山林과 泉石을 마음껏 구경할 수 있겠는가.
賞析
이 시는 建武 2년(495) 謝脁가 중서성에 숙직하면서 지은 것인 듯하다. 魏ㆍ晉 이래로 南朝의 시인들 사이에는 宦路에 진출하기를 바라면서도 한편으로는 山林에 은거하여 한가롭게 지내기를 원하는 풍조가 만연하였다. 이 시에도 이러한 점이 그대로 나타나 있는 것으로 보아 당시의 인생관을 대변하는 시라고 볼 수 있다.


역주
역주1 謝靈運 : 이 시는 사영운의 작이 아니라 謝脁의 작으로 보는 것이 옳다. 사영운은 中書省에서 벼슬한 적이 없었는 바, 《文選》30권에도 이 시를 사조의 작으로 보았다. 중서성은 天子의 詔命을 작성하는 일을 맡은 관청으로 사조는 이 무렵 中書部으로 있었다.
역주2 玲瓏結綺錢 : 李德弘의 《艮齋集》續集 4권에 “玲瓏은 밝은 모양이고 綺錢은 둥근 모양의 깁으로 창을 바른 것이다. 지금에 闕內의 창문과 같으니, 모두 둥근 모양을 새겨 빙둘러 엮어 놓아서 마치 돈을 뿌려놓은 것과 같으므로 이렇게 말한 것이다.” 하였다. 金隆의 《勿巖集》에도 이와 같은 내용이 보인다.
역주3 朱網 : 李德弘은 “지금 궁궐의 처마 밑에 철망으로 그물을 쳐서 새들을 막는 것과 같은 것이다.” 하였다. 金隆의《勿巖集》에도 이와 같은 내용이 보인다.
동영상 재생
1 직중서성 588

고문진보전집 책은 2017.12.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