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註解千字文

주해천자문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주해천자문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7‧9 海鹹河하고 이라 (海◯鹹河淡◑하고 鱗潛羽◯翔◎이라)
海爲衆水所歸하여 積而不散하며 作鹹하고
河源 出於崑崙하여 諸水不侵하여 其味最淡하니 莫非理也
記曰 鱗蟲三百六十 龍爲長이요 羽蟲三百六十 鳳爲長이라하니 鱗蟲 藏於水하고 羽蟲 飛於空하니 皆其性也


바닷물은 짜며 河水는 담박하고, 비늘 달린 고기는 물속에 잠기며 깃 달린 새는 공중을 난다.
바다는 모든 물이 귀착되는 곳이어서 모여 흩어지지 않고 적시어 내려가서 짜게 된다.
黃河의 근원은 崑崙山에서 나와 여러 물이 들어오지 않으므로 그 맛이 가장 담박하니, 이치가 아닌 것이 없다.
《禮記》 〈月令〉에 이르기를 “비늘이 있는 동물 360가지에서 龍이 으뜸이고, 깃이 달린 동물 360가지에서 鳳이 으뜸이다.” 하였으니, 비늘이 있는 동물은 물속에 숨어들고 깃이 있는 동물은 공중을 나니, 이 모두가 그 天性이다.
[節旨] 물의 큰 것에 이르러서는 河水와 바다가 있지만, 벌레‧물고기‧새‧짐승은 다 들 수가 없어서 총괄적으로 땅에서 널리 살고 있는 것을 보였다.(《釋義》)


역주
역주1 : 싱거울 담. 진함과 짭짤함의 반대이다.(《註解》)
역주2 海鹹河淡 鱗潛羽翔 : 海는 모든 물이 귀착되는 골짜기이다. 《博物志》에 이르기를 “하늘과 땅의 사방이 모두 바닷물로 서로 통하였는데 땅이 그 속에 있다. 총괄하여 말하면 四海라고 말한다.” 하였다. 바닷물은 맛이 짜므로 海鹹*이라고 하였다. 河는 물 이름인데 오늘의 河間府 지역에 이르러 나뉘어서 9개의 河가 되고 바다에 들어가니, 이것이 河水의 옛 길이다. 지금은 남으로 옮겨서 淮水와 합류하고 淮安府 지역에 이르러서 바다로 들어간다. 하수는 맛이 담담하므로 河淡이라고 하였다. 鱗은 물고기 비늘이고, 潛은 숨는다는 뜻이고, 羽는 새 날개이고, 翔은 난다는 뜻이니, 물고기가 연못에 숨고 새가 하늘을 나는 것을 말한다.(《釋義》)
*鹹 : 鹹의 本字는 醎이다.(《中》)
역주3 潤下 : 물의 성향이 아래로 내려가서 만물을 적심을 말한다.(《漢》) 물은 潤下이다. 적시고 또 내려가는 것이다.(《書經》 〈洪範〉 集傳)
신습
한자
海:바다 해 海面 海物 海水 海洋 東海 深海 遠海 北極海
鹹:짤 함 鹹度 鹹鹵 鹹水 鹹地 鹹泉 鹹土 酸鹹 辛鹹
河:물 하/물 이름 하 河口 河水 河川 江河 氷河 銀河 黃河 河圖洛書
淡:맑을 담/싱거울 담 淡交 淡淡 淡泊 淡水 冷淡 濃淡 雅淡 平淡
鱗:비늘 린 鱗甲 鱗介 鱗毛 鱗蟲 魚鱗 逆鱗 龍鱗 片鱗
潛:잠길 잠 潛伏 潛水 潛心 潛入 潛邸 龍潛 隱潛 沈潛
羽:깃 우 羽毛 羽衣 羽蟲 毛羽 蟬羽 鱗羽 羽化登仙
翔:날 상 翔集 翔鴻 高翔 群翔 翶翔 鳳翔 鵬翔 飛翔
동영상 재생
1 1·7·9 해함하담하고… 212

주해천자문 책은 2023.12.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