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註解千字文

주해천자문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주해천자문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4‧4‧94 奏累遣하고 (欣奏◑累◯遣◯하고 慼●謝◑歡招◎)
言居閒散慮하면 則欣賞之情自進하고 而冗累之事自退矣
疚慼之思日去하고 而歡樂之趣日來矣


기쁜 정은 나오고 나쁜 일은 물러가며, 슬픔은 사라지고 기쁨이 오게 된다.
한가히 살아 잡념을 흩어버리면 기쁘게 감상하는 정이 저절로 나오고, 잡되게 얽매이는 일이 저절로 물러간다고 말한 것이다.
슬픈 생각이 날마다 떠나가고 기쁜 취미가 날마다 올 것이다.
[節解] 윗 節을 이어서 “편안한 은퇴를 달가워하여 야외 물가에 나아가는 이는 홀로 한산한 곳에 살아서 조용히 침묵하고 텅 비어 사람이 없게 하니 조정이나 시가의 시끌벅적한 곳을 멀리한다. 이에 여가 있는 날에 과거시대의 전적을 살펴 구하고 찾아서 논변하여 그 사려를 흩뜨리고 소요하면서 그 마음을 유유자적하게 하면, 날마다 기쁜 데로 나아가서 무릇 기뻐할 만한 것을 모두 불러서 오게 한다. 근심할 만한 일에 있어서는 하나도 마음에 두지 않아 모두 몰아서 떠나가게 하여 사절하도록 한다. 벼슬을 사절하면 나라를 근심하며 백성을 근심할 충정이 없고 다만 야외 물가를 기뻐할 만한 취미만 있는 것이다.”라고 말한 것이다.(《釋義》)
이 한 節은 또 아래 두 절의 綱領이 된다.(《釋義》)


역주
역주1 : 忻(기쁠 흔)‧訢(기쁠 흔)과 같다.(《註解》)
역주2 : 慽(슬플 척)‧戚(슬플 척)과 같다.(《註解》)
역주3 : 懽(기쁠 환)‧驩(기쁠 환)과 같다.(《註解》)
역주4 欣奏累遣 慼謝歡招 : 欣은 기쁘다는 뜻이다. 奏는 나온다는 뜻이다. 累는 걸어 맨다는 뜻이다. 遣은 몰아서 떠나가게 함이다. 慼은 근심이다. 謝는 끊는다[絶]는 뜻이다. 歡도 기쁘다는 뜻이다. 招는 불러서 오게 함이다.(《釋義》)
신습
한자
欣:기쁠 흔 欣然 欣悅 欣戚 欣快 含欣 欣喜雀躍
奏:아뢸 주/나아올 주/연주할 주 奏曲 奏疏 奏樂 奏請 奏效 獨奏 上奏 吹奏 合奏 二重奏
累:포갤 루/얽매일 루/묶을 루 累加 累計 累年 累積 家累 連累 累卵之危
遣:보낼 견 遣歸 遣憤 遣使 發遣 分遣 先遣 消遣 派遣
慼:슬플 척 愁慼 哀慼 憂慼 衆慼 休慼 鼓盆慼
謝:사양할 사/끊을 사 謝禮 謝意 謝絶 謝罪 感謝 稱謝 新陳代謝
歡:기쁠 환 歡樂 歡送 歡迎 歡呼 極歡 悲歡 哀歡 平生歡
招:부를 초 招待 招來 招聘 自招 徵招 滿招損 招之不來
동영상 재생
1 4·4·94 흔주루견하 … 160

주해천자문 책은 2023.12.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