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明心寶鑑

명심보감

범례 |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景行錄云 寶貨이요 忠孝이니라
어니와 不義富如何但存一子孝리오
父不憂心因子孝이라 言多語失皆因酒이니라
取非常樂이어든防不測憂니라
得寵思辱하고
榮輕辱淺하고利重害深이니라
甚譽必甚毁甚喜必甚憂必甚亡이라
曰 不觀高崖 何以知顚墜之患이며不臨深泉이면 何以知沒溺之患이며不觀巨海 何以知風波之患이리오
欲知未來인대 先察이니라
子曰 明鏡 所以察形이요往者 所以知今이니라
過去事 明如鏡이요未來事 暗似이니라
景行錄云 之事 不可이요 薄暮之事 不可必이니라
有不測風雨하고有朝夕禍福이니라
未歸三尺土하여는 難保이요 已歸三尺土하여는 難保百年墳이니라
景行錄云 木有所養이면 則根本固而枝葉茂하여 棟樑之材成하고이면 則泉源而流派長하여 灌漑之利博하고人有所養이면 則志氣大而識見明하여 忠義之士出이니
自信者 人亦信之하여 皆兄弟
疑人莫用하고用人勿疑니라
云 水底魚天邊雁 高可射低可釣어니와惟有人心咫尺間 咫尺人心不可料니라
畵虎畵皮難畵骨이요
對面共話하되 心隔千山이니라
海枯終人死不知心이니라
太公曰 不可이요海水 不可斗量이니라
景行錄云 結怨於人 捨善不爲 謂之自이니라
飽煖 思淫慾하고飢寒이니라
多財損其志하고多財則益其過니라
人貧智短하고 福至心靈이니라
不經一事不長一智니라
是非終日有라도 不聽自然無니라
來說是非者是非人이니라
擊壤詩云 不作皺眉事 世上 應無切齒人이라大名 豈有 路上行人 口勝碑니라
有麝自然香이니
有福莫享盡하라 福盡身貧窮이요有勢莫使盡하라 勢盡寃相逢이니라福兮常自惜하고 勢兮常自恭하라人生驕與侈 有始多無終이니라
曰 留有餘不盡之巧하여 以還造物하고留有餘不盡之祿하여 以還朝廷하고留有餘不盡之財하여 以還百姓하고留有餘不盡之福하여 以還子孫이니라
黃金千兩 得人一語 勝千金이니라
巧者 拙之奴苦者 樂之母니라
小船 難堪重載深逕 不宜獨行이니라
黃金 未是貴安樂니라
在家邀賓客이면出外이니라
無相識이요有遠親이니라
人義 盡從貧處斷이요世情向有錢家니라
寧塞이언정 難塞이니라
人情 皆爲窘中疎니라
曰 郊天禮廟 非酒不享이요君臣朋友 非酒不義鬪爭相和 非酒不勸이라 酒有成敗而不可泛飮之니라
子曰 士志於道而恥惡衣惡食者니라
荀子曰 士有妬友則賢交不親하고君有則賢人不至니라
天不生無祿之人하고地不長無名之草니라
大富하고小富 由勤이니라
成家之兒 惜糞如金하고敗家之兒 用金如糞이니라
康節邵先生曰閑居 愼勿說無妨하라有妨이니라爽口物多能作疾이요 快心事過必有殃이라病前能自防이니라
垂訓曰 妙藥 難醫冤債病이요 이라 生事事生莫怨하고害人人害하라 皆有報하니遠在兒孫近在身이니라
花落花開開又落하고換着이라豪家常富貴 貧家 未必長寂寞이라扶人 未必上靑霄 未必塡溝壑이라勸君怨天하라 天意於人 無厚薄이니라
人心毒似蛇 去年妄取東隣物터니 今日歸北舍家無義錢財湯潑雪이요田地狡譎爲生計 恰似니라
無藥可醫有錢難買子孫賢이니라


《경행록》에 말하였다. “보화는 쓰면 다함이 있고 충성과 효성은 누려도 다함이 없다.”
[해설] 보물과 같은 재화는 언젠가 동이 나지만, 우리의 내면에서 발현되는 충성과 효성은 아무리 누려도 끝이 없다는 말로, 보이지 않는 덕목의 가치는 유형의 가치에 비해 무한함을 말한다.
집안이 화목하면 가난해도 좋거니와 의롭지 않다면 부유한들 무엇하랴. 다만 한 자식이라도 효도하는 자를 둘 것이니 자손이 많은들 어디에 쓰리오?”
[출전] “家和貧也好어니와 不義富如何오”는 《명현집明賢集》의 “在家敬父母이요 何必遠燒香리오 家和貧也好요 不義富如何 : 집에서 부모를 공경하면 어찌 멀리 〈나가 부처를 경배敬拜하기 위해〉 을 태워야 하리오?…….”는 글에 보인다.
[해설] 가정의 화목과 의로운 가정, 그리고 효도하는 자식의 중요성을 말한 것이다.
아버지가 근심하지 않음은 자식이 효도하기 때문이요, 남편이 번뇌가 없음은 아내가 어질기 때문이다. 말이 많아지고 말을 실수함은 술 때문이요, 의리가 끊어지고 친한 사람이 소원해짐은 단지 돈 때문이다.
[해설] 여기에 자식의 효와 아내의 어진 행실의 중요성이 언급되고, 술 마시는 태도와 금전金錢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미 비상非常한 즐거움을 취했거든 모름지기 헤아리지 못하는 근심을 방비해야 한다.
[해설] 인생에 있어 길흉화복은 늘 바뀌어 변화무상變化無常새옹지마塞翁之馬라는 성어成語처럼 큰 즐거움 뒤에 큰 근심이 올 수 있음을 생각하라는 말이다.
[고사]새옹지마塞翁之馬 : 변방 늙은이의 말이 오랑캐의 땅으로 갔으나 오랑캐의 말들을 몰고 오고, 다시 아들이 이 말을 타다 다리가 부러졌으며, 그후 오랑캐가 침입하였지만 절름발이 아들은 전쟁터에 나가지 않아 오히려 죽음을 면한다. 이토록 엎치락 뒤치락 하는 삶의 모습을 새옹지마라고 표현한다.
총애를 얻거든 욕됨을 생각하고, 편안함에 거처하거든 위태함을 생각할 것이니라
[출전] 1) ‘거안려위居安慮危’는 《좌전左傳》 〈양공襄公십일년十一年〉에 나오는데, 원구原句는 “書曰 居安思危라하니 思則有備요 有備無患이니라 : 일서逸書에 말하기를, ‘편안한 데에 거처하면 위험한 때를 생각하라’ 하였으니 생각하면 대비함이 있게 되고, 대비함이 있으면 근심이 없다.”로 되어 있다.
2) 《명현집名賢集》에는 “得榮思辱하고 處安思危이니라”로 되어 있다.
3) 《증광현문增廣賢文》에는 “得寵思辱하고 居安思危이니라”로 되어 있다.
[해설] 인생살이에는 총애받는 일이나 편안하게 살아가는 일방적인 일만 있는 것이 아니다. 거기에는 항상 과 위태로움이 뒤따르기 마련이다. 따라서 항상 그 반대의 상황이 올 수 있음을 늘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영화가 가벼우면 욕됨이 얕고, 가 무거우면 도 깊다.
[해설] 《도덕경》 〈이십팔장二十八章〉의 “知其榮하나 守其辱이면 爲天下谷하나니라 : 영예를 누릴 길을 알면서도 굴욕의 위치를 지킨다면 모든 물이 모여드는 빈 골짜기처럼 온 세상의 인심이 몰려드는 위치가 되리라.”라고 한 도가적 색채가 짙은 글귀이다.
영화가 지나치면 그에 따라 욕되는 일이 많을 것이고, 이로움이 막중하면 그만큼 재앙도 깊은 법이니, 영화와 이익을 경계해야 한다는 말이다.
심히 아끼면 반드시 심하게 허비할 것이요, 심히 칭찬받으면 반드시 심한 헐뜯음을 받게 된다. 기뻐함이 심하면 반드시 심히 근심하고, 〈보화寶貨를〉 심히 보관하면 반드시 심히 잃는다.
[출전] 이 글은 《도덕경》 〈사십사장四十四章〉의 내용과 유사하다.(〈안분편安分篇〉 참조)
[해설] 너무 아끼다 도리어 심하게 소모하고, 심하게 칭찬받다 도리어 비난받는다. 이처럼 매사에 균형을 잃으면 반드시 역작용이 있음을 말하고 있다.
공자가 말하였다. “높은 낭떠러지를 보지 않으면 어찌 엎어져 떨어지는 환란을 알 것이며, 깊은 샘에 임하지 않으면 어찌 몸이 빠져 익사溺死하는 환란을 알 것이며, 큰 바다를 보지 않으면 어찌 풍파의 환란을 알겠는가?”
[출전] 1) 《공자가어孔子家語》 〈권오卷五곤서困誓〉에 보인다.
2) 《순자》〈권학편勸學篇〉에 이와 비슷한 다음의 글이 있다. “不登高山이면 不知天之高也며 不臨深溪이면 不知地之厚也니라 : 높은 산에 오르지 않으면 하늘의 높음을 알지 못하고, 깊은 못에 임하지 않으면 땅의 두꺼움을 알지 못한다.”
[해설] 인간의 인식은 한계가 있어서 보다 큰 진리를 경험해야 한다는 말이다.
미래를 알고자 한다면, 먼저 이미 그랬던 것(지나간 일)을 살필지니라.
[해설] 과거의 경험을 통해 미래를 예측할 수 있음을 말하고 있다.
공자가 말하였다. “밝은 거울은 얼굴을 살피는 수단이요, 지나간 일은 오늘을 아는 방법이다.”
[출전]삼국지三國誌》〈吳志 오주오자전吳主五子傳〉에 “明鏡은 所以照形이요 古事는 所以知今이니라”라는 유사한 글이 보인다.
[해설] 밝은 거울로 얼굴을 살피듯이, 지난 역사는 오늘의 세계를 살피는 수단임을 말하고 있다.
지나간 일은 밝기가 거울과 같고 미래의 일은 어둡기가 칠흑과 같다.
[해설] 과거의 일은 경험적인 것이어서 분명하지만, 미래의 일은 잘 알 수 없음을 말한 것이다.
《경행록》에 말하였다. “내일 아침의 일을 저녁 때에 기필하지 못하고, 저녁 때의 일을 해질녘에 기필하지 못한다”
[해설] 미래의 일은 불과 몇 시간 후의 일이라도 확실히 알거나 단정하여 말할 수 없다는 말이다.
하늘에는 예측 못하는 비 바람이 있고, 사람은 아침 저녁의 화복이 있다.
[해설] 자연계는 비바람과 같은 예측 못하는 현상이 있고, 인간 세상에는 아침 저녁과 같은 짧은 순간에도 느닷없는 행운이나 재앙이 있음을 말하고 있다.
석 자되는 흙 속(무덤)으로 돌아가지 아니하고서는 백년의 몸을 보전하기 어렵고, 이미 석 자되는 흙 속으로 돌아가선 백년 동안 무덤을 보전하기 어렵다.
[해설] 사람이 무난하게 한 평생을 산다는 것, 곧 형벌이나 비명非命에 죽는 일 없이 인생을 온전하게 마치기란 쉽지 않다. 나아가 죽어서도 유해遺骸가 온전하기 쉽지 않다. 곧 부관참시剖棺斬尸당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몸가짐을 신중히 하여 모범되게 처신하여, 살아서는 한 번뿐인 목숨을 온전하게 부지扶持하고, 죽어서는 좋은 이름을 남겨야 할 것임을 말하고 있다.
《경행록》에 말하였다. “나무를 기르면 뿌리가 견고하고 가지와 잎이 무성하여져 동량棟樑의 재목을 이루고, 물이 기르는 것이 있으면 샘의 근원이 세차고 물줄기가 길어서 관개灌漑의 이익이 넓고, 사람이 기름이 있으면 지기志氣가 커지고 식견이 밝아져 충의忠義의 선비가 나오니, 기르지 않을 수 있겠는가?”
[해설] 제반 현상은 인과관계因果關係가 있음을 말하고, 나무를 잘 기르고 물을 잘 보존하듯이 사람을 잘 기르면 충의忠義의 선비가 나올 것이니, 기르는 일을 소홀히 할 수 없다고 말하고 있다.
스스로 믿는 자는 남도 또한 자기를 믿나니 나라와 나라와 같은 적국 사이라도 형제와 같이 될 수 있고, 스스로를 의심하는 자는 남도 또한 자기를 의심하니 자기 외에는 모두 적국敵國이다.
[해설] 오나라는 춘추시대 14열국列國의 하나, 나라 문왕文王의 백부 태백太伯이 세웠다고 하는데, 부차夫差 때 월나라와 싸워 서로 이겼다 졌다 하다가 월나라 구천勾踐에게 멸망당했다.(B.C.?~B.C.473)
월나라도 춘추시대 14열국列國의 하나로 나라 왕 소강小康후예後裔라고 하는데, 북쪽의 오나라와 사이가 좋지 않아 자주 싸웠다. 구천勾踐 때 오나라의 왕 부차夫差를 죽이고 오나라를 멸망시켰으나, 나라가 오래 가지 않아 나라에 멸망하였다.
이러한 오나라와 월나라와 같은 적국 사이라도, 스스로 믿는 자는 남도 또한 그를 믿어 형제와 같이 될 수 있고, 서로 의심하게 되면 모두 원수 같이 된다는 말이다.
사람을 의심하거든 쓰지 말고, 사람을 쓰거든 의심하지 마라.
[해설] 사람을 부리는데 있어, 미덥지 않으면 아예 채용採用하지 말고, 일단 채용採用했으면 신용하는 것이 중요함을 말하고 있다.
《풍간》에 말하였다. “물 바닥의 고기와 하늘가 기러기는 높이 〈하늘에〉 뜬 것은 쏘아 잡고, 낮게 물속에 있는 것은 낚아 잡을 수 있거니와, 오직 사람의 마음은 지척간에 있음에도 이 지척간에 있는 마음은 헤아릴 수 없다.”
[해설] 보이지 않는 사람의 마음은 짐작하기 어려운 점을, 깊은 물속의 물고기나 높이 날으는 기러기의 포착보다도 더 어렵다는 것을 통해 강조하고 있다.
범을 그리되 껍데기는 그릴 수 있으나 뼈는 그리기 어렵고, 사람을 알되 얼굴은 알지만 마음은 알지 못한다.
[출전]증광현문增廣賢文》에는 “畵龍畵虎難畵骨이요 知人知面不知心이니라 : 용을 그리고 호랑이를 그리되, 뼈를 그리기는 어렵고, 사람을 알고 얼굴을 알지만 마음을 알지 못한다.”로 되어 있다.
[해설] 범을 그리되 표면적인 것은 그릴 수 있으나 보다 자세한 속은 묘사하기 어렵다. 이렇듯 사람도 얼굴과 같은 피상적인 모습은 쉽게 파악할 수 있지만 속 마음을 알아차리기란 어렵다는 말이다.
얼굴을 맞대고 함께 이야기는 하지만, 마음은 천산을 격해 있다.
[해설] 얼굴을 마주하여 함께 이야기는 하지만, 마음은 서로 전연 딴 생각을 하고 있음을 말한 것이다.
바다는 마르면 마침내 바닥을 볼 수 있으나, 사람은 죽어도 그 마음을 알지 못한다.
[해설] 사람 마음 알 수 없다는 점을 또 다시 강조한 것이다.
태공이 말하였다. “무릇 사람은 앞질러 점칠 수 없고, 바닷물은 말[斗]로 헤아릴 수 없다.”
[출전]증광현문增廣賢文》에는 “君子는 不可貌相이요 海水는 不可斗量이니라 : 군자의 본령本領은 아무나 헤아려 낼 수 없고 바닷물은 말[斗]로 그 양을 측정할 수 없다.”라는 글이 있는데, 이 글과 맥이 통한다.
[해설] 사람의 앞날은 섣부른 방법으로는 앞질러 점칠 수 없는데, 그 크고 많은 바닷물을 말과 같은 단순한 수단이나 방법으로 헤아릴 수 없는 것과 같다는 말이다.
《경행록》에 말하였다. “남과 원수를 맺는 것은 재앙의 씨를 심는 것이라 하고, 선한 것을 버리고 선한 일을 하지 않는 것은 스스로를 해치는 것이라 한다.”
[해설] 원수 맺는 일은 서로 원수를 갚으려 함으로 재앙이 생기고, 하지 않은 생각이나 행위는 결국은 되돌아 온다는 말이다.
만약 한 편의 말만 들으면 곧 서로 이별함을 보게 된다.
[해설] 만약 한 편의 말만 들으면 공정성을 잃어 결국 사이가 멀어진다는 것이다.
배부르고 따뜻하면 음욕을 생각하고, 굶주리고 추우면 도심道心한다.
[출전]나라 때 침채沈采의 《천금기千金記》에는 “飽煖엔 思淫逸하고 飢寒엔 起盜心이니라 : 배부르고 따뜻할 땐 음욕과 편안할 것을 생각하게 되고, 배고프고 추우면 도둑질 하려는 마음이 일어난다.”로 되어 있는데, 《증광현문增廣賢文》에도 보인다.
[해설] 사람이 배부르고 등더우면 정신이 해이되어 음욕이 생기고, 어려운 생활과정을 거쳐야 정신이 긴장되고 판단력이 생기어 참된 마음인 도심道心이 일어난다는 말이다.
소광이 말하였다. “어진 사람이 재물이 많으면 그 뜻을 손상하고, 어리석은 사람이 재물이 많으면 허물을 더한다.”
[해설] 소광은 태자太子의 스승, 곧 태부太傅 벼슬에서 은퇴한 나라 사람이다. 그는 임금으로부터 황금을 하사下賜받았지만 음식을 마련하여 친척과 친구를 초청하기를 몇년 동안 하였다고 한다. 자식들이 친척 어른들께 권유하여 밭과 집을 마련하도록 하였지만, 그는 “내가 자손을 생각하지 않는 것이 아니다. 옛 밭과 집이 그대로 있어 먹고 입는 것을 보통사람처럼 할 수 있다. 그런데도 지금 다시 재산을 보태 준다면 단지 게으름만을 가르치는 것이다.”라고 한 그의 내면이 이 글에 드러나 있다.
사람이 가난하면 지혜가 짧아지고, 복이 이르면 마음이 영통靈通해진다.
[해설] 사람이 빈곤하면 찌들려서 넓은 세상을 볼 여유가 없고, 생활이 윤택해야 마음이 너그러워질 여유가 있다는 말이다.
한 가지 일을 겪지 않으면, 한 가지 지혜가 자라지 않는다.
[해설] 경험 특히 고난이나 역경을 통하여야 사리를 체득하고 지혜가 생긴다는 말이다.
시비 거리가 종일토록 있을지라도, 듣지 않으면 자연히 없어진다.
[출전]증광현문增廣賢文》에는 “是非朝朝有라도 不聽自然無니라 : 시비거리가 아침마다 있더라도 듣지 않으면 저절로 없어진다.”로 되어 있다.
[해설] 세상에 시비거리는 많지만 시비에 초연超然하면 문제가 되지 않을 것임을 들어, 이런 생활태도를 권고한 것이다.
와서 시비를 말하는 자는, 〈이 사람이야말로〉 곧 시비하는 사람이니라.
[출전] 1) 《명현집明賢集》에 보이고, 《증광현문增廣賢文》에도 보인다.
[해설] 하릴없이 와서 시비를 말하는 사람이야말로 시비거리를 만들어내는 사람임을 말하고 있다.
《격양시》에 말하였다. “평생에 눈썹 찡그릴 일을 하지 않으면 세상에 이를 갈 원수 같은 사람이 없을 것이다. 크게 난 이름을 어찌 딱딱한(뜻 없는) 돌에 새길 것인가. 길가는 사람의 입이 비석보다 낫다.”
[출전] 1) 소강절邵康節의 《이천격양집伊川擊壤集》 〈권지칠卷之七조삼하답향인불기지의詔三下答鄕人不起之意〉에 “平生에 不作皺(추)眉事하면 世上에 應無切齒人이니라”만 부분적으로 보이고, 그것도 평생平生생평生平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토를 이대로 하기보다는 “平生에 不作皺眉事하면 世上에 應無切齒人이라하니”로 해야 할 듯하다.
2) 《증광현문增廣賢文》에는 “平生莫作皺眉事면 世上應無切齒人이니라”로 소개되어 있다.
[해설] 남을 적대시하지 않는 사람을 원수로 대할 사람은 없다. 이런 원칙만 지키면 되지, 부질없이 명예욕에 사로잡혀 이름을 돌 비석에 새겨대는 세태를 비판하면서, 남에 의한 진정한 평가를 무서워하라고 말하고 있다.
사향이 있으면 자연히 향기로울 것이니, 어찌 반드시 바람을 향하여 서겠는가?
[해설]사향麝香은 사향 노루의 배꼽과 불두덩의 중간에 있는 포피선包皮腺을 쪼개어 말린 것으로 흥분興奮, 회생回生의 약, 또는 향료로 쓰이는데, 고명한 인품을 지녔으면 저절로 향기 날 것이니, 무리한 수단을 써서 자신을 세상에 알리려 할 필요가 없다는 말이다.
복이 있어도 다 누리지 마라. 복이 다하면 몸이 빈궁해질 것이요, 권세가 있어도 다 부리지 마라. 권세가 다하면 원수와 서로 만난다. 복이 있거든 항상 스스로 아끼고, 권세가 있거든 항상 스스로 공손하라. 인생에 교만과 사치는 시작은 있으나 대부분 끝이 없다.
[해설]유복裕福할 때는 빈궁해질 때를 대비하고, 권세가 있어도 공손해야 한다. 왜냐하면 그것이 다하면 원한이 있는 사람과 서로 만날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또한 교만과 사치는 한 번 시작되면 끝없이 커진다고 경계하고 있다.
《왕참정 사류명》에 말하였다. “남음이 있고 다 쓰지 않은 재주를 남겼다가 조물주에게 돌려주고, 남음이 있고 다 쓰지 않은 봉록俸祿을 남겼다가 조정에 돌려주고, 남음이 있고 다 쓰지 않은 재물을 남겼다가 백성에게 돌려주며, 남음이 있고 다 쓰지 않은 복을 남겼다가 자손에게 돌려주라.”
[해설] 우리가 살아가는 과정에 특히 공직 있을 때 재주와 복록, 재물과 복 등을 아껴서 나 아닌 나라와 백성에게 베풀 것을 권하고 있다.
황금 천 냥이 귀한 것이 아니요, 사람의 좋은 말 한마디를 듣는 것이 천금보다 낫다.
[해설] 눈에 보이는 재물보다는 중요한 삶의 지표가 될 수 있는 한 마디의 말이 더 귀중함을 말하고 있다.
재주 있는 사람은 재주 없는 사람의 노예요, 괴로움은 즐거움의 어머니이다.
[해설] 우리가 생활하는 과정에 기교나 기술이 있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의 부림을 당하고, 괴로움은 즐거움의 근원 곧 고진감래苦盡甘來임을 말하고 있다.
작은 배는 무거운 짐을 견디기 어렵고, 깊숙한(으슥한) 길은 혼자 다니기에 마땅치 못하다.
[해설] 이 글은 자신의 역량이나 능력의 한계를 염두에 두어야 한다는 말이다.
황금이 귀한 것이 아니요, 안락이 돈보다 값어치가 많다.
[출전]증광현문增廣賢文》에 소개되어 있다.
[해설] 황금보다 마음의 평안과 즐거움이 귀중하다는 말이다.
집에 있을 때 손님을 맞아 대접할 줄 모르면, 밖에 나가 바야흐로 주인이 적은 줄을 안다.
[해설] 손님 대접을 제대로 못하면 대접받는 경우가 적다는 말이다.
가난하면 번화한 시장거리에 살아도 서로 아는 사람이 없고, 넉넉하면 깊은 산 중에 살아도 먼 곳에서 오는 친구가 있다.
[출전] 1) 《명현집名賢集》과 《증광현문增廣賢文》에는 “貧居鬧市無人間이요 富在深山有遠親이니라”로 보인다.
[해설]인정세태人情世態란 경제적인 것에 좌우될 때가 많다. 이렇듯 찌들게 살면 시장거리에 살아도 찾는 사람이 없고, 유복하면 먼 데 사는 친구나 친척까지 찾아오는 법임을 말하고 있다.
사람의 의리는 다 가난한 데로부터 끊어지고, 세상의 인정은 곧 돈 있는 집으로 향한다.
[해설] 세상의 인정은 실제로 돈에서 나온다는 말로, 말로 하던 의리 등은 돈 앞에서는 주저앉는다는 뜻이다.
차라리 밑 빠진 항아리는 막을지언정, 코 아래 가로 놓인 것(입)은 막기 어렵다.
[해설] 세상에 비밀이란 없다. 이 점을 밑 빠진 항아리 막기가 오히려 쉽지 사람의 입 막기란 어렵다고 말하고 있다.
사람의 정분情分은 다 군색한 가운데서 소원하게 된다.
[해설] 사람은 생활이 쪼들리면 서로 멀어지는 것임을 말한 것이다.
《사기》에 말하였다. “하늘에 제사를 지내고 사당에 제례 올림에도 술이 아니면 제물祭物을 올리지 못할 것이요, 임금과 신하 그리고 벗과 벗 사이에도 술이 아니면 의리가 두터워지지 않을 것이요, 싸움을 하고 서로 화해함에도 술이 아니면 권하지 못할 것이다. 그러므로 술에 성공과 실패가 있으니 함부로 마셔서는 안된다.”
[해설] 사람 일에는 거의 술이 끼이게 마련이다. 예컨대, 하늘에 제사를 지내고 사당에 제례 올리는 일에, 임금과 신하, 그리고 벗과 벗 사이에, 싸움을 하고 서로 화해하는 일에, 하나같이 술이 필요하다. 술에 성공과 실패가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술을 함부로 마셔서는 안됨을 말하고 있다.
공자가 말하였다. “선비가 도에 뜻을 두면서 나쁜 옷과 나쁜 음식을 부끄러워하는 자와는 서로 더불어 〈도를〉 의논할 수 없다.”
[출전]논어論語》〈里仁 구장九章〉에 보인다.
[해설] 마음은 도를 구하고자 하면서도 외물外物, 곧 몸 치장이나 음식물 따위에 마음 쓴다면 그런 저차원의 사람과는 이상적 진리로서의 를 논의할 수 없다는 말이다.
순자가 말하였다. “선비에게 질투하는 벗이 있으면 어진 이가 가까이 하지 않고, 임금에게 질투하는 신하가 있으면 어진 사람이 오지 않는다.”
[출전] 《순자》 〈대략大略이십구장二十九章〉에는 ‘사유투우士有妬友’의 ‘’가 ‘’로 되어 있다. “士有妒友이면 則賢交不親하고 君有妒臣이면 則賢人不至니라”
[해설] 선비든 제왕이든 주변에 질투하는 사람이 있을 때의 폐해弊害를 지적한 것이다.
하늘은 녹 없는 사람을 내지 않고, 땅은 이름 없는 풀을 기르지 않는다.
[해설] “사람은 제 먹을 것을 다 가지고 나온다”는 말처럼, 태어날 때부터 먹을 것 걱정은 없다는 것이다. 자식을 더 나으라고 권할 때 이런 말을 쓰기도 한다.
큰 부자는 하늘에 달려 있고, 작은 부자는 근면에 달려 있다.
[출전]송상궁宋尙宮의 《여논어女論語》와 《증광현문增廣賢文》에는 “大富由命하고 小富由勤이니라”로 되어 있다.
[해설] 큰 부자는 운명적인 것이고 작은 부자는 그 사람이 얼마나 부지런하게 사느냐에 달려 있다는 말이다. 부지런히 살면 큰 부자는 못 되어도 최소한 작은 부자는 될 수 있다는 점에 이 시대적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집을 이룰 아이는 똥(거름)을 아끼기를 금같이 하고, 집을 망칠 아이는 돈 쓰기를 똥과 같이 한다.
[해설] 집을 일으켜 세우는 것과 망치는 경우의 근검과 낭비의 생활 태도를 비유적으로 설명한 것이다.
강절康節소선생邵先生이 말하였다. “편안하고 한가롭게 살 때 삼가 해로울 것이 없다고 말하지 말라. 겨우 해로움이 없다고 말하자마자 문득 해로움이 생기리라. 입에 상쾌한 물건이 많으면 병을 일으킬 수 있고, 마음에 상쾌한 일도 지나치면 반드시 재앙이 있으리라. 병이 난 후에 약을 먹기보다는 병 나기 전에 스스로 예방하는 것이 낫다.”
[출전] 1) 《이천격양집伊川擊壤集권지육卷之六인자음仁者吟〉에 보이는데, 부분적으로 변형되어 있다. 출전의 원문 그대로 실으면 다음과 같다. “仁者難逢思有常하여 平居에 愼勿恃無傷하라 爭先徑路機關惡이니 近後語言滋味長하라 爽口物多能作疾이요 快心事過必有殃이라 與其病後能服藥으론 不若病前能自防이니라 : 인자仁者를 만나기 어려우니 생각을 일정하게 하여 삼가 해로움이 없다고 믿지마라. 지름길을 앞다투다 악의 틀에 걸리니 앞으로 말을 깊이 생각해서 하라. 입에 상쾌한 물건이 많으면 병을 일으킬 수 있고, 마음에 상쾌한 일도 지나치면 반드시 재앙이 있으리라. 병이 난 후에 약을 먹기보다는 병 나기 전에 스스로 예방하는 것이 낫다.”
[해설] 아무 탈이 없을 것이라고 방심하는 생활태도를 이 글은 경계하고 있다. 편안하고 한가롭게 지낼 때 해될 것이 없다고 호언豪言장담壯談하자마자 걱정거리가 생길 수 있으며, 아무리 상큼한 음식이라도 많이 먹으면 탈이 날 것이며, 아무리 상쾌한 일이라도 지나치면 반드시 재앙이 있으므로, ‘병 난 후 약 먹기보다 예방이 낫다.’는 말이다.
《재동제군수훈》에 말하였다. “신묘한 약이라도 원한에 사무친 병은 치료하기 어렵고, 뜻밖에 생긴 재물은 운명(운수)이 궁한 사람을 부자로 만들지 못한다. 일을 내면 일이 생기는 것을 그대는 원망하지 말고, 남을 해치면 남이 해치는 것을 너는 꾸짖지 말라. 천지는 자연스레 모두 보답함이 있나니 〈그 보답이〉 멀게는 자손에게 있고 가까우면 자기 몸에 있다.”
[해설]도가道家의 이 글은 부자연스럽게 억지로 뭔가를 해내려는 인간의 행위에 대해 충고하고 있다. 곧 꾸밈이 없는 자연의 순리에 따르라는 말이다.
꽃은 지고 꽃이 피고 피었다 또 진다. 비단 옷도 다시 베옷으로 바꿔 입는다. 호화로운 집이라고 해서 반드시 언제나 부귀한 것도 아니요, 가난한 집이라 해서 반드시 오래 적적하고 쓸쓸하진 않다. 사람이 부축하여도 반드시 하늘에 오르지는 못할 것이요, 사람을 밀어도 반드시 깊은 구렁에 떨어지진 않는다. 그대에게 권하노니, 모든 일에 하늘을 원망하지 말라. 하늘의 뜻은 사람에게 후하거나 박함이 없다.
[해설] 자연의 이치는 순환한다. 꽃은 졌다 피고 또 부귀영화의 신분도 다시 평민의 처지로 바뀐다. 이렇듯 자연은 인간에게 후거나 박한 차이를 두지 않는다는 말이다.
사람의 마음이 독하기가 뱀 같음을 한탄할 만하다. 누가 하늘의 눈이 수레바퀴처럼 돌아가고 있음을 알겠는가? 지난해에 망령되이 동쪽 이웃의 물건을 취했더니 오늘은 다시 북쪽 집으로 돌아가는구나. 의리가 없는(정의에 어긋난) 돈과 재물은 끓는 물에 눈을 뿌리는 것과 같이 없어질 것이요, 뜻밖에 오는 전답田畓은 물이 모래를 미는 것과 같다. 만약 교활함과 속임수를 가지고 생계를 삼는다면 아침에 피었다 저녁에 지는 꽃과 흡사하다.
[해설] 자연의 이법理法을 모르고 사는 사람의 마음은 뱀처럼 사악邪惡한데, 하늘이 수레바퀴 돌아가는 듯한 눈으로 살펴보고 있음을 모르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약으로도 재상의 목숨을 고칠 수 없고, 돈으로도 자손의 어짐을 사기 어렵다.
[해설] 여기서 자연의 이치와 합일合一하는 인간의 태도를 요구하고 있다. 약으로도 육경六卿삼상三相과 같은 귀한 신분의 병을 고쳐 오래도록 장수하게 할 수 없고, 돈으로도 자손의 현철賢哲함을 사지 못한다는 말이다.
하룻 동안 마음이 깨끗하고 한가로우면 하루 동안의 신선이다.
[해설] 여기서도 도가적 또는 도교적 삶의 태도를 견지할 것을 요청하고 있다. 하루라도 깨끗하고 한가로운 마음 자세를 가지면 그 하루는 신선의 경지로 지낼 수 있다는 것이다.


역주
역주1 省心篇 上 : “사랑을 받거든 욕됨을 생각하고, 편안함에 처하거든 위태함을 생각할 것이니라.”라는 글이 담겨 있는 이 편은 마음을 성찰하는 것에 대해 쓰고 있다. 충성과 효성, 또는 근심하지 않는 상태 등 마음에 대한 우리의 성찰을 요청한다.
자식의 효도, 아내의 內助, 술, 즐거움, 총애, 辱됨, 칭찬, 기뻐함 등등의 ‘마음’에 영향을 주는 것들을 무게 있게 언급한다. 물론 마음에 부담을 주면서까지 아끼는 행위나 심하게 남을 헐뜯는 것들은 오히려 生 자체로서의 몸을 망치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관조적 논조가 이 글에 가득차 있다.
역주2 用之有盡 : 여기서 ‘之’는 寶貨를 가리키는데, ‘用之則有盡’으로 보충하면 좋다.
역주3 享之無窮 : 여기서 ‘之’는 忠孝를 가리키는데, 雖享之無窮’의 의미로 보충해 봄직하다.
역주4 家和貧也好 : 여기서의 ‘也’는 句中에 쓰여 정지를 나타내는데, 이 점에 대해 좀더 살펴보자.
① 短句에서 보통 주어 뒤에 쓰여 語氣를 한 번 잡아 늘임으로써 강조를 나타낸다. 그리하여 ‘~면’, ‘~는’, ‘~이’라고 해석한다. 例1)“曾子言曰 鳥之將死에 其鳴也哀하고 人之將死에 其言也善이니라 : 증자가 말하기를, ‘새가 죽으려 할 때는 그 울음 소리가 슬프고, 사람이 죽으려 할 때는 그 말이 선하다.’고 하였다.”《論語》 〈泰伯 四章〉
例2)“且夫水之積也不厚면 則負大舟也無力이니라 : 또 물의 蓄積이 두텁지 않으면, 그것은 큰 배를 지탱할 힘이 없다.”《莊子》〈逍遙遊 一章〉
② 復句나 長句에서 분구나 병렬 성분의 뒤에 쓰여 정지를 나타냄으로써 아래 문장을 이끌어내며 해석하지는 않는다. 例)“ 操蛇之神이 聞之하여 懼其不已也하여 告之於帝니라 : 뱀을 관리하는 신이 그것을 듣고 그들이 일을 그만두지 않을까 걱정하여 上帝(하느님)께 이 일을 보고하였다.”《列子》〈湯問〉
③ 서술어 성분의 뒤에 쓰여 병렬과 단정의 뜻을 나타낸다. 例) 天地之道는 博也厚也高也明也悠也久也니라 : 천지의 도는 넓고 두텁고 높고 밝고 아득하고 영원한 것이다. 《中庸》 〈二十六章〉
역주5 何用子孫多 : ‘何用’은 ‘어디에 쓰리오’, ‘무슨 소용이리오’의 반어형으로 쓰였다.
역주6 夫無煩惱是妻賢 : 여기서 ‘是’는 앞 구의 因의 의미로 쓰였다.
역주7 義斷親疎只爲錢 : 여기서 ‘爲’는 앞 節의 因의 의미 곧 ‘때문이다’는 뜻이다.
역주8 : 과거나 현재 이전의 의미를 나타내는 부사이다.
역주9 : ‘모름지기 ~하여야 한다’ 또는 ‘반드시 ~하여야 한다’라는 의미의 조동사 성격의 부사이다.
역주10 得寵思辱하고 居安慮危니라 : ‘得寵思辱’과 ‘居安慮危’는 모두 ‘조건절(부사절)+주절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역주11 甚愛必甚費 : ‘종속절(부사절)+주절’의 관계로 되어 있고, 다른 句들도 같은 구조를 이루고 있다.
역주12 甚藏 : 藏은 淸州本에는 ‘賍’[贓]으로, 秋適本에는 ‘贓’으로 되어 있다.
역주13 : 여기서 子는 역시 孔子이다.
역주14 已然 : 여기서 ‘已’는 旣와 같이, 일이 완성되었거나 시간이 경과한 것을 나타내며 ‘벌써 ~했다’, "‘이미 ~했다’라고 해석한다.
역주15 : ‘옻나무의 검은 진액’이다.
역주16 明朝 : 明日之朝, 곧 내일 아침이다.
역주17 薄暮 : ‘땅거미가 질 무렵’, ‘해질 녘’, ‘황혼 녘’이다.
역주18 : 여기서 동사로서 ‘기필하다’, ‘딱 집어 말하다’의 의미를 지닌다.
역주19 晡時 : 申時로, 오후 3~5時 사이를 가리킨다. 여기서 子正을 기준으로 24시간을 2시간 간격으로 12支에 배분한 24時를 살펴보자.
12支[該當時] : 子[23-1] 丑[1-3] 寅[3-5] 卯[5-7] 辰[7-9] 巳[9-11] 午[11-13] 未[13-15] 申[15-17] 酉[17-19] 戌[19-21] 亥[21-23]
역주20 : 자연계의 우연성을 말한다.
역주21 : 인간 세상을 말한다.
역주22 百年身 : 많이 살아야 1백년 사는 목숨을 의미한다.
역주23 水有所養 : 水源을 잘 보존하고 발굴하는 것이다.
역주24 : 왕성함이다.
역주25 可不養哉 : ‘可~哉’는 ‘~해서 되겠는가’의 의미이니, 不이 있으면 ‘~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의 뜻이다.
역주26 吳越 : 吳나라와 越나라의 사이 같은 적대 관계를 말한다. 吳王 夫差와 越王 勾踐은 서로 싸우는 원수 관계였다.
역주27 自疑者는 人亦疑之하나니 身外皆敵國이니라 : 스스로를 의심하는 사람은 남도 그를 믿지 않아, 결국 자기 외의 모든 사람을 적으로 여긴다.
역주28 諷諫 : ‘풍자하여 간한다’는 말인데, 여기서는 한나라 때 韋孟이 지은 諷諫詩를 말한다. 초나라의 王茂가 음탕하므로 이 시를 지어 풍간했다고 한다.
역주29 : 語氣辭로서 정지나 완만함을 나타내고 가끔 감정을 터뜨리는 작용을 지니고 있으며 운문 중에 주로 쓰여, ‘~여’, ‘~인가’의 의미가 담기도록 새기는 것이 좋다.
역주30 畵虎畵皮難畵骨이요 知人知面不知心이니라 : 前後句 공히 부사절(畵虎畵皮 知人知面)+주절(難畵骨 不知心)의 구조로 되어 있다.
역주31 : ‘현’으로 읽어 ‘드러내다’, ‘보이다’로 해석할 수도 있다. 그렇게 할 때, ‘知’도 ‘알리다’로 새겨 전후구를 문맥상 대칭이 되도록 하여, “바다는 마르면 마침내 바닥을 드러내지만, 사람은 죽어도 그 마음을 알리지 않는다.”로 해석해 봄직하다.
역주32 凡人 : ‘평범한 사람’이라고 해석할 여지가 있지만 凡은 發語辭로 보는 것이 좋다.
역주33 : ‘미리’,‘사전에’의 의미이다. 逆億은 미리 잘못 억측한다는 뜻. “子曰 不逆詐하며 不億不信이나 抑亦先覺者是賢乎인저 : 공자가 말하기를, ‘남이 나를 속일까 미리 짐작하지 않고, 남이 나를 믿어주지 않을까 臆測하지 않는다. 그러나 또한 먼저 깨닫는 자가 어진 것이다.’ 하였다.”《논어》〈憲問 三十三章〉
역주34 謂之種禍 : 謂之種禍의 ‘之’는 ‘結怨於人’을 가리키는 지시대명사 구실을 하며, 謂之自賊의 ‘之’도 捨善不爲를 가리키는 지시대명사 구실을 한다.
역주35 : 賊‘해치다’의 의미이다.
역주36 若 ~便(변) : 若~則와 같다. ‘만약 ~한다면’의 의미이다.
역주37 : 被動을 나타낸다. 따라서 ‘~하게 되다’, ‘~함을 받다’, ‘~을 당하다’의 의미로 새기면 된다.
역주38 道心 : 자연의 이치[理]에 근거하는 純한 마음으로, 人心 곧 이치에 합당한 것과 합당하지 않은 것이 공유하는 마음에 대립되는 것이다.
역주39 䟽廣 : 漢나라 사람으로, 자는 仲翁이다. 벼슬이 太傅에 이르렀으나 5년만에 물러나, 날마다 친구들과 즐겁게 노닐고 따로 재물을 모으지 않았다고 한다.
역주40 賢而 : 賢人으로 된 통행본이 있다.
역주41 : 이 글에서 則은 모두 조건절을 만드는 접속 부사로 앞의 내용을 ‘~하면’의 의미로 이끈다.
역주42 愚而 : ‘愚人’으로 되어 있는 통행본이 있다.
역주43 便是 : 여기서 ‘便’은 音이 ‘변’이고, ‘是’는 ‘~이다’라는 의미의 술어이다.
역주44 平生 : 平素, 日常, 平常의 의미로 쓰였다.
역주45 鐫頑石 : ‘딱딱한 돌에[頑石] 새기다[鐫]’는 의미로 ‘술어+보어’의 관계이다.
역주46 何必當風立 : “어찌 꼭 바람을 향해 서서 향기가 퍼질 것을 기다릴 필요가 있겠는가?”의 뜻이다.
역주47 王參政 : 이름은 旦이며 北宋 眞宗 때 名宰相이다. 參政은 송나라 때 參知政事의 준말인데, 元․明․淸代에도 있었다.
역주48 四留銘 : ‘네 가지 남길 것을 마음에 새기는 글’이다.
역주49 未爲貴 : 여기서 ‘爲’는 현대 漢語의 ‘是’에 해당한다.
역주50 値錢多 : ‘주어(値, 값어치가)+보어(錢, 돈보다)+술어(多, 많다)’의 관계로 도치되어 있다.
역주51 : ‘가능’(~할 수 있다)을 나타내고
역주52 : 과거와 현재가 만나는 시점을 가리킨다. 따라서 ‘바야흐로’로 해석해야 한다.
역주53 少主人 : 손님인 자신을 그 집에 묵도록 해주는 주인이 적다는 의미이다.
역주54 貧居鬧(뇨)市 : 부사어+술어+보어의 관계이다.
역주55 富住深山 : 마찬가지로 부사어+술어+보어의 관계이다.
역주56 便 : 音은 ‘변’으로 주격의 역할을 한다.
역주57 無底缸 : ‘無底’가 ‘缸’에 걸려 관형어 역할을 한다.
역주58 鼻下橫 : ‘코 아래 가로’이므로 ‘입’을 가리킨다.
역주59 史記 : 중국 한나라 司馬遷이 지은 중국 上代의 역사책(130권)으로, 黃帝에서부터 漢武帝까지의 기록인데, 本紀 12권, 表 10권, 書 8권, 世家 30권, 列傳 70권으로 正史이다.
역주60 未足與議也 : 여기서 ‘議’의 목적어는 道이므로 ‘道를’ 補充하여 번역하여야 한다.
역주61 妬友·妬臣 : 수식구조로 ‘질투하는 벗’, ‘질투하는 신하’로 풀이된다.
역주62 : 이 글에서 ‘由’는 모두 ‘말미암는다’ 또는 ‘經由한다’의 의미가 표현되도록 해석하면 된다.
역주63 纔~便 : ‘纔(겨우 재)~ 便(곧 변)~’은 ‘~하자마자 ~하다’의 의미로 새기는 것이 좋다.
역주64 與~不若 : ‘與~不若~’은 ‘~하기보다는 ~하는 것만 같지 못하다’(~하는 것이 낫다). ‘與~寧~’, 곧 ‘~하기보다는 차라리 ~하는 편이 낫다’와 비슷한 관용구이다. 例) “禮는 與其奢也론 寧儉이요 喪은 與其易也론 寧戚이니라 : 禮는 사치하기보다는 차라리 검소하여야 하고, 喪은 형식적으로 잘 치르기보다는 차라리 슬퍼하여야 한다.”《論語》 〈八佾 四章〉
역주65 梓潼帝君 : 도가에 속하는 인물이나 未詳이다. 道敎에서 인간의 祿籍을 맡은 신이라고 하는데,《明史》에 姓은 張, 이름은 亞子라고 되어 있다.
역주66 橫財 : 여기서 橫은 ‘거스르다’, ‘도리에 어긋나다’, ‘느닷없는’의 의미이다.
역주67 不富命窮人 : 술어(不富)+목적어(命窮人)의 관계로 되어 있다.
역주68 : ‘그대’를 의미하는 2인칭대명사이다.
역주69 汝休嗔 : ‘休’는 금지사(止, 勿, 莫)이다.
역주70 天地自然 : ‘천지는 자연스레(자연히)’로 번역하는 것도 좋지만, ‘천지자연’으로 그대로 번역하여, 곧 ‘천지 자연의 섭리는’의 의미로 보는 것도 바람직스럽다.
역주71 錦衣 : 富貴榮華의 처지를 가리킨다.
역주72 布衣 : ‘베옷 입는 신분’ 곧 平民의 낮은 사회적 지위를 가리킨다.
역주73 : 경
역주74 未必 : 여기서 ‘未必’은 ‘不必’과 함께 ‘부정어+부사’로 이루어진 것으로 부분 부정을 나타낸다. 不必의 쓰임을 보자. 例)“弟子不必不如師, 師不必賢於弟子 : 제자가 꼭 스승보다 못한 것은 아니고, 스승이라고 해서 꼭 제자보다 어진 것은 아니다.”
역주75 : ‘옮기다’(추)의 의미와 ‘밀다’(퇴)의 의미가 있지만, 여기서는 후자의 의미이다.
역주76 : 汎(모두 범)과 쓰임이 같다.
역주77 : 금지사이다.
역주78 : ‘감당하다’, ‘견디다’의 의미로서, 여기서는 ‘~할 만하다’의 의미이다.
역주79 : ‘탄식하다’의 의미이다.
역주80 誰知天眼轉如車(거) : 하늘이 두루 굽어살피는 것을 가리킨다.
역주81 : ‘또’, ‘다시’의 의미의 부사이다.
역주82 儻來 : 儻(당)은 ‘氣槪 있다, 갑자기, 구차하다, 혹시, 흐리다, 失意하다’의 의미를 갖는데, 儻來는 ‘뜻밖에 자기 手中에 굴러 들어오는 것’을 말한다.
역주83 : ‘퇴’(밀치다. 밀다)로 읽어야 한다.
역주84 : ‘以’의 의미로 쓰였다. 따라서 여기의 ‘將A爲B’는 ‘以A爲B’와 같아서, ‘A로써 B를 삼다’, 또는 ‘A로써 B를 만들다’의 의미로 해석하면 된다.
역주85 朝開暮落花 : 통행본에는 ‘朝雲暮落花’로 되어 있다.
역주86 卿相 : 六卿 三相으로, 六卿은 冢宰․司徒․宗伯․司馬․司寇․司空의 곧 吏曹․戶曹․禮曹․兵曹․刑曹․工曹의 6曹의 判書를 가리키고, 三相은 右議政․左議政․領議政을 가리킨다.
역주87 一日淸閑一日仙 : 조건절(一日淸閑)과 주절(一日仙)의 관계로 되어 있다.
동영상 재생
1 11. 성심편 상 54
동영상 재생
2 11. 성심편 상 176
동영상 재생
3 11. 성심편 상 194
동영상 재생
4 11. 성심편 상 113
동영상 재생
5 11. 성심편 상 69
동영상 재생
6 11. 성심편 상 55
동영상 재생
7 11. 성심편 상 109
동영상 재생
8 11. 성심편 상 137
동영상 재생
9 11. 성심편 상 55
동영상 재생
10 11. 성심편 상 98
동영상 재생
11 11. 성심편 상 58
동영상 재생
12 11. 성심편 상 173
동영상 재생
13 11. 성심편 상 55
동영상 재생
14 11. 성심편 상 86
동영상 재생
15 11. 성심편 상 276
동영상 재생
16 11. 성심편 상 132
동영상 재생
17 11. 성심편 상 63
동영상 재생
18 11. 성심편 상 210
동영상 재생
19 11. 성심편 상 62
동영상 재생
20 11. 성심편 상 49
동영상 재생
21 11. 성심편 상 61
동영상 재생
22 11. 성심편 상 168
동영상 재생
23 11. 성심편 상 356
동영상 재생
24 11. 성심편 상 56
동영상 재생
25 11. 성심편 상 85
동영상 재생
26 11. 성심편 상 150
동영상 재생
27 11. 성심편 상 49
동영상 재생
28 11. 성심편 상 41
동영상 재생
29 11. 성심편 상 36
동영상 재생
30 11. 성심편 상 39
동영상 재생
31 11. 성심편 상 274
동영상 재생
32 11. 성심편 상 148
동영상 재생
33 11. 성심편 상 182
동영상 재생
34 11. 성심편 상 212
동영상 재생
35 11. 성심편 상 64
동영상 재생
36 11. 성심편 상 170
동영상 재생
37 11. 성심편 상 78
동영상 재생
38 11. 성심편 상 63
동영상 재생
39 11. 성심편 상 91
동영상 재생
40 11. 성심편 상 66
동영상 재생
41 11. 성심편 상 75
동영상 재생
42 11. 성심편 상 92
동영상 재생
43 11. 성심편 상 66
동영상 재생
44 11. 성심편 상 234
동영상 재생
45 11. 성심편 상 262
동영상 재생
46 11. 성심편 상 76
동영상 재생
47 11. 성심편 상 76
동영상 재생
48 11. 성심편 상 19
동영상 재생
49 11. 성심편 상 40
동영상 재생
50 11. 성심편 상 360
동영상 재생
51 11. 성심편 상 303
동영상 재생
52 11. 성심편 상 316
동영상 재생
53 11. 성심편 상 375
동영상 재생
54 11. 성심편 상 255
동영상 재생
55 11. 성심편 상 30

명심보감 책은 2019.04.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