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周易正義

주역정의(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주역정의(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繫辭云 河出圖하고 洛出書어늘 聖人라하고 又禮緯含文嘉曰 伏犧德合上下하사 天應以鳥獸文章하고 地應以河圖洛書어늘
伏犧則而象之하여 乃作八卦라하니라
孔安國, 馬融, 王肅, 姚信等 竝云 伏犧得河圖而作易이라하니 是則伏羲 雖得河圖 復須仰觀俯察하여 以相參正然後 畫卦
伏犧初畫八卦하니 萬物之象 皆在其中이라
繫辭曰 八卦成列 象在其中矣 是也
雖有萬物之象이나 其萬物變通之理 猶自未備
因其八卦而更重之하니 卦有六爻하여 遂重爲六十四卦也 繫辭曰 因而重之하니 爻在其中矣 是也
然重卦之人 諸儒不同하여 凡有四說이라
王輔嗣等 以爲伏犧畫卦라하고 鄭玄之徒 以爲神農重卦라하고 孫盛 以爲夏禹重卦라하고 史遷等 以爲文王重卦라하니라
其言夏禹及文王重卦者 이니 以此論之하면 不攻自破
其言神農重卦 亦未爲得이니 今以諸文驗之호리라
案說卦云 라하니 凡言作者 創造之謂也
神農以後 便是述修 不可謂之作也 則幽贊用蓍 謂伏犧矣
乾鑿度云 垂者犧라하니라
上繫論用蓍云 四營而成易하고 十有八變而成卦라하니
旣言聖人作易하고 十八變成卦하니 明用蓍在六爻之後 非三畫之時
伏犧用蓍하니 卽伏犧已重卦矣
說卦又云 昔者聖人之作易也 將以順性命之理
是以 立天之道曰陰與陽이요 立地之道曰柔與剛이요 立人之道曰仁與義 兼三才而兩之
六畫而成卦라하니라
旣言聖人作易 兼三才而兩之라하니 又非神農始重卦矣
又上繫云 易有聖人之道四焉하니 以言者尙其辭하고 以動者尙其變하고 以制器者尙其象하고 以卜筮者尙其占이라하니
此之四事 皆在六爻之後
何者
三畫之時 未有彖繇하여 不得有尙其辭 因而重之라야 始有變動하니 三畫 不動하여 不得有尙其變이며
揲蓍布爻라야 方用之卜筮하여 蓍起六爻之後하니 三畫 不得有尙其占이라
自然中間以制器者尙其象 亦非三畫之時
今伏犧結繩而爲罔罟 則是制器 明伏犧已重卦矣
又周禮 라하니 明三皇已有書也
下繫云 上古 結繩而治러니 後世聖人 易之以書契하니 蓋取諸夬라하니 旣象夬卦而造書契하니 伏犧有書契 則有夬卦矣
孔安國書序云 古者伏犧氏之王天下也 始畫八卦하여 造書契하여 以代結繩之政이라하고
又曰 伏犧, 神農, 黃帝之書 謂之三墳 是也
若言重卦起自神農이면 其爲功也 豈比繫辭而已哉
何因易緯等數所歷三聖 但云伏犧, 文王, 孔子하고 竟不及神農
明神農但有蓋取諸益이요 不重卦矣
今依王輔嗣하여 以伏犧旣畫八卦하고 卽自重爲六十四卦 爲得其實이라
其重卦之意 備在說卦하니 此不具敍하노라
伏犧之時 道尙質素하여 畫卦重爻 足以垂法이러니 後代澆訛하여 德不如古하여 爻象不足以爲敎
故作繫辭以明之하니라


제2 중괘重卦를 만든 사람을 논함
계사전繫辭傳〉에 “황하黃河에서 그림이 나오고 낙수洛水에서 글이 나오자 성인聖人이 이것을 본받았다.” 하였고, 또 위서緯書인 《함문가含文嘉》에 이르기를 “복희씨伏羲氏상하上下천지天地에 합하시어, 하늘은 새와 짐승의 문장文章으로 응하고 땅은 하도河圖낙서洛書로 응하였다.
이에 복희씨伏羲氏가 이것을 본받아 형상해서 마침내 팔괘八卦를 지었다.” 하였다.
그러므로 공안국孔安國, 마융馬融, 왕숙王肅, 요신姚信 등이 모두 말하기를 “복희씨伏羲氏하도河圖를 얻어 을 지었다.” 하였으니, 이는 복희씨伏羲氏가 비록 하도河圖를 얻었으나 다시 위로 천문天文을 관찰하고 아래로 지리地理를 살펴서 서로 참고하여 바로잡은 뒤에 를 그은 것이다.
복희씨伏羲氏가 처음 팔괘八卦를 그으니, 만물萬物이 모두 이 가운데 들어 있었다.
그러므로 〈계사전繫辭傳〉에 이르기를 “팔괘八卦을 이루니 이 이 가운데 들어 있다.” 한 것이 이것이다.
비록 만물萬物이 있으나 만물의 변통하는 이치는 아직 여전히 미비하였다.
그러므로 팔괘八卦를 인하여 다시 거듭하였으니, 에 여섯 가 있어서 마침내 거듭하여 64가 된 것으로, 〈계사전繫辭傳〉에 이르기를 “인하여 거듭하니 가 이 가운데 들어 있다.”는 것이 이것이다.
그러나 중괘重卦를 만든 사람은 여러 학자들의 이 똑같지 않아서 모두 네 가지의 이 있다.
왕보사王輔嗣 등은 ‘복희씨伏羲氏중괘重卦를 만들었다.’ 하였고, 정현鄭玄의 무리는 ‘신농씨神農氏중괘重卦를 만들었다.’ 하였고, 손성孫盛은 ‘나라 우왕禹王중괘重卦를 만들었다.’ 하였고, 사마천司馬遷 등은 ‘문왕文王중괘重卦를 만들었다.’ 하였다.
나라 우왕禹王나라 문왕文王중괘重卦를 만들었다고 주장하는 말은, 〈계사전繫辭傳〉을 살펴보건대, 신농神農 때에 이미 64가 있어서 익괘益卦서합괘噬嗑卦에서 취하였으니, 이것을 가지고 논해보면 굳이 공격하지 않아도 그 이 저절로 깨뜨려진다.
그리고 신농씨神農氏중괘重卦를 만들었다는 것도 옳지 못하니, 이제 여러 글을 가지고 징험해보겠다.
살펴보건대, 〈설괘전說卦傳〉에 “옛날 성인聖人을 지을[作] 적에 신명神明를 깊이 밝혀 시초蓍草를 만들어내었다.” 하였으니, 무릇 ‘’이라고 말하는 것은 창작創作을 이른다.
신농씨神農氏 이후는 바로 전술傳述하여 닦은 것으로 ‘’이라고 말할 수 없으니, 그렇다면 ‘신명神明를 깊이 밝혀 시초蓍草를 사용함’은 복희씨伏羲氏를 이른 것이다.
그러므로 《건착도乾鑿度》에 이르기를 “황책皇策을 드리운 자는 복희씨伏羲氏이다.” 한 것이다.
계사상전繫辭上傳〉에 시초蓍草를 사용하는 법을 논하면서 말하기를 “4번 경영하여 을 이루고 18번 변하여 를 이룬다.” 하였다.
이미 성인聖人을 짓고 18번 변하여 를 이루었다고 말하였으니, 시초蓍草를 사용함이 6의 뒤에 있었고 3의 때가 아님을 밝힌 것이다.
그런데 복희씨伏羲氏시초蓍草를 사용하였으니, 그렇다면 복희씨伏羲氏가 이미 중괘重卦를 만든 것이다.
설괘전說卦傳〉에 또 이르기를 “옛날에 성인聖人을 지음은 장차 성명性命의 이치를 순히 하려고 해서였다.
이 때문에 하늘의 를 세우는 것은 이요, 땅의 를 세우는 것은 이요, 사람의 를 세우는 것은 이니, 삼재三才를 겸하여 두 번 하였다.
그러므로 이 여섯 번 그어서 를 이루었다.” 하였다.
이미 ‘성인聖人을 지음에 삼재三才를 겸하여 두 번 하였다.’ 하였으니, 또 신농씨神農氏가 처음 중괘重卦를 만든 것이 아니다.
또 〈계사상전繫辭上傳〉에 이르기를 “성인聖人 네 가지가 있으니, 을 가지고 말하는 자는 그 글을 숭상하고, 을 가지고 하는 자는 그 을 숭상하고, 을 가지고 기물器物을 만드는 자는 그 을 숭상하고, 을 가지고 복서卜筮하는 자는 그 을 숭상한다.” 하였으니,
이 네 가지 일은 모두 육효六爻가 있은 뒤에 있는 것이다.
어째서인가?
세 번 그은 〈팔괘八卦의〉 때에는 단요彖繇(卦辭)가 있지 않아서 그 글을 숭상함이 있을 수 없고, 〈팔괘八卦를〉 인하여 거듭하여야 비로소 변동이 있으니, 삼화三畫에서는 변동하지 않으므로 그 을 숭상함이 있을 수 없다.
시초蓍草를 떼어 여섯 를 펼쳐놓아야 비로소 복서卜筮에 사용할 수 있어서 시초蓍草육효六爻의 뒤에 시작되니, 삼화三畫에서는 그 을 숭상함이 있을 수 없는 것이다.
자연히 중간에 ‘〈을 가지고〉 기물器物을 만드는 자는 그 을 숭상한다.’고 한 것도 삼화三畫의 때가 아니다.
이제 복희씨伏羲氏가 노끈을 묶어 그물을 만들었다면 이것은 기물을 만든 것이니, 복희씨伏羲氏가 이미 중괘重卦를 만들었음을 밝힌 것이다.
또 《주례周禮》에 “외사外史삼황三皇오제五帝의 글을 관장한다.” 하였으니, 삼황三皇 때에 이미 글이 있었음을 밝힌 것이다.
계사하전繫辭下傳〉에 “상고上古에는 노끈을 묶어 다스렸는데 후세에 성인聖人서계書契(文字)로 바꾸었으니, 이는 쾌괘夬卦에서 취한 것이다.” 하였으니, 이미 쾌괘夬卦를 형상하여 서계書契를 만든 것으로, 복희씨伏羲氏서계書契가 있었다면 쾌괘夬卦가 있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공안국孔安國의 《상서전尙書傳서문序文에 이르기를 “옛날 복희씨伏羲氏가 천하에 왕 노릇할 적에 처음으로 팔괘八卦를 긋고 서계書契를 만들어서 노끈으로 묶던 정사政事를 대신했다.” 하였고,
또 이르기를 “복희伏羲, 신농神農, 황제黃帝의 글을 ‘삼분三墳’이라 한다.” 한 것이 이것이다.
팔괘八卦소성小成에는 효상爻象이 미비하고, 삼화三畫을 거듭하여 육획六畫을 만들어야 능사能事가 끝나니, 만약 중괘重卦신농씨神農氏로부터 시작되었다고 말한다면 그 이 어찌 〈문왕文王주공周公의〉 계사繫辭(卦辭와 효사爻辭를 단 것)에 견줄 뿐이겠는가.
그런데 어찌하여 역위易緯 등에서 세 성인聖人을 거친 것을 말할 적에 다만 복희伏羲, 문왕文王, 공자孔子를 말하고 끝내 신농神農을 언급하지 않은 것인가.
이는 신농씨神農氏는 다만 익괘益卦에서 취함이 있을 뿐이요 중괘重卦를 만들지 않았음을 밝힌 것이다.
그러므로 지금 왕보사王輔嗣을 따라 복희씨伏羲氏가 이미 팔괘八卦를 긋고 곧 스스로 거듭하여 64를 만든 것을, 실제를 얻은 것으로 삼는 것이다.
중괘重卦의 뜻은 〈설괘전說卦傳〉에 자세히 나와 있으니, 여기서는 자세히 서술하지 않는다.
복희씨伏羲氏 때에는 가 질박함과 검소함을 숭상하여 를 긋고 를 거듭한 것으로 충분히 후세에 을 남길 수 있었는데, 후대에는 민심이 부박浮薄하고 거짓되어 이 예전만 못해서 효상爻象만으로는 가르침이 될 수 없었다.
그러므로 계사繫辭를 지어서 밝힌 것이다.


역주
역주1 論重卦之人 : 重卦는 三畫卦인 八卦를 중첩하여 만든 六畫卦를 말한다. 아래의 글에서 孔穎達은 伏羲氏가 八卦를 처음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重卦인 64卦 역시 만들었음을 논하였다. 이러한 견해는 程伊川과 朱子도 같다.
역주2 : 칙
역주3 案繫辭……蓋取益與噬嗑 : 〈繫辭傳〉에 “包犧(伏羲)氏가 별세하자, 神農氏가 나와서 나무를 깎아 쟁기를 만들고 나무를 휘어 쟁기자루를 만들어서 쟁기와 호미의 이로움으로 天下를 가르쳤으니 益卦에서 취하였고, 한낮에 시장을 만들어 天下의 백성들을 오게 하고 天下의 財貨를 모아서 交易하고 물러가 각각 제 살 곳을 얻게 하였으니 噬嗑卦에서 취하였다.[包犧氏沒 神農氏作 斲木爲耜 揉木爲耒 耒耨之利 以敎天下 蓋取諸益 日中爲市 致天下之民 聚天下之貨 交易而退 各得其所 蓋取諸噬嗑]” 한 것을 가리킨다.
역주4 昔者聖人之作易也 幽贊於神明而生蓍 : 王弼이 이에 대하여 “幽는 깊음[深]이고, 贊은 밝힘[明]이다.”라고 注를 내었으므로, 이를 따라 번역하였다.
역주5 皇策 : 八卦를 말한 것이다. 《易乾鑿度》에 “皇策(蓍策)을 남긴 것은 伏犧氏이고, 卦의 道로 德을 넓힌 것은 文王이고, 命을 이룬 것은 孔子이다.[垂皇策者犧 卦道演德者文 成命者孔]”라고 하였는데, 伏羲氏가 八卦를 긋고, 文王이 卦辭를 짓고, 孔子가 十翼을 지은 것을 이렇게 표현한 것이다.
역주6 (小史)[外史] : 저본에는 ‘小史’로 되어 있으나, 《周禮》에 의거하여 ‘外史’로 바로잡았다.
역주7 掌三皇五帝之書 : 三皇五帝는 여러 說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三皇은 伏羲‧神農‧黃帝를 이르고, 五帝는 少昊‧顓頊‧帝嚳‧帝堯‧帝舜을 이른다.
역주8 又八卦小成……能事畢矣 : 세 爻로 이루어진 八卦를 小成卦라 하고, 八卦를 거듭하여 여섯 爻로 이루어진 64卦를 大成卦라 한다.

주역정의(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