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古文眞寶前集

고문진보전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고문진보전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樂府 上
無名氏
此詩去古未遠하여 頗有三百篇之遺風하니라 ○ 古樂府三篇 此篇居首 故曰上이라 本題曰飮馬長城窟行이라
靑靑河畔草
綿綿思遠道
遠道不可思하니
夙昔夢見之라지
夢見在我傍터니
忽覺在他鄕이라
他鄕各異縣하여
輾轉不可見이라注+輾轉不可見 : 輾者 轉之半이요 轉者 輾之周 皆臥不安席之意
이라
入門各自媚하니
誰肯相爲言
客從遠方來하여
遺我雙鯉魚
呼童烹鯉魚하니
中有尺素書
長跪讀素書하니
書中竟何如
上有加餐食하고
下有長相憶이라


악부 상
무명씨
이 詩는 옛날과 거리가 멀지 않아 자못 《詩經》의 遺風이 있다.
○ 古樂府 세 편 중에 이 편이 맨앞에 있기 때문에 上이라고 한 것이다. 원래의 제목은 〈飮馬長城窟行〉이다.
푸르고 푸른 河水가의 풀이여
면면히 이어진 먼 길 생각하게 하네.
먼 길 가신 임 생각할 수도 없으니
난밤 꿈속에 보았노라.
꿈속에 보니 내곁에 계시더니
갑자기 깨어보니 他鄕에 계시누나.
타향이라 각기 고을이 달라
몸 뒤척이며 그리워해도 볼 수 없네.注+輾은 반쯤 돈 것이요 轉은 한 바퀴를 돈 것이니, 모두 자리에 누워도 편안하지 못한 뜻이다.
마른 뽕나무도 흔들려 하늘의 바람 알고
바닷물도 얼어 날씨가 추움 안다네.
문에 들어가면 각기 스스로 반가워하니
누가 기꺼이 나에게 임소식 말해줄까.
손님이 먼 지방으로부터 와서
나에게 한 쌍의 잉어 주었네.
아이를 불러 잉어 삶게 하니
뱃속에 한 자의 흰 비단 편지 있었네.
길게 무릎꿇고 흰 비단 편지 읽으니
편지 가운데에 끝내 무어라고 쓰였는가.
위에는 몸을 아껴 식사 더하라 하였고
아래에는 길이 서로 생각한다 하였다오.
賞析
樂府는 원래 漢 武帝 때 설립한 음악을 담당하던 기관으로, 文人들이 頌德한 詩歌에 曲譜를 만들고 아울러 새로운 歌舞를 제작 연주하였으며, 또 민간의 歌辭를 채집하기도 하였는데, 후대에는 이러한 가사를 樂府라고 불렀다. 《文選》27권 악부 상의 첫머리에 악부 4수가 실려 있는데, 이 시는 그중 제1수로 제목이 〈飮馬長城窟行〉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악부 상〉이라 제목한 것은 문선 27권에 樂府 上으로 14수가, 28권에 樂府 下로 27수가 수록되어 있는데, 문선 27권의 제목을 그대로 따른 것이다. 長城은 秦 나라가 오랑캐를 대비하기 위하여 쌓은 것인데, 그 아래에 泉窟이 있어 말에게 물을 먹일 수 있었다. 정벌하러 간 나그네가 長城에 이르러 말에게 물을 먹이며 아내를 그리워 하였으므로 〈음마장성굴행〉이라 이름하였는 바, 시 중에 아내를 그리는 괴로운 심정과 절박한 소망이 정밀하게 묘사되어 있다.


역주
역주1 枯桑知天風 海水知天寒 : 《文選》李善 注에 “枯桑無枝尙知天風 海水廣大尙知天寒”이라 하였으니, 즉 마른 뽕나무는 가지가 없어도 여전히 찬바람이 부는 것을 알고 바닷물은 광대하여 얼지 않지만 그래도 날씨가 추워진 것을 안다는 뜻으로, 사물은 모두 자연을 느끼는 感을 지녔음을 말한 것이다. 枯桑과 海水를 婦人에 비유하여 征夫의 고통을 다 알고 있음을 뜻한다고 보기도 한다. 李德弘의《艮齋集》續集 4권에는 “물건이 서로 응함을 널리 말하여 사람이 서로 감응함을 말한 것이다.” 하였고, 金隆의《勿巖集》에는 “이는 물건이 서로 응함을 말한 것이니, 사람이 서로 감응함을 증명하였으나 오히려 분명히 드러내지는 않았다.” 하였다.
동영상 재생
1 악부 상 400

고문진보전집 책은 2017.12.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