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註解千字文

주해천자문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주해천자문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11‧33 하라 (臨深履◯薄●하고 夙●興溫凊◉하라)
曾子臨終 曰 詩云 如臨深淵하며 如履薄冰이라하니 라하니
此上文所謂不敢毁傷之道也
詩曰 夙興夜寐라하고 禮曰 이라하니 是則事親之
此二句 專言孝하니 孝則忠可移於君故也


깊은 연못에 임한 듯이 살얼음을 밟는 듯이 조심하고, 일찍 일어나 부모님이 더우신지 시원하신지 살핀다.
《論語》 〈泰伯〉편에서 曾子가 臨終할 때에 말하기를 “《詩經》 〈小雅 小旻〉에 ‘깊은 연못에 임한 듯이 하고 살얼음을 밟는 듯이 하라.’ 하였으니, 지금 이후에야 나는 〈몸을 훼손할까 하는 우려에서〉 면한 것을 알겠구나.” 하였다.
이것은 위 글에서 말한 ‘감히 훼상하지 않는다.’는 도리이다.
《詩經》 〈衛風 氓〉에는 “일찍 일어나고 밤늦게 자라.” 하였고, 《禮記》 〈曲禮 上〉에는 “겨울에는 따뜻하게 해 드리고 여름에는 시원하게 해 드려라.” 하였으니, 이는 어버이를 섬기는 소략한 예절이다.
이 두 글귀는 오로지 孝를 말하였으니, 효하면 忠을 군주에게 옮겨 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節旨] 위에서 忠孝의 도리를 말하여 임금을 섬기는 것은 곧 부모를 섬김에 바탕을 두어야 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또 효도를 전적으로 말하였다.(《釋義》)
[節解] 이는 嚴敬의 실상은 자식이 부모를 섬기는 데에는 신중하고 조심하여 깊은 못에 임한 듯이 살얼음을 밟는 듯이 하고, 일찍 일어나고 밤늦게 자고 겨울에는 따뜻하게 해 드리고 여름에는 시원하게 해 드린 뒤에 효도가 된다고 말한 것이다.(《釋義》)


역주
역주1 臨深履薄 夙興溫凊 : 臨은 임한다는 뜻이다. 深은 깊은 연못이다. 履는 밟는다는 뜻이다. 薄은 얇은 얼음이다. 《詩經》 〈小雅 小旻〉에 이르기를 “두려워하며 조심하여 깊은 연못에 임한 듯이 하고 살얼음을 밟는 듯이 하라.” 하였다.
夙은 일찍이다. 興은 일어난다는 뜻이다. 《詩經》 〈衛風 氓〉에 이르기를 “일찍 일어나고 밤늦게 자라.” 하였고, 〈小雅 小宛〉에 이르기를 “너의 부모를 욕되게 하지 말라.” 하였다.
溫은 따뜻하게 함이다. 凊은 시원하게 함이다. 《禮記》 〈曲禮 上〉에 이르기를 “사람의 자식이 된 예는 겨울에는 따뜻하게 해 드리고 여름에는 시원하게 해 드리는 것이다.” 하였다.(《釋義》)
역주2 而今而後 吾知免夫 : 朱子는 이 풀이를 “장차 죽음에 이른 뒤에야 이 몸을 훼상할까 하는 근심에서 벗어날 수 있음을 알겠다.”(《論語》 〈泰伯〉 集註)로 하였다.
역주3 冬溫夏凊 : 체온으로 따뜻하게 하고, 부채질로 시원하게 한다.
晉나라 王延은 부모의 안색을 살펴 봉양하여 여름에는 잠잘 자리를 부채질해 드렸고 겨울에는 몸으로 이불을 덥혀 따뜻하게 해 드렸다.(《晉書》 卷88 〈王延傳〉)
역주4 疏節 : 소략한 예절이다.(《漢》)
신습
한자
臨:임할 림 臨迫 臨終 君臨 枉臨 臨機應變 臨時變通
深:깊을 심 深刻 深淵 深奧 深海 水深 淺深 深思熟考
履:밟을 리 履歷 履霜 履行 草履 如履薄氷 瓜田不納履
薄:얇을 박 薄德 薄學 輕薄 薄行 淺薄 稀薄 薄利多賣
夙:일찍 숙 夙昔 夙成 夙夜 夙怨 夙夜夢寐 夙興夜寐
興:일어날 흥 興感 興亡 興味 興盛 復興 酒興 興亡盛衰
溫:따뜻할 온 溫暖 溫帶 溫度 溫泉 氣溫 體溫 溫故知新
凊:서늘할 청 凊凉 凊然 凊新 凊風 溫凊 寒凊 冬溫夏凊
동영상 재생
1 2·11·33 임심리박하… 185

주해천자문 책은 2023.12.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