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註解千字文

주해천자문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주해천자문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4‧9‧104 績紡하고 이라 (妾●御◑績●紡◯하고 侍◑巾帷房◎이라)
妾御 妾也
皆有其職하니 紡績 豈止於妾이리오
此偶不言妻耳
侍巾櫛於帷房之內者 亦妻妾之事也


첩은 실 잣기를 하고, 장막 친 방에서 수건을 들어 모신다.
妾御는 妾이다.
그러나 면류관 끈을 짜는 王后로부터 남편의 옷을 해 입히는 庶士 이하의 아내에 이르기까지 모두 그 직분이 있으니, 실을 잣는 것이 어찌 첩에게만 국한되겠는가.
이는 우연히 아내를 말하지 않았을 뿐이다.
수건과 빗을 가지고 장막 친 방 안에서 모시는 것은 또한 妻妾의 일이다.


역주
역주1 妾御 : 《註解》는 御도 妾으로 주석하였으나, 《釋義》는 御를 ‘모시다’로 주석하여, 본문이 ‘첩이 모시어 실 잣기를 하고’로 풀이된다.
역주2 妾御績紡 侍巾帷房 : 妾은 아내에 다음가는 사람이다. 《禮記》 〈內則〉에 말하기를 “남자가 예법으로 맞이하면 처가 되고, 여자가 예법 없이 붙좇으면 첩이 된다.”* 하였다.
《六書正譌》에 말하기를 “妾은 立(설 립)을 따르고 女(여자 녀)를 따랐으니, 곁에서 모신다는 뜻이다.”* 하였다. 御는 모신다는 뜻이다. 績은 삼으로 실을 자음이다. 紡은 《說文》에 말하기를 “실을 자음이다.” 하였다. 巾은 머리에 쓰는 옷이다.
《釋名》에 말하기를 “20살에 성인이 되면 士는 冠을 쓰고 서민은 巾을 쓴다.” 하였다. 《春秋左氏傳》 僖公 22年에 嬴氏가 晉 太子에게 말하기를 “우리나라 임금께서 婢子(저)에게 수건과 빗을 들어 모시라고 하였습니다.[寡君之使婢子侍執巾櫛]”* 하였다.
帷는 《釋名》에 말하기를 “에워싸는 뜻이니, 그것으로 자신을 막아 에워싸는 것이다.” 하였다. 《說文》에 말하기를 “곁에 치는 것을 帷라 하고, 위에 치는 것을 幕이라 한다.” 하였다. 房은 室이다.(《釋義》)
*남자가 예법으로……첩이 된다 : 聘은 저쪽에서 이쪽에 물음을 말하고, 奔은 여기에서 저쪽으로 따라감을 말한다.(《禮記集說大全》 〈內則〉 ‘聘則爲妻 奔則爲妾’)
*妾은……뜻이다 : 妾을 立과 女의 의미가 합해진 會意로 설명한 것이다. 그러나 《說文》에는 “妾은 죄 지은 여자가 일을 이바지하여 임금에게 접촉할 수 있는 사람이다. 䇂(죄 건)을 따르고 女를 따랐다.” 하여, 妾의 立을 䇂으로 설명하였다.
*《春秋左氏傳》 僖公 22年에……하였습니다 : 嬴氏는 春秋時代 秦나라 懷嬴, 晉 太子는 이름이 圉(어)로 후일의 晉 惠公, 寡君은 秦 穆公이다. 婢子는 부인의 비칭으로 여기서는 회영 자신을 말하는 1인칭으로 쓰였다. 巾櫛은 수건으로 손을 닦고 빗으로 머리를 빗게 하는 미천한 일이다. 회영은 秦 穆公의 딸인데 晉 太子 圉가 秦나라에 볼모로 왔을 때 진 목공이 晉 太子에게 아내로 삼아주었다. 뒤에 진 태자가 도주하여 晉 惠公이 되었으나 회영은 따라가지 않았다. 그리고 晉 懷公(惠公의 아들)의 숙부 重耳(후일의 晉 文公으로, 惠公의 형)가 다시 볼모로 오자 진 목공은 또 회영을 중이에게 아내로 삼아주었다.
역주3 自王后織紞 至庶士以下之衣其夫 : 아내가 남편의 복장을 만드는 일이다.
王后는 직접 검은 면류관 끈을 짜고, 公‧侯의 부인은 검은 면류관 끈에 갓끈과 면류관의 덮개[紘綖]를 더 짜며, 卿의 內子는 그 외에 허리에 차는 大帶를 만들고, 大夫의 아내[命婦]는 그 외에 祭服을 만들고, 上士[列士]의 아내는 제복에다 朝服을 더 만들고, 下士[庶士]로부터 그 아래는 모두 그 남편의 옷을 만든다.(《國語》 〈魯語 下〉)
紘은 면류관 끈이 매어져 남음이 없는 것이고, 綖(연)은 면류관 위의 덮개이다. 内子는 卿의 정실 아내이고, 大帶는 검은 허리띠[緇帶]이며, 命婦는 大夫의 아내이다. 列士는 元士(上士)이고 庶士는 下士이다.
신습
한자
妾:첩 첩 妾室 妾子 美妾 愛妾 妻妾 蓄妾 箕箒之妾
御:모실 어/다스릴 어/첩 어 御駕 御命 御前 御製 制御 御賜花 御史出頭
績:길쌈 적/공적 적/실 자을 적 績功 考績 成績 政績 治績 敗績 庶績咸熙
紡:실 자을 방/길쌈 방 紡絲 紡績 紡織 紡車 綿紡 毛紡 紡文績學
侍:모실 시 侍宴 侍射 侍醫 侍從 內侍 嚴侍下 慈侍下
巾:수건 건 巾帶 巾帽 葛巾 頭巾 帛巾 手巾 佩巾 黃巾賊
帷:휘장 유/장막 유 帷蓋 帷幕 帷房 帷幄 帷帳 門帷 帷薄不修
房:방 방 房內 房室 房中 冷房 獨房 溫房 廚房 文房具
동영상 재생
1 4·9·104 첩어적방하… 227

주해천자문 책은 2023.12.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