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註解千字文

주해천자문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주해천자문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4‧4‧93 求古尋하고 (求古◯尋論◑하고 散◑慮◑逍遙◎)
君子閒居 必有事焉하여 求古人之出處本末하여 而尋索討論하니 則身雖退로되 而有補於世敎 大矣
又當散其思慮하여 不以世事其心하고 逍遙而自適也


〈君子는〉 옛것을 구하여 의논을 찾으며, 잡념을 흩어 버리고 逍遙自適한다.
군자가 한가롭게 거처할지라도 반드시 일삼는 것이 있어 옛사람의 벼슬함과 은둔함에 대한 本末을 찾고 토론하니, 몸이 비록 물러났더라도 사회 교화에 도움이 있는 것이 크다.
또 마땅히 그 사려를 흩어 세상일로 마음을 어지럽히지 않고 逍遙하여 悠悠自適하여야 한다.


역주
역주1 : 平仄 兩韻인바, 仄聲으로 보인다. 平聲 韻脚 遙의 出句脚이기 때문에 仄聲이어야 한다. 前後의 出句脚이 모두 仄聲인 점으로 보아 이 論도 측성으로 보인다. 論의 ‘의논하다’라는 동사의 平聲 元韻과 ‘의논’이라는 명사의 去聲 願韻(仄聲)에서, 측성 즉 명사에 의한 풀이로 ‘尋論’을 ‘의논을 찾는다’로 하고자 한다.(해제 참조)
역주2 : 𢿱(흩을 산)과 같다.(《中華字解》)
역주3 求古尋論 散慮逍遙 : 求는 찾는다는 뜻이다. 古는 지난 시대이다. 尋은 곧 찾는다는 뜻이다. 論은 변별하여 논의함이다. 散은 흩뜨린다는 뜻이다. 慮는 생각한다는 뜻이다. 逍遙는 노닐어 쉼이니, 《詩經》 〈小雅 白駒〉에 “여기에서 노닌다.”라 하였다.(《釋義》)
역주4 : 어지럽힌다는 뜻이다.
신습
한자
求:구할 구 求道 求得 求人 渴求 要求 請求 求全之毀
古:옛 고 古今 古物 古風 古稀 上古 中古 古今獨步
尋:찾을 심 尋問 尋訪 追尋 枉尺直尋
論:의논할 론 論文 論罪 論議 公論 討論 評論 論人長短
散:흩을 산 散官 散亂 散漫 散文 閑散 解散 離合集散
慮:생각할 려 慮念 考慮 思慮 念慮 深謀遠慮 千慮一得
逍:거닐 소 逍遙物外 逍遙吟詠 逍遙自娛
遙:거닐 요 遙巒 遙望 遙拜 遙然 遙遠 遙靑 遙矚 迢遙
동영상 재생
1 4·4·93 구고심론하 … 206

주해천자문 책은 2023.12.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