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註解千字文

주해천자문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주해천자문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語助〉
125 (謂◑語◯助◑者◉ 焉哉乎也◉)
하니 虛字亦不可無
其起結承接之際 可以聯綴爲文者 卽所謂語助辭也
若焉若哉若乎若也 是語辭 而耶歟矣兮之屬 皆其類也
所書草楷篆隷四體 烈作絜하니 同潔이요 祐作祜하니 福也 卲作劭하니 美也
南陽 洪泰運書
崇禎百七十七秊甲子秋 京城新刊


〈語助〉
語助辭라 이르는 것은 焉‧哉‧乎‧也이다.
文字에는 實字와 虛字가 있으니, 허자도 없어서는 안 된다.
그 발단‧결말‧접속하는 즈음에 연결하여 글을 만들 수 있는 것이니, 곧 이른바 語助辭이다.
焉‧哉‧乎‧也가 바로 어조사이니, 而‧耶‧歟‧矣‧兮 등속이 모두 그 부류이다.
[節解] 이것은 전체 篇의 글과 서로 이어지지 않는다. 작자가 글짓기를 마치고 나서도 오히려 몇 글자가 남자 다시 押韻 언어를 지어서 마친 것이다.(《釋義》)
明나라 衡山 文徵明이 쓴 草‧楷‧篆‧隷의 《四體千字文》에는 女慕貞烈의 烈이 絜로 되어 있는데 絜은 潔과 같으며, 指薪修祐의 祐가 祜로 되어 있는데 祐는 福의 뜻이며, 永綏吉卲의 卲가 劭로 되어 있는데 劭는 美의 뜻이다.
南陽 사람 洪泰運이 쓰다.
崇禎 177년(1804, 순조 4) 甲子 가을 京城 廣通坊에서 새로 간행하다.


역주
역주1 謂語助者 焉哉乎也 : 謂는 일컬음이다. 語는 말이다. 助는 도와 보태는 것이다. 무릇 말한 뜻이 이미 완전해도 아직 충분하지 못하면 통용하는 글자로 보태니 그것을 語助라 한다. 哉‧乎는 의문사이고, 焉‧也 결정하는 말이다. 焉‧哉‧乎‧也 4글자가 어조사임을 말한 것이다.(《釋義》)
역주2 : 㢤(어조사 재)는 俗字이니 잘못이다.(《註解》)
역주3 焉哉乎也 : 모두 語氣詞이다. 也‧矣 등은 陳述 語氣이고, 乎‧耶 등은 疑問 어기이고, 哉‧夫 등은 感歎 어기이다.(《漢》) 焉은 停頓(休止) 어기이다.(《漢》)
也는 《註解》에 “입긔 야 語之終 氣出口下而盡에 의한 ‘입 기운 야’이다. 말이 끝나면 기운이 입 아래로 나와서 다한다.” 한 것이 주목되는바, ‘입 기운’은 氣口를 도치한 口氣에 대응되는 것이고 이는 현재의 語氣詞로 설명된 것이다.
어기사는 《光州千字文》‧《石峰千字文》에는 모두 “焉 입겻 언 哉 입겻  也 입겻 야”라고 하여 모두 ‘입겻’으로 표기하였고, 후일의 여러 본에서는 ‘이끼’로 나타났다. 결국 입겻‧입긔‧이끼는 모두 어기사의 한국어 표현인 것이다.
역주4 文字有實有虛 : 文字에는 實字*와 虛字*가 있음을 말한다.
*實字 : 지금 언어의 實詞와 같다. 虛字와 상대어이다. 사람 혹은 사물 및 그 동작‧변화‧性狀 등 槪念을 표시하는 말이다. 독립하여 文句를 충당할 수 있는 成分이다. 名詞‧動詞‧形容詞‧數詞‧量詞‧代詞 6종류를 포괄한다.(《漢》)
*虛字 : 虛詞. 단독으로 문구를 이루지 못하고, 뜻이 比較‧抽象하여 일정 語法과 뜻을 갖추는 말이다. 介詞‧連詞‧助詞와 같은 것이다.(《漢》)
역주5 韻語 : 者‧也가 4글자 2구 안에서 馬韻으로 압운되었음을 말한다. 이 앞은 …… 廟‧眺‧誚로 8글자의 隔句 압운을 이루고 있다.
역주6 皇明 : 明나라. 皇은 옛적 封建 왕조에 대한 존칭이다.(《漢》)
역주7 文衡山徵明 : 1470~1559. 明나라 蘇州府 長洲 사람이다. 초명은 璧, 字를 〈이름으로〉 사용하여, 다시 徵仲으로 字를 지었다. 호는 衡山이다. 正德* 말기에 歲貢生*으로 吏部에 추천되어 쓰여 翰林院 待詔를 임명받았다.
시문을 잘하였고, 行書‧草書에 능하였으며, 작은 楷書 글씨에 정밀하였다. 그림에 더욱 뛰어나서 산수‧화훼‧蘭竹‧인물 그림에 독보적인 경지에 이르렀다. 집 이름은 玉磬山房이다.(《人》)
*正德 : 明나라 武宗의 연호. 1506~1521.
*歲貢生 : 明‧淸시대에 國子監에서 官費로 공부하던 生員의 일종. 府‧州‧縣에서 학행이 우수하고 공부한 기간이 오래된 생원을 선발하여 국자감에 보냈다.
역주8 廣通坊 : 漢陽 南部에 있던 坊.(현재 청계천 부근) 坊은 현재의 洞 수준 행정 단위. 광통방 북쪽에 北廣通橋가 있었다.
신습
한자
謂:이를 위 謂何 可謂 無謂 相謂 所謂 云謂 自謂 稱謂
語:말 어 語句 語錄 語義 俗語 語不成說 街談巷語
助:도울 조 助力 助言 內助 自助 揠苗助長 天佑神助
者:놈 자/것 자 讀者 信者 學者 賢者 角者無齒 仁者無敵
焉:어조사 언/이끼 언 焉烏 終焉 忽焉 於焉間 焉敢生心 百物生焉
哉:어조사 재 善哉 快哉 哉生明 哉生魄 可然哉 仁遠乎哉
乎:어조사 호/온 호 烏乎 宜乎 嗟乎 禮後乎 攻乎異端 不亦樂乎
也:어조사 야/이끼 야 也已 也哉 可也簡 丘也幸 何遲也 言則是也
동영상 재생
1 125 위어조자는 언 … 362

주해천자문 책은 2023.12.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