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明心寶鑑

명심보감

범례 |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曰 知危識險이면 終無之門이요擧善薦賢이면 自有安身之路施仁布德 乃世代之榮昌이요懷妬報寃 與子孫之危患이라 終無顯達이요 害衆成家 豈有長久富貴리요 禍起傷身 皆是不仁之召니라
御製曰 遠之財하고 戒過度之酒하며居必擇隣하고 交必擇友하며嫉妬 勿起於心하고 勿宣於口하며骨肉貧者하고 他人富者 莫厚하며 以勤儉爲先하고 愛衆 以謙和爲首하며常思已往之非하고 每念未來之咎하라若依之斯言이면 治國家可久니라
御製曰 之火 能燒之薪하고非言 誤損平生之德이라身被一縷 常思織女之勞하고日食三이나 每念農夫之苦하라貪妬損이면 終無十載安康이요積善存仁이면 必有榮華後裔니라 多因積行而生이요入聖超凡 盡是眞實而得이니라
知其君인대 先視其臣하고欲識其人인대 先視其友하고欲知其父인대 先視其子하라君聖臣忠하고 父慈子孝니라
云 水至淸則無魚하고則無徒니라
秋月揚輝 盜者 憎其照鑑이니라
景行錄云 大丈夫 重名節於泰山하고用心精故 輕死生於鴻毛니라
悶人之凶하고 樂人之善하며濟人之急하고
經目之事이어늘背後之言深信이리오
不恨自家汲繩短하고只恨他家井深이로다
天若改常이면 不風則雨人若改이면 不病則死니라
詩云 國正天心順이요 官淸民自安이라妻賢夫禍少 子孝父心寬이니라
子曰 木從繩則直하고人受諫則聖이니라
一派靑山景色幽러니 前人田土後人收後人收莫歡喜하라 更有收人在後頭니라
曰 無故而得千金이면 不有大福이라 必有大禍이니라
康節邵先生曰 來問卜하되 如何是禍福 人虧我是福이니라
大廈千間이라도 夜臥이요 良田萬頃이라도이니라
久住令人賤이요 頻來親 但看三五日 相見不如初니라
酒不醉人人自醉不迷人人自迷니라
公心私心이면 何事不辦이며 若同이면 成佛多時니라
濂溪先生曰 하고하며 巧者勞하고 拙者逸하며巧者賊하고 拙者德하며 巧者凶하고 拙者吉하나니嗚呼 天下拙이면하여 上安下順하며 風淸弊絶하리라
曰 德微位尊하고 智小而謀大 無禍者鮮矣니라
曰 官怠於宦成하고 病加於小愈하며禍生於懈怠하고 孝衰於妻子察此四者하여 愼終如始니라
則溢하고人滿則喪이니라
尺璧非寶이니라
羊羹 雖美 衆口 難調니라
益智書云 白玉 投於泥塗라도 不能汚穢其色이요君子 行於濁地라도 不能染亂其心하나니 耐雪霜이요 明智 可以涉危難이니라
入山擒虎어니와이니라
遠水 不救近火
太公曰 日月 雖明이나 不照覆盆之下하고刀刃 雖快 不斬無罪之人하고 不入愼家之門이니라
太公曰 良田萬頃 不如薄藝隨身이니라
性理書云 接之要 己所不欲 勿施於人하고行有不得이어든 反求諸己니라
酒色財氣四堵墻賢愚在內廂이라
若有世人跳이면 便
是神仙不死方이니라


진종황제어제眞宗皇帝御製》에 말하였다. “위태로움을 알고 험한 것을 알면 마침내 그물에 걸리는 일이 없을 것이요, 선한 사람을 받들어 쓰고 어진 사람을 천거하면 몸을 편안히 하는 길이 저절로 있다. 을 베풀고 을 폄은 곧 대대로 영화롭고 창성하는 것이요, 시기하는 마음을 품고 원한에 보복함은 자손에게 위태로움과 재앙을 끼쳐주는 것이다. 남을 해쳐 자기를 이롭게 하면 마침내 현달하는 자손[雲仍]이 없고, 뭇 사람을 해롭게 해서 집안을〈크게〉 이룬다면 어찌 장구한 부귀가 있겠는가? 〈죄를 지어〉 이름을 고치고 〈목이 베이어 죽는 형벌에 처해져 머리와〉 몸이 따로 놓임은 모두 교묘한 말로 말미암아 생겨나고, 재앙이 일어나고 몸이 상하게 됨은 다 어질지 못함이 부르는 것이다.”
[해설] 여기서 건강한 삶의 태도, 곧 한 인간의 행위를 요구하고 있다. 죄를 지어 이름을 고치고 형벌에 처해져 목과 몸이 따로 있게 되는 것은 모두 교묘한 말 때문에 생기고, 재앙이 일어나고 몸이 상하게 하는 것은 불인不仁소치所致라는 점을 말하고 있다.
신종황제어제神宗皇帝御製》에 말하였다. “도리道理가 아닌 재물은 멀리하고 에 지나치는 술을 경계하며, 거처함에 반드시 이웃을 가리고, 사귈 때는 벗을 가리며 질투를 마음에 일으키지 말고, 남을 헐뜯는 말을 입에서 내지 말며, 동기간同氣間에 가난한 자를 멀리하지 말고, 타인 가운데 부유한 자를 후하게 대하지 말고, 자기의 사욕을 극복하는 일은 근검勤儉을 첫째로 삼고, 대중을 사랑함은 겸손과 화목을 첫째로 삼을 것이며, 언제나 지나간 나의 잘못을 생각하고, 매양 미래의 허물을 생각하라. 만약 나의 이 말에 의거한다면 나라와 집안을 다스림이 오래갈 수 있을 것이다.”
[해설] 이 글은 제왕의 입장에서 마음의 성찰을 요구한 것이다. 도리가 아닌 재물은 멀리하고, 정도에 지나치는 술을 경계하며, 반드시 이웃을 가려 살고, 벗을 가려 사귀며, 남을 시기하는 마음을 일으키지 말고, 남을 헐뜯어 말하지 말며, 동기간에 가난한 자를 소홀히 하지 말고, 부유한 자에게 아첨하지 말고, 자기의 사욕을 극복하는 것은 근검을 첫째로 삼고, 대중을 사랑하는 일에는 겸손함과 조화를 첫째로 삼을 것이며, 언제나 이미 지나간 나의 잘못됨을 생각하고, 또 앞날 저지를지도 모를 허물을 생각하여야 나라와 집안을 다스림이 오래도록 평화롭게 다스릴 수 있다는 것이다.
고종황제어제高宗皇帝御製》에 말하였다. “한 점 작은 불티도 능히 만경萬頃의 섶을 태우고, 한 마디 그릇된 말도 평생의 덕을 그르치고 훼손한다. 몸에 한 오라기의 실을 걸쳐도 항상 베 짜는 여자의 수고를 생각하고, 하루 세 끼니의 밥을 먹어도 농부의 노고를 생각하라. 구차하게 탐내고 시기해서 남에게 손해를 끼친다면 마침내 10년의 편안함도 없을 것이요, 을 쌓고 을 보존하면 반드시 후손들에게 영화가 있으리라. 은 대부분 선행善行을 쌓는 것을 통해서 생기고, 성인聖人의 경지에 들어가고 평범을 초월하는 것은 다 진실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이다.”
[출전]복연선경福緣善慶’은 《천자문千字文》에 보인다.
[해설] 이 글은 자못 우리가 소홀히 하기 쉬운 한 점의 불티, 한 오라기의 실, 한 마디 말, 한 끼니 밥과 같은 작은 일에도 늘 조심하고 탐냄과 시기, , 성인聖人진실眞實 등의 원인과 결과에 대해 말하고 있다.
왕량王良이 말하였다. “그 임금을 알고자 한다면 먼저 그 신하를 살펴보고, 그 사람을 알고자 한다면 먼저 그 벗을 살펴보고, 그 아비를 알고자 한다면 먼저 그 자식을 살펴보라. 임금이 성스러우면 그 신하가 충성스럽고, 아비가 인자하면 자식이 효도한다.”
[해설] 이 글은 한 집단 구성원끼리의 유사성, 유유상종類類相從이 주는 의미를 부각하고 있다. 곧 임금을 파악하려면 그 신하를 살펴보고, 그 사람을 파악하고자 한다면 그 벗을 살펴보고, 아버지를 파악하고자 한다면 그 자식을 살펴보라는 것이다.
가어家語》에 말하였다. “물이 지극히 맑으면 고기가 없고, 사람이 지극히 살피면 친구가 없다.”
[출전] 1) 《대대례기大戴禮記》 〈자장문입관子張問入官〉에 보인다. 자장이 공자에게 벼슬살이 하는 것에 대해 묻자 공자는 “安身取譽爲難 : 몸을 편안히 하고 명예를 취하기는 어렵다.”고 하였다. 이에 “安身取譽如何 : 몸을 편안히 하고 명예를 취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느냐.”고 묻자, 공자가 대답한 말 속에 들어 있다.
2) 통행본 《공자가어》에 보이지 않는다.
3)《증광현문增廣賢文》에는 “水太淸則無魚하고 人太察則無謀니라 : 물이 너무 맑으면 고기가 살지 않고 사람이 너무 살피면 남들이 그를 위해 도모해 주지 않는다.”로 소개되어 있다.
[해설] 이 글은 완벽을 추구하는 일이 결코 좋은 일만은 아님을 지적한 것이다.
허경종許敬宗이 말하였다. “봄비는 기름과 같으나 길 가는 사람은 그 진창(흙탕물)을 싫어하고, 가을 달이 밝게 비치나 도둑은 그 밝게 비추는 것을 싫어한다.”
[해설] 사람들의 입장은 각자가 처한 상황에 따라 상대적 또는 대조적으로 달라질 수 있다는 말이다.
《경행록》에 말하였다. “대장부는 을 보는 것이 밝은 까닭에 명분과 절의를 태산보다 중히 여기고, 마음 쓰는 것이 깨끗한 까닭에 죽고 사는 것을 기러기 털보다 가볍게 여긴다.”
[해설]과 정의를 삶의 기준으로 삼는 대장부는 명분과 절의를 중하게 여기고, 생사生死를 가볍게 여긴다는 말이다.
남의 흉한 것을 민망히 여기고, 남의 선한 것을 즐거워하며, 남의 급한 것을 건지고, 남의 위태로움을 구제하라.
[해설] 사람의 어려운 경우와 좋은 것을 각별히 배려할 것을 요청한 것이다.
눈으로 경험한 일도 모두 다 참되지는 아니할까 두렵거늘, 등 뒤의 말을 어찌 족히 깊이 믿을 수 있으리오?
[해설] 직접 눈으로 본 것도 다 진실한 것이 아닐까 두려운 법인데, 간접적으로 들은 말이야말로 그대로 믿어서는 더욱 안된다는 말이다.
자기 집 두레박 끈이 짧은 것은 탓하지 않고, 단지 남의 집 우물 깊은 것만 탓한다.
[해설] 대체로 인간이란 자기보다는 남을 탓하는 것을 비유한 것이다.
부정한 재물을 취하는 사람이 천하에 가득하되, 죄는 복이 적은 사람에게 걸린다.
[해설] 많은 사람들이 잘못되어 벌을 받아야 함에도 불구하고, 재수없이 박복薄福한 사람만 법망法網에 걸려든다는 의미로, 예나 지금이나 비슷하다는 한숨을 자아내게 하는 글이다.
하늘이 만약 상도常道를 바꾸면 바람불지 않으면 비가 오고, 사람이 만약 상도를 바꾸면 병이 나지 않으면 죽는다.
[해설] 일정한 법칙이나 정상적 습관에 어긋난 삶은 재앙을 초래한다는 말이다.
장원시壯元詩에 말하였다. “나라가 바르면 천심天心도 순하고, 벼슬아치가 청렴하면 온 백성이 저절로 편안하다. 아내가 어질면 남편의 화가 적을 것이요, 자식이 효도하면 아버지의 마음이 너그러워진다.”
[출전] 1) “妻賢夫禍少요 子孝父心寬이니라”는 나라 이직부李直夫잡극雜劇호두패虎頭牌》와 《증광현문增廣賢文》에도 보인다.
2)《명현집明賢集》에는 “國正天必順이요 官淸民自安이라 妻賢夫禍少요 子孝父心寬이니라 : 나라가 바르면 하늘이 반드시 따라주고, …….”으로 보인다.
3)《유세명언喩世明言권삼구卷三九에는 “古人說得好하니 道是妻賢夫禍少요 子孝父心寬이니라 : 옛 사람의 말씀이 좋으니 말씀인즉 ‘아내가 어질면 남편의 화가 적을 것이요, 자식이 효도하면 아버지의 마음이 너그러워진다.’라고 하였다.”
[해설] 나라가 올바르면 민심이 순할 것이고, 천심天心도 따라 순하다. 왜냐하면 민심은 천심이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벼슬아치가 바르고 청렴하며, 아내가 어질고 자식이 효도하면 나라와 가정이 편안하고 화목할 것이란 말이다.
공자가 말하였다. “나무가 먹줄을 좇으면 곧아지고, 사람이 함을 받아들이면 거룩하게 된다.”
[출전] 1) 《서경書經》에서 우리는 이 글과 비슷한 다음 글을 찾을 수 있다.
“說(열)復于王曰 惟木從繩則正하고 后從諫則聖하나니 后克聖이시면 臣不命其承이니 疇敢不祗若王之休命하리잇고 : 이 임금께 복명復命하여 이르되, 나무는 먹줄을 좇으면 바르게 되고 임금은 함을 좇으면 성인이 되나니, 임금이 능히 성인이 되면 신하는 명령하지 않아도 받들 것이니 누가 감히 공경하여 임금의 아름다우신 명령을 순종하지 않으리요?”《서경書經》〈商書 열명說命이장二章
2) 《공자가어孔子家語》〈子路初見(현) 제십구第十九〉에 “孔子曰 夫人君而無諫臣則失正하고 士而無敎友則失聽하고 御狂馬不釋策이면 操弓不反檠이니라 : 공자가 말하였다. ‘임금에게 하는 신하가 없으면 바름을 잃고 선비에게 교계敎戒하는 붕우朋友가 없으면 듣고 〈의존할 것〉을 잃으며 미친 말을 끌 때는 채찍을 풀지 않으며 활을 잡을 때는 도지개(활을 바로잡는 기구)를 뒤집지 않는다.”는 말에 이어 “木受繩則直하고 人受諫則聖이니라”로 보이는데, 《설원說苑》〈建本篇〉에도 이렇게 보인다.
[해설] 나무를 다듬을 때 우선 먹줄로 찍어 그 묵승墨繩을 따라 다듬으면 똑바로 자를 수 있지만 적당히 자르면 굽게 된다. 이렇듯 사람(임금)도 을 잘 따르면 대단히 뛰어난 덕을 갖추게 된다는 말이다.
한 줄기 푸른 산은 경치가 그윽하더니 앞 사람이 가꾸던 전답田畓을 뒷사람이 거둔다. 뒷사람은 거두게 된 것을 기뻐하지 말라. 다시 거둘 사람이 뒷머리에 있다.
[해설] 토지에는 영원한 주인이 없는 법이다. 오늘날 내 소유所有였지만 후일에는 누구의 소유가 될지 알 수 없는 일이다. 그런데도 우리는 천년만년 내 소유처럼 여기니 우수운 일이다.
소동파가 말하였다. “까닭없이 천금을 얻는다면 큰 복이 있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큰 재앙이 있다.”
[해설] 정당한 이유 없이 생긴 재물은 오히려 큰 재앙이 될 수 있음을 말한 것이다. 오늘에도 가끔 볼 수 있는 부정부패不正腐敗 현상을 경계한 것이다.
강절 소선생이 말하였다. “어떤 사람이 와서 운수(점괘)를 묻되, ‘어떠한 것이 입니까?’ 하자, ‘내가 남을 해롭게 하면 이것이 화요, 남이 나를 해롭게 하면 이것이 복이요.’라고 하였다.”
[해설] 《주역》의 점괘占卦을 지향하는 자연의 의지를 풀이한 것이다. 따라서 인간의 악한 행위에 하늘의 선은 없다. 이렇듯, 내가 남을 해롭게 하는 것이 나에게는 재앙이요, 남이 나를 해롭게 하는 것이 나에게는 복임을 말하고 있다.
큰 집이 천 칸이라도 밤에 여덟 자 방에 눕고, 좋은 밭이 만 이랑이 있더라도 하루에 두 되 먹는다.
[출전]증광현문增廣賢文》에는 “良田萬頃이라도 日食三升이요 大廈千間이라도 夜臥八尺이니라 : 좋은 밭이 만 이랑이 있더라도 하루에 석 되 먹고, 큰 집이 천 칸이라도 밤에 여덟 자 방에 눕는다.”로 되어 있다.
[해설] 아무리 큰 집에 살아도 한 사람은 여덟 자 정도밖에 쓰지 않고, 한 사람이 먹는 것도 하루 두 되 정도면 충분하므로 쓸 데 없이 재물을 욕심낼 것은 없다는 말이다.
오래 머물면 사람으로 하여금 천하게 하고, 자주 오면 친하던 사이도 멀어진다. 다만 사흘이나 닷새만에 서로 보아도 처음 〈보는 것과〉 같지 않다.
[출전] 1) 《증광현문增廣賢文》에는 “久住令人賤이요 頻來親也疎라”라고 보인다.
2) 《증광현문增廣賢文》에는 “結交須勝己이니 似我不如無요 但看三五日에 相見不如初니라 人情似水分高下요 世事如雲任展舒니라”라고 보인다.
[해설] 아무리 가까운 사이도 일정한 수준이나 기간을 넘는 잦은 접촉은 오히려 소원해진다는 말이다.
목이 마를 때 한 방울의 물은 감로수甘露水와 같고, 취한 후에 잔을 더하는 것은 없는 것만 못하다.
[출전]증광현문增廣賢文》에도 보인다.
[해설]필요불가결必要不可缺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우리가 취해야 할 자세를 물과 술로 비유하고 있다.
술이 사람을 취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스스로 취하는 것이요, 여색女色이 사람을 미혹시키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스스로 미혹되는 것이다.
[해설] 이 글은 술과 여색을 들어, 책임 소재는 어디까지나 사람에게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곧 술 취하는 주체도 사람이고, 이렇듯 여색에 빠지는 것도 당사자라는 것이다.
을 위하는 마음을 를 위하는 마음에 비긴다면 무슨 일인들 되지 않을 일이 있을 것이며, 를 향하는 마음을 만약 정념情念처럼 한다면 부처의 경지가 이룩된 지 오래일 것이다.
[해설]선공후사先公後私는 못하더라도, 나 개인만을 챙기는 마음을 최소한 공적公的인 것과 동일하게 하고, 이치를 생각하는 마음을 이성異性에 대한 그리움처럼 노력한다면 부처와 같은 인격이 될 수 있다는 말이다.
염계선생이 말하였다. “교자巧者는 말을 잘하고 졸자拙者는 침묵하며, 교자巧者는 수고롭고 졸자拙者는 한가하다. 교자巧者는 남을 해치고 졸자拙者는 덕성스로우며, 교자巧者는 흉하고 졸자拙者는 길하다. 아아! 천하가 하면 형벌로 다스리는 정치가 없어져, 위(임금)는 편안하고 아래(백성)는 순종하며, 풍속이 맑고 폐단이 없어지리라.”
[출전] 다음의 《주돈이집周敦頤集》〈拙賦〉에 보인다.
“或謂予曰 人謂子拙이라하여 予曰 巧는 竊所恥也요 且患世多巧也라하고 喜而賦之曰 巧者言하고 拙者黙하며 巧者勞하고 拙者逸하며 巧者賊하고 拙者德하며 巧者凶하고 拙者吉하나니 嗚呼라 天下拙이면 刑政撤하여 上安下順하며 風淸弊絶이니라 : 누군가 나에게 일러 ‘남들은 그대를 재주 없다고 말하더군요.’ 하기에, 나는 말하기를, ‘재주 있음은 저윽이 부끄러워하는 것이면서, 또한 세상 사람들이 너무 재주가 많은 것을 근심한다오.’ 하고, 기뻐서 를 지었다.”
교자巧者는 말을 잘하고 졸자拙者는 침묵하며, 교자巧者는 수고롭고 졸자拙者는 한가하다. 교자巧者는 남을 해치고 졸자拙者는 덕성스러우며, 교자巧者는 흉하고 졸자拙者는 길하다. 아아! 천하가 하면 형벌로 다스리는 정치가 없어져 위(임금)는 편안하고 아래(백성)는 순종하며, 풍속이 맑고 폐단이 없어지리라.”
[해설]태극도설太極圖說〉을 쓴 송대철학宋代哲學의 선구자 주염계는, 재주가 있거나 약삭빠르게 머리를 쓰는 세태에 대해 경고하고 있다. ‘거꾸로 보는’ 삶의 지향이 이 세상의 평화를 위해 좋을 것임을 넌지시 일러준다.
주역周易》에 말하였다. “은 적으면서 지위가 높으며, 지혜는 작으면서 꾀하는 것이 크면 화를 당하지 않는 자가 드물다.”
[출전] 이 글은 다음의 글을 변형한 것으로 볼 수 있다.
“子曰 德薄而位尊하며 知小而謀大하며 力小而任重하면 鮮不及矣하나니라 : 덕이 박하면서 자리가 높고 지혜가 작으면서 큰 것을 도모하고 힘이 작으면서 책임이 무거우면 〈에〉 이르지 않는 일이 드물다.”《주역周易》 〈계사전繫辭傳사장四章
[해설] 이 글은 자기의 이나 지혜知慧가 분수나 역량을 넘는 지위나 일을 도모하면 재앙이 뒤따름을 경계한 것이다.
설원說苑》에 말하였다. “관리는 지위가 성취되는 데서 게을러지고, 병은 조금 나아진 데서 심해지며, 재앙은 게으른 데서 생기고, 효도는 처자에서 약해진다. 이 네 가지를 살펴서 끝까지 삼가 끝맺음을 처음과 같이 할지니라.”
[출전]설원說苑권십卷十경신敬愼〉에 보인다.
[해설] 사람들은 으레 뭔가 이루어지는 단계에서 잘못되고, 재앙이 생기고 효도가 약해지는 연유를 잘 살펴서 시종무여始終無如하게 하라고 말하고 있다.
그릇이 차면 넘치고, 사람이 차면(自滿하면) 잃는다.
[해설] 그릇이 차면 넘치듯, 사람이 자만하면 그때부터 잃기 시작한다는 점을 말하고 있다.
한 자의 구슬이 보배가 아니요, 오직 촌음寸陰(光陰)을 다투어라.
[출전]천자문千字文》에 보인다.
[해설] 일반적으로 눈에 보이는 보배만 보배로 여기지만, 정작 보배로 다툴 것은 짧은 시간임을 말한 것이다.
양고기 국이 비록 맛은 좋으나, 여러 사람의 입을 맞추기는 어렵다.
[해설] 일반적으로 좋은 것도 모두에게 다 좋기는 어렵다는 말이다.
《익지서》에 말하였다. “백옥을 진흙 속에 던져도 그 빛을 더럽힐 수 없고, 군자는 혼탁한 곳에 갈지라도 그 마음을 더럽히거나 어지럽힐 수 없다. 그러므로 송백松柏은 서리와 눈을 견디어 내고, 현명하고 지혜로운 사람은 위난을 건널 수 있다.”
[해설] 백옥이나 군자는 그 참된 내재적 가치가 어떠한 상황에서도 변하지 않는데, 이러한 진가眞價를 발휘하는 모습은 송백松柏과 같은 자연물이나 현명하고 지혜로운 사람의 경우에 찾아볼 수 있다는 말이다.
산에 들어가 호랑이를 잡기 쉬우나, 입을 열어 남에게 고하기는(부탁의 말을 건네기는) 어렵다.
[출전] 1) 《명현집明賢集》에는 “上山擒虎는 易어니와 開口告人은 難이니라”로 되어 있다.
2) 나라 고칙성高則誠의 《비파기琵琶記》 〈왕랑전발매발王娘剪髮賣髮〉에는 “上山擒虎는 易어니와 開口告人은 難이니라”로 되어 있다.
3) 《증광현문增廣賢文》에도 소개되어 있다.
[해설] 호랑이를 잡는 죽음의 행위를 하는 것보다, 남에게 도와달라는 말을 건네기가 더 어렵다는 말이다.
먼 곳에 있는 물은 가까이서 난 불을 끄지 못하고, 먼 곳의 일가 친척은 이웃만 같지 못하다.
[출전]증광현문增廣賢文》에는 “遠水는 難救近火요 遠親은 不如近隣이니라”로 되어 있다.
[해설] 이 글은 ‘이웃 사촌’을 떠올리는 글이다. 아쉬울 때 멀리 있는 친척은 가까이서 서로 도움을 주는 이웃보다도 못하다는 말이다.
태공이 말하였다. “해와 달이 비록 밝으나 엎어놓은 동이의 밑은 비추지 못하고, 칼날이 비록 잘 들더라도 죄없는 사람은 베지 못하고, 나쁜 재앙과 느닷없는 는 조심하는 집 문에는 들지 못한다.”
[해설] 세상을 살면서 신중하거나 정당하게 살아가는 사람에게는 느닷없는 재앙이란 없음을 말하고 있다.
태공이 말하였다. “좋은 밭 만 이랑이 얄팍한 기술이나 몸에 지니는 것만 못하다.”
[출전] 1) 북제北齊안지추顔之推가 쓴 《안씨가훈顔氏家訓》〈勉學〉에 “諺曰 積財千萬이 不如薄技在身이니라 : 속담에 천만금을 쌓아 지니고 있는 것이 얇은 재주가 몸에 있는 것만 같지 못하다.”는 유사한 글이 있다.
2) 《증광현문增廣賢文》에는 “良田百畝는 不如薄技隨身이니라”으로 되어 있다.
[해설] 하찮은 기술이라도 자신이 간직하고 있는 것은 평생의 도구이므로 많은 재산보다 낫다는 말이다.
《성리서》에 말하였다 “남을 접하는 요체는 자기가 하고자 하지 않는 것을 남에게 베풀지 말고, 행해도 되지 않는 일이 있거든 돌이켜 자기 몸에서 찾아라.”
[출전] 1) 《주자대전朱子大全》 〈권제칠십사卷第七十四잡저雜著백록동서원게시白鹿洞書院揭示〉에 보인다.
2) “己所不欲을 勿施於人하라”는 《논어》〈안연顔淵이장二章〉, 〈위영공衛靈公이십삼장二十三章〉에 이미 보이고 있다.
3) “行有不得이어든 反求諸己니라”는 《맹자孟子》〈離婁章句 사장四章〉에 “行有不得者이어든 皆反求諸(저, 之於)己니라”로 보인다.
[해설] 이 글은 남과 나의 원만한 관계, 곧 의 실현을 위해, 자기가 싫어하는 것을 남에게 행하지 말고, 자기에게 문제의 원인을 찾아야 한다는 말이다.
술과 색과 재물과 기운의 네 담 안에 수많은 어진 이와 어리석은 사람이 그 방에 갇혀 있다. 만약 그 누가 이 곳을 뛰쳐 나올 수 있다면 그것은 곧 신선의 죽지 않는 방법이다.
[해설] 사람이 살면서 피하기 어려운 술과 여색과 재물과 혈기와 같은 네 가지의 구속적 요소에 수 많은 사람들이 현부賢否를 막론하고 그 문턱에서 헤맨다. 만약 이런 제약적 요소에서 벗어날 수 있다면, 그것이야말로 영원한 휴식의 삶일 것임을 말하고 있다.


역주
역주1 省心篇 下 : 이 편도 〈省心篇 上〉과 마찬가지로 마음 쓰는 일에 대해 생각해 볼 것을 말하고 있다. 세상을 살면서 접하는 일이나 만나는 사람에 대하여 우리가 유의할 점을 나열하고 있다.
역시 극단적인 것을 피하고 편안한 내면 상태의 유지를 권고한다. 남에 대한 善의 유지, 재물에 대한 대수롭지 않은 태도, 째째하지 않은 삶 등에 대한 토론의 기회를 우리에게 준다. “물이 너무 맑으면 물고기가 살지 않는다.”는 낯 익은 명언도 이 편을 통해 엿볼 수 있다.
역주2 眞宗皇帝 : 중국 송나라 제3대 임금으로, 이름은 恒, 太宗의 셋째 아들, 재위 25년(997~1022), 연호는 咸平․景德․大中祥符․天禧․乾興 5가지였다.
역주3 御製 : 제왕이 직접 지은 글을 가리킨다.
역주4 羅網 : ‘羅’를 罹(리: 걸리다)로 보아 ‘그물에 걸리다’로 새기는 방법도 있다. 또 ‘羅網’은 그대로 쓰여,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網羅’, 곧 ‘그물’, ‘그물질하다’, ‘그물에 걸리다’의 의미로 쓰이는 경우가 고전에 가끔 발견된다.
역주5 損人利己 : ‘남을 해치거나, 남의 것을 덜어다, 자기를 이롭게 하는 것’이다.
역주6 ‘雲仍’ : 후손, 자손의 의미인데, ‘雲礽’으로 쓰기도 한다. 자기의 7,8代되는 손, 곧 구름이 멀리 떠 있듯이, 먼 후손이다. 이것을 표로 만들면 이러하다.
나-子[1]-孫[2]-曾孫[3]-玄(高)孫[4]-來孫[5]-昆孫[6]-仍孫[7]-雲孫[8]
역주7 改名 : 여기서는 죄를 지어 이름을 바꾸는 것이다.
역주8 異體 : 殊死(殊는 ‘베이다, 끊어지다’는 의미로, 殊死는 목이 베이는 형벌)에 처해져 몸과 목이 따로 놓이는 상태를 말한다.
역주9 改名異體는 皆因巧語而生이요 : ‘죄를 지어 이름을 바꾸고 목 베이는 형벌로 몸과 머리가 따로 놓이는 것은 교활한 말 때문에 생긴다.’는 의미이다.
역주10 神宗皇帝 : 송나라 제6대 임금. 이름은 頊(욱), 英宗의 맏아들로 王安石을 등용하여 新法을 시행했으므로 크게 민중의 원망을 샀다. 재위기간은 18년(1067~1085)으로, 38세에 세상을 떴다.
역주11 非道 : ‘도리에 어긋난’의 의미이다.
역주12 讒言 : 남을 비방하는 말이다.
역주13 : 모두 ‘勿’의 의미이다.
역주14 克己 : 본래 私慾(欲), 곧 공적이지 못한 개인에 국한된 사사로운 욕구나 욕심을 이겨내는 것이다. 공자가 말하는 《論語》〈顔淵 一章〉에 나오는“克己復禮”가 이 점을 잘 말해준다.
역주15 : 황제 스스로를 가리키는 말이다.
역주16 : 卽의 의미로서, ‘곧’(~하면), ‘~은’(주격)의 뜻에 준한다.
역주17 高宗皇帝 : 南宋의 초대 임금이다. 欽宗 원년(1126)에 金나라가 大軍을 몰아 공격해 왔을 때 이를 물리칠 수 없어 땅을 떼어 주고 배상금을 물어 叔侄(질)의 義를 맺어 화평했는데 송나라가 약속을 지키지 못하자, 金나라는 다시 쳐들어와 徽宗과 欽宗이 붙잡혀 가 이듬해 흠종의 아우 康王이 즉위하였으니 이 사람이 곧 高宗이다.
역주18 一星 : 一星은 아주 작은 한 점의 불티를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역주19 萬頃 : 매우 넓은 부분을 역시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역주20 半句 : ‘반 마디’보다는 ‘한 마디’로 해석하는 것도 좋다.
역주21 : 飱(손)과 같이 쓰이는데, 아침밥을‘饔(옹)’이라 하고, 저녁밥을‘飧’이라 한다. 그러나 대략 끼니를 가리킬 때 飧이라 한다.
역주22 : 여기서는 ‘구차하다’는 뜻이다. 조건절을 만드는 부사(진실로 ~한다면, 만약 ~한다면)로도 많이 쓰인다.
역주23 福緣善慶 : 《주역》〈坤卦 文言傳〉의 ‘積善之家 必有餘慶’에서 나온 말로 복은 선행을 쌓는데 연유한다는 말이다.
역주24 王良 : 춘추시대 晉나라 사람으로 말을 잘 끌었던 사람이라는 說과 後漢 때 사람이라는 설이 있다. 그는 字가 仲子로, 新나라 王莽(망)이 벼슬을 주었으나 응하지 않았고, 後漢 光武帝 때 大司徒가 되었는데, 청렴하여 집안이 몹시 가난하였다고 한다. 鮑恢가 찾아갔는데, 마침 그의 아내가 산에서 땔나무 해 오는 것을 보고 크게 감탄하였다. 친구가 헐뜯는 말을 듣고는 벼슬을 그만두고 다시는 벼슬하지 않았다고 한다.
역주25 : 여기서 ‘欲’은 모두 ‘~하기를 바라다’ 또는 ‘~하고자 하다’라는 의미의 조동사로 해석해도 좋다.
역주26 家語 : 《孔子家語》를 말하는데, 공자의 言行과 門人들과의 문답을 기록한 것이다. 원래 27권으로 되어 있었으나 상당 부분 흩어져 없어지고, 魏나라 王肅이 10권 44편으로 엮어 만들어 註를 달았다. 따라서 《공자가어》는 그의 僞作이라고도 한다.
역주27 人至察 : ‘사람이 지나치게 재거나 살피는 것’이다.
역주28 許敬宗 : 唐 나라 때 사람으로 字는 延族이다. 그는 글을 잘했으나 몰래 武后에게 아부하고, 褚遂良(저수량)․長孫無忌 등을 죽이거나 축출했으며, 高祖․太宗의 실록을 마구 고쳤다.
역주29 春雨 如膏나 行人은 惡(오)其泥濘하고 : 부사절+주절의 對句로 이루어진 이 글은 인생살이의 잣대는 상대적임을 말해주고 있다.
역주30 見善明故 : 원문에서 모두 故자 앞에서 구두를 끊어, “大丈夫見善明이라 故로 重名節於泰山하고 用心精이라 故로 輕死生於鴻毛니라”로 끊어도 좋다.
역주31 悶人之凶하고…… 求人之危니라 : 여기서는 吐를 ‘~하며(고) ~하며(고) ~하며(고) ~니라’로 해도 무방하다. 대체로 대등한 의미의 말을 나열하는 경우, ‘A하고 A’하며 B하고 B’니라’하거나 ‘A하며(고) B하며(고) C하며(고) D니라’로 吐를 단다.
역주32 未皆 : 부정어에 전체를 나타내는 부사가 붙어 있어 부분부정을 나타내는 말로, ‘모두(다) ~이지는 않다’로 해석된다.
역주33 : 가능을 나타내므로 ‘~할 수 있다’의 조동사로 해석하면 좋다.
역주34 : ‘〈두레박 끈이 짧아 물을 끌어 올리려면〉 고통스런’의 의미가 들어 있으면서, 자연스럽게 前句와 後句의 리듬을 맞추는 역할을 한다.
역주35 臟濫이……罪拘薄福人이니라 : 이 글에서 ‘罪는 拘薄福人이니라’로 끊어 읽으면 ‘부사절(주어+술어+보어)+주절(주어+술어+보어)’의 문장 구조가 분명하게 드러난다.
역주36 : ‘늘 그러한 법칙이나 규칙성’ 곧 常道이다. 밤낮의 변화와 같은 어김없는 자연 운행처럼 ‘으레히 그러한’ 일정한 법칙성, 도리를 말한다.
역주37 壯元 : 과거시험에서 文․武科에서 1등한 것을 말하므로 壯元詩는 장원급제한 사람의 詩로 볼 수 있다.
역주38 : 의미가 收에 종속되어 넌지시 ‘가능’을 나타내는 助辭이다. 예컨대 見得, 說得 등이 이러한 경우에 해당한다.
역주39 蘇東坡 : 송나라의 문인 蘇軾으로 洵의 아들이자, 轍의 형으로, 이 세 사람을 ‘三蘇’라 부른다. 그를 大蘇, 아우 철을 小蘇라고 하는데, 仁宗 景祐 3년 고려 정종 2년(1036년)에 나서 徽宗 建中靖國 원년(1101년)에 죽었다. ‘唐宋八大家’의 한 사람, 동파는 그의 호인데 靜常齋, 雪浪齋라고도 하며 시호는 文忠이다. 시에 능하고 經史에 통했다. 그의 학파를 蜀派라 한다. 王安石의 新法을 반대하여 좌천되었으나 뒤에 哲宗에게 重用되었으며 시는 宋代의 제1인자로 손꼽히고 글씨와 그림에도 능했다. 그의 시 〈赤壁賦〉가 유명하고, 저서에 《東坡志林》, 《仇池筆記》, 《東坡全集》 등이 있다.
역주40 有人 : 여기서 有는 해석을 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지만, 해석한다면 ‘어떤’의 의미로 새기는 것이 좋다. 《논어》〈學而 1章〉의 “有朋이 自遠方來면 不亦樂乎아”에 보이는 ‘有朋’의 有가 이 같은 例이다.
역주41 : ‘이지러질 휴’로, 한 귀퉁이가 떨어져 나가는 것을 뜻한다.(虧缺: 부족함, 虧本: 본전을 손해봄, 虧負: 빚을 짐, 虧蝕: 日蝕 또는 月蝕)
역주42 : 이 글의 ‘是’는 모두 ‘~이다’ 또는 ‘이것이 ~이다’ 정도로 해석하면 된다.
역주43 八尺 : 여덟 자(30x8=240센티미터)면 우리의 키를 수용하고도 남는다.
역주44 日食二升 : 부사어(日)+술어(食)+목적어(二升)의 관계로 되어 있다.
역주45 : 句의 속에 들어 있을 때, ‘역시’, ‘~도’의 의미를 갖거나 강조 또는 문맥의 호흡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역주46 甘露 : 감로수로 ‘하늘에서 내려주는 不老長生의 신비한 약’으로, 천하가 태평하면 하늘이 祥瑞로운 징후로 내려주는 것이라고 한다.
역주47 醉後添盃는 不如無니라 : A不如B나 A不若B는 ‘A는 B만 같지 못하다’인데, ‘A보다 B가 낫다’의 의미이다.
역주48 : 異性 또는 모습을 의미하는데, 여기서는 異性 곧 女色을 의미한다.
역주49 : ‘나란하게 하다’로, ‘等’이나‘同’과 거의 같은 의미로 쓰였다.
역주50 道念 : 도리나 이치에 합당한 마음이다.
역주51 情念 : 사물에 부딪쳐 발현하는 마음 곧 七情과 같은 내면의 정신작용을 말하는 데 여기서는 異性에 대한 愛情같은 것을 말한다.
역주52 巧者 : 재주와 꾀가 많은 사람.
역주53 拙者 : 재주가 없고 노둔한 사람.
역주54 刑政 : 형벌에 의한 정치, 곧 법치주의를 말하는 것으로, 덕치주의에 反한다.
역주55 : 《易經》 곧 《周易》을 말한다. 五經의 하나로, 중국 上古 때 伏羲氏가 그린 卦에 대해 周나라 文王이 總說하여 卦辭라 하고, 周公이 그 六爻에 대해 자세히 해설하여 爻辭라 했는데, 공자가 여기에 심오한 원리를 붙여 十翼, 곧 열 가지 해설을 단 것으로 되어 있다. 陰陽 二元을 가지고 우주의 모든 현상을 설명했는데, 周代에 의해 완전히 이루어졌다 하여 《주역》이라 한다.
역주56 : 여기서 而는 역접의 접속사이다.
역주57 說苑 : 漢나라 때 劉向이 편찬한 책. 逸話를 모아 엮은 것으로, 君道, 臣述, 建本, 立節, 貴德, 復恩, 政理, 尊賢, 正諫, 敬愼, 善說, 奉使, 權謀, 至公, 指武, 談叢, 雜言, 辨物, 修文, 反質 등 20편 20권으로 되어 있다.
역주58 滿 : 그릇이 꽉 차는 것과 사람이 가득차는 것, 곧 驕滿, 自滿을 가리킨다.
역주59 寸陰 : 光陰. 짧은 시간.
역주60 : ‘바로 ~이다’로 해석하면 좋다.
역주61 : ‘栢’과 같이 쓰인다.
역주62 可以 : 여기서 ‘以’는 ‘以此(松柏)’이다.
역주63 開口告人 : 입을 열어 남에게 도움을 요청하거나 어려운 부탁을 하는 것이다.
역주64 遠親은 不如近隣이니라 : ‘A不如B’는 ‘A는 B만 같지 못하다(A는 B만 못하다)’의 의미이다.
역주65 非災 : 나쁜 재앙.
역주66 橫禍 : 橫厄으로, 느닷없거나 이치에 어긋난 災殃(禍)을 가리킨다.
역주67 : ‘대상’으로서 우리가 만나는 일[事], 사물, 상대, 남 등등을 가리킨다. 그런데 여기서는 ‘物’은 남, 상대로 번역하는 것이 좋다.
역주68 多少 : 少는 助字이다. 곧 의미가 多에만 있음이다. 참고로 살펴보건대, 多少는 첫째 ‘많다’, 둘째 ‘어느 정도’, 셋째 ‘조금’의 의미를 가지나 여기서는 첫째의 의미이다.
역주69 若~便 : ‘若~則’과 같이 ‘만약 ~한다면’으로 가정형을 구성한다.
역주70 : 조동사로서 상황이 허락되는 것을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동사 앞에 쓰이지만 동사 뒤에 쓸 수도 있다. “不能勤苦이면 焉得行此리오 不恬貧窮이면 焉能行此리오 : 부지런히 애써 할 수 없으면 이것을 어떻게 시행할 수 있으리오? 빈궁한 삶에 만족하지 않으면 어떻게 이것을 행할 수 있으리오?” 《韓詩外傳》
동영상 재생
1 12. 성심편 하 626
동영상 재생
2 12. 성심편 하 376
동영상 재생
3 12. 성심편 하 483
동영상 재생
4 12. 성심편 하 102
동영상 재생
5 12. 성심편 하 150
동영상 재생
6 12. 성심편 하 121
동영상 재생
7 12. 성심편 하 152
동영상 재생
8 12. 성심편 하 56
동영상 재생
9 12. 성심편 하 98
동영상 재생
10 12. 성심편 하 136
동영상 재생
11 12. 성심편 하 168
동영상 재생
12 12. 성심편 하 76
동영상 재생
13 12. 성심편 하 60
동영상 재생
14 12. 성심편 하 125
동영상 재생
15 12. 성심편 하 272
동영상 재생
16 12. 성심편 하 81
동영상 재생
17 12. 성심편 하 248
동영상 재생
18 12. 성심편 하 51
동영상 재생
19 12. 성심편 하 57
동영상 재생
20 12. 성심편 하 106
동영상 재생
21 12. 성심편 하 179
동영상 재생
22 12. 성심편 하 38
동영상 재생
23 12. 성심편 하 47
동영상 재생
24 12. 성심편 하 142
동영상 재생
25 12. 성심편 하 72
동영상 재생
26 12. 성심편 하 194
동영상 재생
27 12. 성심편 하 160

명심보감 책은 2019.04.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