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註解千字文

주해천자문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주해천자문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4‧19‧123 束帶矜莊하면 (束●帶◑矜莊하면 徘徊瞻眺◉)
束帶立於朝 當矜持莊敬이요 不可懈也
矜莊有素 則徘徊之閒 可以聳動瞻眺 詩曰 民具爾瞻 是也


띠를 묶고 있으면서 긍지와 단정함이 있으면, 배회할 적에 〈사람들이〉 우러러본다.
띠를 묶고 조정에 서 있을 때에는 마땅히 긍지를 가지고 단정히 공경할 것이고, 게으르게 해서는 안 된다.
긍지와 단정함이 평소에 있으면, 배회하는 사이에 사람들이 감동하여 바라보도록 할 수 있으니, 《詩經》 〈節南山〉에 이르기를 “백성들이 모두 그대를 우러러본다.”는 것이 이것이다.
[節旨] 이 節은 擧動을 점잖고 愼重히 해야 하는 것 또한 처신하는 방도라고 말한 것이다.(《釋義》)
[節解] 이 節은 그 거동을 점잖고 신중히 하는 이는 걷는 걸음이 반드시 법도에 맞으며 머리를 들어 목을 빼고 한 번 내려다보며 한 번 우러러보는 데에 마치 廊廟 안에 있는 듯이 하여 띠를 묶고 단정히 엄한 형상이 있으며 배회하여 바라보는 것이 예법에 맞지 않는 것이 없다고 말한 것이다.
사당에 들어서는 경건함을 생각하고 띠를 매어 복장을 성대하게 한다. 이를 들어 용모를 움직이는 공경을 보이니, 《論語》 〈先進〉에 “큰 제사를 받들 듯이 하며 큰 손님을 만나는 듯이 한다.” 하였다.
俯는 위의 矩步를 이어서 말하였고, 仰은 위의 引領을 이어서 말하였고, 徘徊도 위의 矩步를 이었으며, 瞻眺도 위의 引領을 이었다.(《釋義》)


역주
역주1 : 俳(배회할 배)와 같다.(《註解》)
역주2 : 佪(배회할 회)와 같다.(《註解》)
역주3 束帶矜莊 徘徊瞻眺 : 束은 묶는다는 뜻이다. 帶는 《說文》에 이르기를 “띠이다.” 하였다. 矜은 엄히 지키는 것이고, 莊은 용모가 단정함이다. 徘徊는 방황하여 나아가지 않는 모양이다. 瞻은 올려다보는 것이다. 眺는 바라보는 것이다.(《釋義》)
신습
한자
束:묶을 속 束帶 束縛 束帛 結束 團束 約束 束手無策
帶:띠 대 帶同 帶鉤 帶下 冠帶 溫帶 腰帶 帶礪之誓
矜:자랑 긍 矜憐 矜悶 矜式 矜持 矜惻 矜恤 誇矜 自矜
莊:씩씩할 장 莊嚴 莊園 莊重 老莊 別莊 山莊 莊周之夢
徘:배회할 배 徘翔 徘徊往來
徊:배회할 회 徊翔 徊集 徊徨 徊腸傷氣
瞻:쳐다볼 첨 瞻仰 觀瞻 瞻望不及 瞻言百里 民俱爾瞻
眺:바라볼 조 眺臨 眺望 視眺 遠眺 臨眺 瞻眺 閑眺 廻眺
동영상 재생
1 4·19·123 속대긍장 … 214

주해천자문 책은 2023.12.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