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古文眞寶前集

고문진보전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고문진보전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司馬溫公獨樂園
蘇軾(子瞻)
公居洛할새 於國子監之側 得故營地하여 創獨樂園하니라
靑山在屋上하고
流水在屋下
中有五畝園하니

花香襲杖屨하고
竹色侵盞斝
樽酒樂餘春하고
棋局消長夏
洛陽古多士하니
風俗猶爾雅
하니
冠盖傾
雖云與衆樂이나
中有獨樂者
하니
所貴知我寡注+所貴知我寡 : 老子云 知我者希 則我貴矣라하니라
先生獨何事
四海望陶冶

持此欲安歸




司馬溫公의 獨樂園
소식(자첨)
溫公이 洛陽에 거할 적에 국자감 곁에서 옛 營地를 얻어 獨樂園을 창건하였다.
푸른 산은 지붕 위에 있고
흐르는 물은 지붕 아래에 있네.
가운데에 五畝의 동산 있으니
꽃과 대나무 빼어나고 자연스럽다오.
꽃 향기는 지팡이와 신에 스며들고
대나무 빛은 술잔에 들어오누나.
항아리의 술로 남은 봄 즐기고
바둑판으로 긴 여름 소일한다오.
洛陽에는 옛부터 선비 많으니
風俗이 아직도 바름에 가까워라.
先生이 누워 세상에 나오지 아니하니
冠 쓰고 日傘 쓴 洛社의 貴人들 모두 사모하네.
비록 여러 사람과 즐긴다고 하나
그 중에는 홀로 즐기는 것 있다오.
재주가 온전하여도 德을 드러내지 않으니
귀한 것은 나를 알아주는 이 적은 거라오.注+《老子》에 이르기를 “나를 알아주는 이가 드물면 내가 귀해진다.” 하였다.
先生은 홀로 무슨 일로
四海에서 陶冶해 주기 바라는가.
아이들도 君實을 외우고
달리는 병졸들도 司馬를 아네.
이 명성 가지고 어디로 돌아가려 하오
造物主가 나를 놓아두지 않으리라.
名聲이 우리들 좇아다니니
이 병은 하늘이 죄수의 옷 입힌 것과 같다오.
손뼉 치며 선생을 웃노니
年來에 벙어리 흉내 내는구려.
賞析
이 시는 熙寧 10년(1077) 5월 6일 徐州에서 지은 것으로 《蘇東坡集》3책 8권에 실려 있다. 소식과 司馬溫公은 오랜 정치상의 교우로서 소식이 온공에게 준 편지에 “오래도록 공이 새로 지은 글을 보지 못하여 홀연 〈獨樂園記〉를 꺼내 음미하였다. 문득 스스로 시 한 수를 지어 그런 대로 한번 웃음거리로 삼는다.”라고 한 것으로 보아 이 시가 지어진 배경을 알 수 있다. 사마온공의 독락원에 대해서는 宋나라 李格非(字 文叔)의 〈洛陽名園記〉에 “사마온공이 洛陽에 있을 때에 迂叟라 自號하고 그 정원을 獨樂園이라 칭하였다. 정원이 극히 협소하여 다른 정원에 비할 바가 못되었으니, 讀書堂은 수십 개의 서까래로 지은 작은 집이었고 澆花亭은 더욱 작았으며 弄水種竹齋는 그보다 더 좁았고 見山臺는 높이가 한 길에 불과하였다. 釣魚菴과 採藥圃는 다만 대나무 끝이 얽혀서 낙엽이 무성하고 잡초가 우거져 있을 뿐이었다. 그런데도 온공이 스스로 지은 序와 여러 누대와 정자를 노래한 詩가 세상에 많이 알려져 있는 것은 사람들이 흠모하는 바가 정원에 있지 않고 사람에게 있기 때문이다.” 하였다. 이 시 또한 독락원을 빌어 사마온공의 인품을 칭송한 것이다. 사마온공의〈독락원기〉는 본서 후집 6권에 실려 있다.


역주
역주1 花竹秀而野 : 李德弘의《艮齋集》續集 4권에 “동산이 들판처럼 거칠지 않으면서도 자연스러운 정취가 있는 것은 꽃과 대나무가 그윽하고 무성해서 그러한 것이다.” 하였다. 金隆의《勿巖集》에도 이와 같은 내용이 보인다.
역주2 先生臥不出 : 司馬光은 新法을 주장하는 王安石과 뜻이 맞지 않자 洛陽으로 돌아가 15년 동안 일체 국정을 논하지 않았으므로 말한 것이다.
역주3 洛社 : 당시 나이 많은 名士들의 모임인 洛陽耆英會를 이른다. 唐나라의 白居易가 일찍이 香山九老會를 결성하였는데, 노재상인 文彦博이 이것을 본떠 富弼 등 70세 이상의 명사들을 모아 洛陽耆英會를 만들었는 바, 당시 司馬光의 나이가 50세 밖에 되지 않았는데 그를 흠모하여 이 모임에 넣었으므로 말한 것이다.
역주4 才全德不形 : 《莊子》〈德充符〉에 “是必才全而德不形”이라고 보이므로 이것을 인용한 것이다.
역주5 兒童誦君實 走卒知司馬 : 君實은 司馬光의 字이고 司馬는 그의 姓이므로 아이들이나 병졸들까지도 모두 그의 훌륭한 명성을 듣고 사모함을 말한 것이다.
역주6 造物不我捨 : 李德弘은 “德을 감추고자 하나 덕이 더욱 밝게 드러나고 이름을 감추고자 하나 이름이 더욱 성대하니, 비단 人望이 따르는 바여서 벗어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조물주도 자신(司馬溫公)을 내버려두려 하지 않는다는 말이다. 말구의 喑啞는 溫公이 훌륭한 명성이 있으면서도 감추고 침묵할 줄 아는 뜻을 나타낸 것이다.” 하였다. 金隆의《勿巖集》에도 이와 같은 내용이 보인다.
역주7 名聲逐我輩 此病天所赭 : 赭는 죄수들이 입는 붉은 옷으로 곧 형벌을 의미한다. 몸에 항상 명성이 따르는 것도 병이라 하고 이것을 하늘이 내린 벌이라고 농담한 것이다. 李德弘은 “上古時代에는 죄인들에게 붉은 옷을 입혀서 보통사람들과 구별하였으니, 天赭는 하늘이 벌을 내림을 말한 것이다. 陳搏이 種放에게 이르기를 ‘名聲은 고금에 아름다운 물건이나 조물주는 그것을 꺼린다.’ 라고 하였으니, 또한 이 뜻이다.” 하였고, 金隆의《勿巖集》에도 이와 같은 내용이 보인다.
역주8 撫掌笑先生 年來效喑啞 : 司馬光이 지금은 비록 벼슬을 내놓고 벙어리 흉내를 내고 있으나 하늘이 끝내 버리지 아니하여 불원간 다시 세상에 나와 四海의 백성들을 구제할 것이므로 말한 것이다.
동영상 재생
1 사마온공독락원 597

고문진보전집 책은 2017.12.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