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古文眞寶前集

고문진보전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고문진보전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佳人
杜甫
絶代有佳人하니
幽居在空谷이라
自云良家子
零落依草木이라
하여
兄弟遭殺戮이라
官高何足論
不得收骨肉이라
世情惡衰歇하니
이라
夫婿輕薄兒
新人美如玉이라
合昏尙知時注+合昏尙知時 : 本草 合歡 卽夜合也 一名合昏이니 其葉 至昏而卽合이라
鴛鴦不獨宿이라
但見新人笑
那聞舊人哭
이라注+在山泉水淸 出山泉水濁 : 情因所習而遷移 猶水因所遇而淸濁하니 此亦佳人念夫之辭也
侍婢賣珠廻하여
牽蘿補茅屋이라
摘花不揷髮하고注+摘花不揷髮 : 亦詩所謂豈無膏沐이리오 誰適爲容之意
이라
天寒翠袖薄하니
日暮倚脩竹이라注+天寒翠袖薄 日暮倚脩竹 : 天色已寒而翠袖尙薄하니 喩時之亂離而君子在外也 柏與竹 歲寒不改其操하니 采柏倚竹이면 則所思遠矣 猶君子見逐於君호되 操守不易하니 所以爲忠臣貞婦


가인
두보
絶世의 佳人 있으니
그윽한 집 빈 골짝에 있네.
스스로 말하기를 양가집 딸로
몰락하여 草木에 의지해 있다오.
關中에서 옛날 敗戰할 때에
兄弟가 殺戮 당했다오.
벼슬이 높음 말해 무엇하리오
骨肉도 거두지 못하였다오.
세상의 人情 가문이 쇠함 싫어하니
만사가 촛불따라 바뀌듯 하네.
남편은 경박한 사람이요
새로 온 여인은 옥처럼 아름답다오.
合昏草도 오히려 때를 알고注+《本草》에 “合歡은 夜合이다. 일명은 合昏이니, 잎이 저녁이 되면 곧 합한다.” 하였다.
원앙새도 홀로 잠자지 않거늘
다만 새 여인의 웃음소리만 보니
어찌 옛 아내의 울음소리 들리리오.
산에 있으면 샘물이 맑고
산을 나가면 샘물이 흐리다오.注+情이 익숙한 바에 따라 옮겨 감은 물이 만나는 바에 따라 맑아지고 흐려지는 것과 같으니, 이 또한 佳人이 남편을 그리워하는 말이다.
모시는 계집아이 구슬 팔아 돌아와서
댕댕이 덩굴 끌어다가 초가지붕 이누나.
꽃을 따지만 머리에 꽂지 않고注+《詩經》의 이른바 “어찌 기름 바르고 머리 감지 않겠는가마는 누구를 위하여 모양을 내겠는가.” 하는 뜻이다.
측백나무 잎 뜯어 어느덧 한 줌에 가득하다오.
날씨는 춥고 푸른 옷소매 얇으니
해 저물제 긴 대나무 숲에 의지해 있노라.注+하늘빛이 이미 차가운데 푸른 소매가 아직도 얇으니, 세상에 난리가 나서 군자가 밖에 있음을 비유한 것이다. 측백나무와 대나무는 날씨가 추워져도 지조를 바꾸지 않으니, 측백나무잎을 뜯고 대나무에 의지했다면 생각하는 바가 원대한 것이다. 군자가 군주에게 쫓겨났으나 지조를 지켜 바꾸지 않는 것과 같으니, 이러므로 충성스러운 신하와 정절있는 부인이 되는 것이다.
賞析
이 시는《杜少陵集》7권에 실려 있다. 佳人을 아름다운 덕을 지닌 賢者를 비유한 것으로 보아, 關中의 敗戰이후 老成한 인물들이 衰落하고 기용된 자들이 모두 新進少年 들임을 서글퍼하여 지은 것이라는 說이 종래의 해석이었다. 그런데 《杜詩詳注》에는 “天寶의 난 이후 실제 이러한 여인이 있었으므로 그 情을 곡진하게 형용한 것이다. 종래에는 이 시가 쫓겨난 신하를 버림받은 여인에 비유하여 新進이 함부로 날뛰고 老成한 이들이 凋落함을 슬퍼하여 지은 것이라고 하였는데, 허구로 지어서는 이처럼 눈물나게 할 수 없을 듯하다.” 하여 가인을 버림받은 여인으로 보았다.
조선 중기의 文臣인 鄭士信〈1558(명종 13)-1619(광해군 11)〉의 《梅窓集》에도 옛 주석의 잘못을 지적하여 “이는 당시 한 가인이 있었는데, 형제가 모두 喪敗하고 남편에게 사랑을 받지 못하였으나 貞靜으로 몸을 지키는 자가 있었다. 그러므로 杜子美가 이 사실을 읊어 堅貞하고 淸苦하여 지조를 변치 않는 뜻을 붙인 것이다. 다만 《詩經》〈國風〉의 比興으로 볼 때 采柏과 倚竹은 賢人 君子에 흥을 붙인 뜻이 없지 않을 뿐이다.” 하였다.
丁範祖〈(1723(경종 3)-1801(순조 1)〉의 《海左集》1권에도 같은 제목의 시가 실려 있다.


역주
역주1 關中昔喪敗 : 關中은 陝西省의 函谷關 以西 地方으로 長安을 이르는 바, 安祿山이 亂을 일으켜 장안을 함락시킨 일을 가리킨 것이다.
역주2 萬事隨轉燭 : 李德弘의《艮齋集》續集 4권에 “轉은 옮긴다는 뜻이다. 촛불을 동쪽에 놓으면 동쪽이 밝고 서쪽에 놓으면 서쪽이 밝으니, 이곳이 밝으면 저곳이 어둡고 저곳이 밝으면 이곳이 어둡다. 世間의 禍福, 盛衰, 悲歡, 通塞이 모두 이와 같다. 그러므로 취하여 비유한 것이다.” 하였다. 金隆의《勿巖集》에도 이와 같은 내용이 보인다.
역주3 在山泉水淸 出山泉水濁 : 李德弘은 “남편의 情을 비유한 것이니, 만나는 대상에 따라 마음이 변화하여 舊人을 대할 때에는 마음이 善良하다가 新人과 함께 있을 때에는 마음이 淫僻해지므로 근심하여 탄식한 것이다.” 하였고, 金隆은 “泉水의 淸濁을 취하여 남편의 情을 비유한 것이니, 만나는 대상에 따라 마음이 변화하여 일정함이 없는 것이다.” 하였다.
역주4 采柏動盈掬 : 측백나무는 소나무와 함께 겨울에도 잎이 떨어지지 않고 푸르러 志節이 있는 사람을 비유하므로 남편의 지조와 절개를 축원하는 뜻에서 측백나무의 잎을 딴 것이다.
동영상 재생
1 가인 634

고문진보전집 책은 2017.12.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