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註解千字文

주해천자문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주해천자문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4‧11‧109
後嗣續하여 祭祀이라 (嫡●後◯嗣◑續●하여 祭◑祀◯蒸嘗◎이라)
嫡後 嫡長之爲後者 嗣續 繼其代也
言祭祀之禮也 只擧秋嘗冬蒸이나 而春祠夏 亦可包也


嫡統 후계자로 이어가서 제사는 〈겨울의〉 蒸제사와 〈가을의〉 嘗제사를 지낸다.
嫡後는 嫡長子(맏아들)로 후계자가 된 사람이고, 嗣續은 그 代를 잇는 것이다.
祭祀의 禮를 말한 것이니, 다만 가을의 嘗祭와 겨울의 蒸祭만을 들어도 봄의 祠祭와 여름의 禴祭 또한 포함되는 것이다.


역주
역주1 嫡後嗣續 祭祀蒸嘗 : 嫡은 정실 아내가 낳은 아들이다. 後는 할아버지와 아버지를 계승하는 宗子(嫡長子)이다. 嗣는 잇는 것이다. 續은 닿는 것이다. 《詩經》 〈小雅 斯干〉에 말하기를 “祖妣*와 祖考를 계승한다.[似續妣祖]” 하였다.
음식으로 그 조상을 먹이는 것을 祭祀라고 한다. 蒸‧嘗은 모두 제사의 이름이다. 《禮記》 〈王制〉에 말하기를 “봄제사를 礿이라 하고, 여름제사를 禘라 하고, 가을제사를 嘗이라 하고, 겨울제사를 烝이라 한다.”* 하였다. 蒸‧嘗을 말하고 禴‧禘를 말하지 않은 것은 글을 생략하여 韻을 맞춘 것이다.(《釋義》)
蒸嘗은 春夏秋冬 4계절 제사의 순서로 하면 礿禘嘗蒸인데 생략되고 압운에 의한 도치로 인하여 ‘蒸嘗’이 되었다.(해제 참조)
*妣祖 : 祖妣가 바뀐 이유를 〈斯干〉의 集傳에 “似는 잇는다는 뜻이다. 妣가 祖보다 앞에 있는 것은 아래 글에 운을 맞추었을 뿐이다.[似 嗣也 妣先於祖者 協下韻爾]” 하여 압운 때문이라고 하였다.
*봄제사를 礿이라 하고……烝이라 한다 : 《詩經》 〈小雅 天保〉에는 ‘禴祠烝嘗’이라고 하였는데, 순서가 바뀐 이유를 孔穎達 疏에서는 “만일 四時로 한다면 당연히 祠禴嘗烝이라고 해야 할 것인데 《詩經》에서는 편의한 글로 하였기 때문에 先後에 의거하지 않았다. 이것은 모두 《周禮》의 글인데 殷나라로부터 이상은 禴禘嘗烝이니 〈王制〉의 글이다. 周公에 이르러서는 夏禘의 명칭을 없애서 春禴으로 충당하고 다시 봄제사를 명칭 붙여 祠라고 하였다.” 하고, 또 그 大全에서는 “禴祠烝嘗은 祠禴嘗烝을 각각 한 글자씩 도치하였는데 이것은 음절을 맞춘 것이다.” 하여, 便文 또는 嘗이 압운으로 쓰여 음절을 맞춘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리고 夏禘는 周나라 周公에 의해 春禴으로 충당되었다가 다시 봄제사를 祠로 하였다는 것이다.
역주2 : 適(정실 아들 적)과 같다.(《註解》)
첩의 아들은 庶라 한다.
역주3 : 烝(겨울제사 증)과 같다.(《註解》)
역주4 : 甞(가을제사 상)과 같다.(《檀》)
역주5 : 礿(봄제사 약)과 같다.(《漢》)
신습
한자
嫡:정실 적/정실 아들 적 嫡母 嫡庶 嫡孫 嫡子 嫡傳 嫡統 世嫡 嫡長子
後:뒤 후/후계자 후 後尾 事後 後來三杯 後生可畏 後悔莫及
嗣:이을 사 嗣續 嗣子 儲嗣 嫡嗣 血嗣 後嗣 罰不及嗣
續:이을 속 續刊 續開 續行 繼續 斷續 不續 連續不絶
祭:제사할 제 祭官 祭壇 祭禮 忌祭 祝祭 山神祭 冠婚喪祭
祀:제사할 사 祀典 郊祀 時祀 淫祀 祭祀 從祀 享祀 奉祀孫
蒸:찔 증/겨울제사 증 蒸氣 蒸民 蒸發 蒸鬱 炎蒸 蒸溜水 汗蒸幕
嘗:일찍 상/가을제사 상 嘗味 嘗糞 禘嘗 嘗試 備嘗艱苦 臥薪嘗膽
동영상 재생
1 4·11·109 적후사속 … 171

주해천자문 책은 2023.12.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