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周易正義(2)

주역정의(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주역정의(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하니 小利貞하니라
[疏]正義曰:‘遯 亨’者, 遯者, 隱退逃避之名. 陰長之卦, 小人方用, 君子日消.
君子當此之時, 若不隱遯避世, 卽受其害, 須遯而後得通, 故曰“遯亨.”
彖曰 遯亨 遯而亨也
[注]遯之爲義 遯乃通也
[疏]正義曰:‘遯而亨’者, 此釋遯之所以得亨通之義, 小人之道方長, 君子非遯不通, 故曰“遯而亨也.”
剛當位而應이라 與時行也니라
[注]謂五也 剛當位而應하여 非否亢也 遯不否亢하여 能與時行也
[疏]正義曰:擧九五之爻, 釋所以能遯而致亨之由, 良由九五以剛而當其位, 有應於二, 非爲否亢.
遯不否亢, 卽是相時而動, 所以遯而得亨, 故云“剛當位而應, 與時行也.”
小利貞 浸而長也일새라
[注]陰道欲浸而長하여 正道亦未全滅이라 小利貞也
[疏]正義曰:釋小利貞之義, 浸者漸進之名. 若陰德暴進, 卽消正道,
良由二陰漸長, 而正道亦未卽全滅, 故云“小利貞”也.
遯之時義 大矣哉
[疏]正義曰:歎美遯德. 相時度宜, 避世而遯, 自非大人照幾, 不能如此, 其義甚大, 故云“大矣哉.”
象曰 天下有山이니
[注]天下有山 陰長之象이라
[疏]‘象曰天下有山遯’
○正義曰:‘天下有山 遯’者, 山者, 陰類, 進在天下, 卽是山勢欲上逼於天,
天性高遠, 不受於逼, 是遯避之象, 故曰“天下有山, 遯.”
[疏]○注‘天下有山’至‘之象’
○正義曰:爲天, 積陰爲地, 山者, 地之高峻, 今上逼於天, 是陰長之象.
君子以遠小人하여 不惡而嚴하나니라
[疏]正義曰:君子當此遯避之時, 小人進長, 理須遠避, 力不能討, 故不可爲惡, 復不可與之褻瀆, 故曰“不惡而嚴.”
初六 遯尾 勿用有攸往하니라
[注]遯之爲義 辟內而之外者也 尾之爲物 最在體後者也 處遯之時 不往何災리오
而爲遯尾하니 禍所及也 危至而後하니 可免乎 厲則勿用有攸往也
[疏]正義曰:‘遯尾 厲’者, 爲遯之尾, 最在後遯者也. 小人長於內, 應出外以避之,
而最在卦內, 是遯之爲後也. 逃遯之世, 宜速遠而居先, 而爲遯尾, 禍所及也, 故曰“遯尾厲”也.
‘勿用有攸往’者, 危厲旣至, 則當, , 勿用更有所往, 故曰“勿用有攸往.”
象曰 遯尾之厲 不往何災也리오
[疏]正義曰:‘不往何災’者, 象釋當遯之時, 宜須出避, 而勿用有攸往者, 旣爲遯尾, 出必見執, 不如不往, 不往卽无災害.
‘何災’者, 猶言无災也, 與何傷‧何咎之義同也.
六二 執之用黃牛之革하면 莫之勝說이라
[注]居內處中하여 爲遯之主하여 物皆遯己하니 何以固之리오 若能執乎理中厚順之道以固之也 則莫之勝解
[疏]正義曰:‘執之用黃牛之革 莫之勝說’者, 逃遯之世, 避內出外, 二旣處中居內, 卽非遯之人也.
惟有中和厚順之道, 可以固而安之也, 能用此道, 則不能勝己解脫而去也.
黃, 中之色, 以譬中和. 牛性順從, 皮體堅厚, 牛革以譬厚順也.
象曰 執用黃牛 固志也
[疏]正義曰:‘固志’者, 堅固遯者之志, 使不去己也.
九三 係遯이라 有疾하여하니 畜臣妾하리라
[注]在內近二하여 以陽附陰하여 宜遯而繫 曰 繫遯이라하니라
遯之爲義 宜遠小人이어늘 以陽附陰하여 繫於所在하여 不能遠害하니 亦已憊矣 宜其屈辱而危厲也
繫於所在 畜臣妾 可也 施於大事 凶之道也
[疏]正義曰:‘係遯’者, 九三无應於上, 與二相比, 以陽附陰, 係意在二, 處遯之世, 而意有所係, 故曰“係遯.”
‘有疾 厲’者, 遯之爲義, 宜遠小人, 旣係於陰, 卽是有疾憊而致危厲, 故曰“有疾厲”也.
‘畜臣妾吉’者, 親於所近, 係在於下, 施之於人, 畜養臣妾則可矣, 大事則凶, 故曰“畜臣妾吉.”
象曰 係遯之厲 有疾憊也 畜臣妾吉 不可大事也
[疏]正義曰:‘不可大事’者, 釋此係遯之人, 以畜臣妾吉, 明其不可爲大事也.
九四 好遯이니 君子하고 小人하니라
[注]處於外而有應於內하니 君子好遯이라 能舍之 小人繫戀이라 是以 否也
[疏]正義曰:九四處在於外, 而有應於內, 處外卽意欲遠遯, 應內則未能棄捨.
小人有所係戀, 卽不能遯, 故曰“小人否”也.
象曰 君子好遯하고 小人否也니라
[注]音 臧否之否
九五 嘉遯이니 貞吉하니라
[注]遯而得正하여 反制於內하여 小人應命하여 率正其志하니 不惡而嚴하여 得正之吉 遯之嘉也
[疏]正義曰:‘嘉遯 貞吉’者, 嘉, 美也. 五居於外, 得位居中, 是遯而得正. 二爲己應, 不敢違拒, 從五之命, 率正其志,
遯而得正, 反制於內, 不惡而嚴, 得正之吉, 爲遯之美, 故曰“嘉遯貞吉”也.
象曰 嘉遯貞吉 以正志也
上九 肥遯이니 无不利하니라
[注]最處外極하고 无應於內하여 超然絶志하여 心无疑顧하여 憂患不能累하고 矰繳不能及이라 是以 肥遯无不利也
[疏]‘上九肥遯无不利’
○正義曰:子夏傳曰“肥, 饒裕也.” 四五雖在於外, 皆在內有應, 猶有反顧之心,
惟上九最在外極, 无應於內, 心无疑顧, 是遯之最優, 故曰“肥遯.” 遯而得肥, 无所不利, 故云“无不利”也.
[疏]注‘最處外極’至‘无不利也’
○正義曰:矰, 矢名也, 鄭注周禮“結繳於矢, 謂之矰.” 繳, 字林及說文云“繳, 生絲縷也.”
象曰 肥遯无不利 无所疑也니라


遯은 형통하니, 貞함이 조금 이롭다.
正義曰:[遯 亨] ‘遯’은 은둔하고 도피하는 명칭이다. 遯은 陰이 자라나는 卦이니, 小人이 막 등용되고 君子가 날로 사라진다.
君子가 이때를 당하여 만약 은둔하여 세상을 피하지 않으면 바로 그 해로움을 받을 것이요, 모름지기 은둔한 뒤에야 通함을 얻는다. 그러므로 “遯은 형통하다.”라고 한 것이다.
[小利貞] 陰의 道가 처음으로 점점 자라서 正道가 또한 완전히 소멸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貞함이 조금 이롭다.”라고 한 것이다.
〈彖傳〉에 말하였다. “‘遯亨’은 은둔하여 형통한 것이니,
遯의 뜻은 은둔하여야 비로소 通하는 것이다.
正義曰:[遯而亨] 이는 遯卦가 亨通함을 얻는 이유의 의미를 해석한 것이니, 小人의 道가 막 자라서 君子가 은둔함이 아니면 通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은둔하여 형통하다.”라고 한 것이다.
剛이 지위를 담당하고 응하므로 때와 더불어 행하는 것이다.
九五를 이르니, 剛이 지위를 담당하고 應해서 否亢(비색함이 지극함)이 아니니, 은둔함이 否亢이 아니어서 능히 때와 더불어 행하는 것이다.
正義曰:九五의 爻를 들어서 능히 은둔하여 형통하게 되는 이유를 해석하였으니, 이는 진실로 九五가 剛으로서 지위를 담당하고 六二에 應이 있어서 否亢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은둔함에 否亢이 아니면 바로 때를 살펴보아 動하는 것이니, 이 때문에 은둔하여 형통함을 얻는다. 그러므로 “剛이 지위를 담당하고 응하므로 때와 더불어 행한다.”라고 한 것이다.
貞함이 조금 이로움은 〈陰이〉 점점 자라기 때문이다.
陰의 道가 점점 자라고자 하여 正道가 또한 완전히 소멸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貞함이 조금 이로운 것이다.
正義曰:‘貞함이 조금 이로움’의 뜻을 해석하였으니, ‘浸’은 점점 나아감의 명칭이다. 만약 陰의 德이 갑자기 나오면 바로 正道를 소멸할 터인데,
진실로 두 陰이 점점 자라나서 正道가 또한 곧바로 완전히 소멸되지는 않았다. 그러므로 “貞함이 조금 이롭다.”라고 한 것이다.
遯의 때와 義가 크다.”
正義曰:遯卦의 德을 歎美한 것이다. 때를 살펴보고 마땅함을 헤아려서 세상을 피하여 은둔함은 본래 기미를 밝게 아는 大人이 아니면 이처럼 하지 못하니, 그 義가 매우 크다. 그러므로 “크다.”라고 탄미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하늘 아래 산이 있는 것이 遯卦이니,
‘하늘 아래 산이 있음’은 陰이 자라나는 象이다.
經의 [象曰天下有山遯]
○正義曰:[天下有山 遯] 山은 陰의 類인데, 나아가 하늘 아래에 있으니, 이는 山勢가 위로 하늘을 핍박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하늘의 성질이 높고 멀어서 핍박함을 받지 않으니, 이는 은둔하여 피하는 象이다. 그러므로 “하늘 아래 산이 있는 것이 遯이다.”라고 한 것이다.
○注의 [天下有山]에서 [之象]까지
○正義曰:陽이 쌓여 하늘이 되고 陰이 쌓여 땅이 되니, 山은 땅이 높고 큰 것인데, 지금 위로 하늘을 핍박하니, 이는 陰이 자라나는 象이다.
君子가 이것을 보고서 小人을 멀리하여 나쁘게 대하지 않고 엄하게 한다.”
正義曰:君子가 이 은둔하고 피할 때를 당하여 小人이 점점 자라니, 이치상 모름지기 멀리 피해야 하고 힘으로 토벌하지는 못한다. 그러므로 나쁘게 대해서는 안 되고 또 그와 더불어 褻慢해서도 안 된다. 그러므로 “나쁘게 대하지 않고 엄하게 한다.”라고 한 것이다.
初六은 은둔함의 꼬리라서 위태로우니, 가는 바를 쓰지 말아야 한다.
遯의 뜻은 안을 피하고 밖으로 가는 것이요, 尾란 물건은 몸의 가장 뒤에 있는 것이니, 은둔할 때에 처하여 가지 않으면 어찌 재앙이 있겠는가.
遯卦의 꼬리가 되었으니 禍가 미치는 것이다. 위태로움이 이른 뒤에 가니, 難을 면할 수 있겠는가. 위태로우면 가는 바를 쓰지 말아야 하는 것이다.
正義曰:[遯尾 厲] 遯卦의 꼬리가 되었으니, 가장 뒤에 있으면서 은둔하는 자이다. 小人이 안에서 자라나니 응당 밖으로 나가서 피해야 할 터인데,
初六이 卦의 가장 안에 있으니, 이는 은둔하기를 뒤늦게 하는 것이다. 은둔하고 피하는 세상에는 마땅히 속히 멀리 떠나가서 앞에 있어야 하는데, 은둔의 꼬리가 되었으니 禍가 미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은둔함의 꼬리라서 위태롭다.”라고 한 것이다.
[勿用有攸往] 위태로움이 이미 이르면 마땅히 곤궁함을 굳게 지키며 행실을 높게 하고 말을 공손히 하여 다시 가는 바를 써서는 안 된다. 그러므로 “가는 바를 쓰지 말아야 한다.”라고 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은둔함의 꼬리의 위태로움’이란 가지 않으면 무슨 재앙이 있겠느냐는 말이다.”
正義曰:[不往何災] ‘은둔할 때를 당하여 마땅히 모름지기 나가 피해야 하나, 가는 바를 쓰지 말아야 하는 것은 이미 遯卦의 꼬리가 되어서 나가면 반드시 붙잡혀 안 가는 것만 못하니, 가지 않으면 바로 災害가 없기 때문임’을 〈象傳〉에서 해석한 것이다.
[何災] 재앙이 없다는 말과 같으니, 何傷‧何咎의 뜻과 같다.
六二는 황소의 가죽으로 잡으면 〈자기를〉 이겨 풀지 못할 것이다.
안에 거하고 中에 처하여 遯卦의 주체가 되어서 남들이 모두 자기를 피하니, 무엇으로 견고히 묶어두겠는가? 만약 理中(이치의 알맞음)과 厚順의 道를 지켜서 견고히 묶어둔다면 〈자기를〉 이겨 풀지 못할 것이다.
正義曰:[執之用黃牛之革 莫之勝說] 도망하고 은둔하는 세상에서는 안을 피하고 밖으로 나가야 하는데 六二가 이미 中에 처하고 안에 거하였으니, 은둔하는 사람이 아니다.
이미 은둔하는 사람이 아닌데 곧 은둔하는 바의 주체가 되어서 남들이 모두 자기를 버리고 도망하니, 무엇으로 잡아 견고히 머물게 하겠는가?
오직 中和와 厚順의 道가 있으면 견고히 하여 편안할 수 있으니, 능히 이 道를 사용하면 자기를 이겨 풀고서 가지 못할 것이다.
‘黃’은 중앙의 色이니, 中和를 비유한 것이다. 소의 성질은 순종하며, 가죽의 體는 견고하고 두터우니, ‘소가죽’은 후함과 순함을 비유한 것이다.
六二가 中에 거하고 正位를 얻었으니, 또한 능히 中和와 厚順의 道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황소의 가죽으로 잡으면 〈자기를〉 이겨 풀지 못할 것이다.”라고 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황소가죽으로 잡음’은 뜻을 견고히 하는 것이다.”
正義曰:[固志] 은둔하는 자의 뜻을 견고히 하여 자기를 떠나지 않게 하는 것이다.
九三은 매여 있는 은둔이다. 병이 있어서 위태로우니, 臣妾을 기름은 吉하리라.
안에 있고 六二와 가까워서 陽으로서 陰에 붙어 마땅히 은둔해야 하는데 매여 있다. 그러므로 “매여 있는 은둔”이라고 한 것이다.
遯卦의 뜻은 마땅히 小人을 멀리해야 하는데, 陽으로서 陰에 붙어서 있는 바에 매여 있어 해로움을 멀리 피하지 못하니, 또한 이미 병들어 피로한바, 굴욕을 받고 위태로운 것이 마땅하다.
있는 바에 매여 있음은, 臣妾을 기르는 것은 괜찮고 大事에 베풂은 凶한 道이다.
正義曰:[係遯] 九三이 위에 應이 없고 六二와 더불어 서로 가까워서 陽으로서 陰에 붙어서 매여 있는 뜻이 六二에 있으니, 遯의 세상에 처하여 마음에 매여 있는 바가 있다. 그러므로 “매여 있는 은둔”이라고 한 것이다.
[有疾 厲] 遯의 뜻은 마땅히 小人을 멀리해야 하는데, 이미 陰에 매여 있으면 바로 병이 있어 피로해서 위태로움을 이룬 것이다. 그러므로 “병이 있어서 위태롭다.”라고 한 것이다.
[畜臣妾吉] 가까운 바에 친하여 매여 있음이 아래에 있으니, 이것을 사람에게 베풀면 臣妾을 기르는 것은 可하고 大事는 凶하다. 그러므로 “臣妾을 기름은 吉하다.”라고 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매여 있는 은둔의 위태로움’은 병이 있어 피로한 것이요, ‘臣妾을 기름은 吉함’은 大事를 할 수 없는 것이다.”
正義曰:[不可大事] 이 매여 있는 은둔의 사람이 臣妾을 기름은 길함을 해석한 것이니, 大事를 해서는 안 됨을 밝힌 것이다.
九四는 은둔하기를 좋아함이니, 君子는 吉하고 小人은 그렇지 못하다.
밖에 처하면서 안에 應이 있으니, 君子는 은둔하기를 좋아하므로 능히 버릴 수 있는 것이요, 小人은 매여 있어 연연하니 이 때문에 그렇지 못한 것이다.
正義曰:九四가 처함이 밖에 있으면서 안에 應이 있으니, 밖에 처하면 마음이 멀리 은둔하고자 하고, 안에 應이 있으면 버려두지 못한다.
은둔하기를 좋아하는 君子로 말하면 超然히 돌아보지 않으니, 이 때문에 吉함을 얻는 것이요, 小人은 매여 있고 연연하는 바가 있으면 은둔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小人은 그렇지 못하다.”라고 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君子는 은둔함을 좋아하고 小人은 그렇지 못하다.”
〈否는〉 音이 臧否의 否이다.
正義曰:〈否를〉 ‘圮’로 읽을까 혐의하였다. 그러므로 音을 단 것이다.
九五는 아름다운 은둔이니, 貞하여 吉하다.
은둔하여 바름을 얻어서 도리어 안을 제재해서 小人이 命을 따라 그 뜻을 바로잡으니, 나쁘게 대하지 않고 엄하게 하여 바름의 길함을 얻음은 은둔의 아름다운 것이다.
正義曰:[嘉遯 貞吉] ‘嘉’는 아름다움이다. 九五가 밖에 거하여 正位를 얻고 中에 있으니, 이는 은둔하면서 바름을 얻은 것이다. 六二가 자기의 應이 되어서 감히 자기를 어기고 거역하지 못하고 九五의 命을 따라서 그 뜻을 바르게 하니,
은둔하여 바름을 얻어서 도리어 안을 제재하되 나쁘게 대하지 않으면서 엄하게 하여 바름의 길함을 얻음은 은둔의 아름다움이 된다. 그러므로 “아름다운 은둔이니, 貞하여 吉하다.”라고 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아름다운 은둔이니 貞하여 길함’은 뜻을 바르게 하는 것이다.”
正義曰:[以正志] 小人이 命에 應하여 감히 간사한 짓을 하지 못하니, 이는 九五가 능히 六二의 뜻을 바르게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은둔함의 아름다움을 이루는 것이다.
上九는 여유로운 은둔이니, 이롭지 않음이 없다.
가장 밖의 極에 처하였고 안에 應이 없어서 超然히 생각을 끊어 마음에 의심함과 돌아봄이 없어서 憂患이 마음을 얽어매지 못하고 生絲를 묶은 화살이 미치지 못한다. 이 때문에 여유로운 은둔이니 이롭지 않음이 없는 것이다.
經의 [上九肥遯无不利]
○正義曰:≪子夏易傳≫에 이르기를 “肥는 여유로움이다.”라고 하였다. 九四와 九五가 비록 밖에 있으나 모두 안에 應이 있어서 오히려 되돌아보는 마음이 있는데,
오직 上九는 가장 밖의 極에 있고 안에 應이 없어서 마음에 의심함과 돌아봄이 없으니, 이는 은둔함에 가장 여유로운 것이다. 그러므로 “여유로운 은둔”이라 한 것이다. 은둔하여 여유로움을 얻으면 이롭지 않은 바가 없다. 그러므로 “이롭지 않음이 없다.”라고 한 것이다.
注의 [最處外極]에서 [无不利也]까지
○正義曰:矰은 화살의 이름이니, 鄭玄이≪周禮≫에 注하기를 “생사[繳]를 화살에 묶어놓은 것을 ‘矰’이라 한다.”라고 하였다. 繳은 ≪字林≫과 ≪說文解字≫에 “생사로 만든 실이다.”라 하였다.
〈象傳〉에 말하였다. “‘여유로운 은둔이니 이롭지 않음이 없음’은 의심하는 바가 없는 것이다.”


역주
역주1 小利貞者……故曰小利貞 : ‘小利貞’을 王弼과 孔穎達은 ‘陰이 이제 막 서서히 자라나서 正道가 완전히 소멸되지는 않았기 때문에 貞함이 조금 이로운 것’으로 해석하였다.
程伊川은 ‘小利貞’을 ‘利小貞’으로 보아 “陰柔가 막 자라나나 아직 매우 성함에는 이르지 않아서 군자가 오히려 머물러 힘을 다할 방도가 있으니, 크게 바로잡을 수는 없으나 오히려 조금 바로잡음이 이롭다.[陰柔方長而未至於甚盛 君子尙有遲遲致力之道 不可大貞而尙利小貞也]”라고 하였다.
朱子는 ‘亨’과 ‘利貞’을 각각 군자와 소인에 해당하는 占으로 보아, “두 陰이 아래에서 점점 자라나면 그 형세가 물러가지 않을 수 없으므로 그 占이 군자가 능히 은둔하면 몸은 비록 물러가나 道는 형통하고, 소인은 正道를 지킴이 이로움이 되니, 점점 자라난다고 하여 마침내 陽을 침해하고 핍박해서는 안 된다. 小는 陰柔의 小人이다.[二陰浸長於下 則其勢不可以不遯 故其占爲君子能遯則身雖退而道亨 小人則利於守正 不可以浸長之故而遂侵迫於陽也 小 謂陰柔小人也]”라고 하였는바, ‘小利貞’을 ‘소인은 正道를 지킴이 이로움’으로 해석한 것이다.
이에 대하여 沙溪 金長生은 “小자의 뜻은 程子와 朱子가 다른데, ≪程傳≫이 옳은 듯하다.[小字之義 程朱不同 傳似好]”라고 하였다.≪沙溪全書 經書辨疑 권15 周易≫
역주2 (精陽)[積陽] : 저본에는 ‘精陽’으로 되어 있으나, 바로 뒤에 ‘積陰’이란 말이 있으므로 이에 의거하여 ‘積陽’으로 바로잡았다. 北京大本에는 별다른 교감주 없이 ‘積陽’으로 되어 있다.
역주3 (未) : 저본에는 ‘未’가 있으나, 阮刻本 〈校勘記〉에 “未자는 衍字임이 마땅하니, 正義의 ‘是遯之爲後也’로 징험할 수 있다.”라고 한 것에 의거하여 衍文으로 처리하였다.
역주4 (雖)[難] : 저본에는 ‘雖’로 되어 있으나, 監本‧毛本에 의거하여 ‘難’으로 바로잡았다.[阮刻本 참조]
역주5 固窮 : 빈궁함을 편안히 여기고 道義를 지킴을 말한다. 孔子가 陳나라에 있을 때 양식이 떨어져 從者들이 병들어 일어나지 못하자, 子路가 성난 얼굴로 孔子를 뵙고는 “君子도 곤궁할 때가 있습니까?[君子亦有窮乎]”라고 묻었는데, 孔子가 “君子는 진실로 곤궁한 것이니, 소인은 곤궁하면 넘친다.[君子 固窮 小人 窮斯濫矣]”라고 답한 데에서 온 말이다. ≪論語 衛靈公≫ 何晏의 古注에 “군자는 진실로 또한 곤궁할 때가 있다.[君子固亦有窮時]”라고 하여 ‘固窮’의 ‘固’를 ‘진실로’의 뜻으로 해석하였으나, 여기에서는 ‘當固窮’이라 하였으므로 ‘固’를 ‘지키다’의 뜻으로 해석하였다.
역주6 危行言遜 : ≪論語≫ 〈憲問〉에 “나라에 道가 있을 때에는 말을 높게 하고 행실을 높게 하며, 나라에 道가 없을 때에는 행실은 높게 하되 말은 공손하게 해야 한다.[邦有道 危言危行 邦無道 危行言孫]”라고 보인다.
역주7 執之用黃牛之革……何以執固留之 : 王弼과 孔穎達은 六二가 中에 처하고 안에 거하여 은둔하는 자가 아니므로 남들이 모두 六二를 버리고 간다고 하였으며, 이 때문에 六二는 이들을 묶어두기 위해 中和와 厚順함을 써야 한다고 하였다. 이 해석에서 ‘執之用黃牛之革’에 붙는 吐는 ‘하면’이 된다.
반면 程伊川과 朱子는 六二의 中正함에 주목하여, ‘執之用黃牛之革’을 程伊川은 中正의 六二가 中正의 九五와 견고히 사귀는 것을 비유한 말로 보았고, 朱子는 六二가 中正함으로 자신을 견고히 지킴으로 보았다. 程伊川과 朱子의 해석에서 ‘執之用黃牛之革’에 붙는 吐는 ‘하니’이다.
역주8 六二居中得位……莫之勝說也 : 王弼과 孔穎達은 ‘莫之勝說’의 ‘說’을 脫로 보아, 經文을 ‘六二가 中和와 厚順함으로 남들을 묶어두면 그들이 풀고서 가지 못할 것이다.’의 의미로 보았다.
朱子 역시 ‘說’을 脫로 보았으나, 황소 가죽으로 잡음을 六二가 스스로 자신을 지키는 것으로 보고, ‘莫之勝說’을 남들이 六二가 스스로를 지켜 은둔함을 그만두게 하지 못함으로 해석하여, 經文의 해석에 있어서는 王弼‧孔穎達과 다르다.
程伊川은 황소 가죽으로 잡는 것을 六二와 九五가 견고히 서로 함께함을 비유한 것으로 보고, ‘莫之勝說’의 ‘說’을 ‘말하다’로 보았는바, ≪程傳≫은 다음과 같다. “六二는 九五와 正應이 되니, 비록 서로 떠나 은둔하는 때에 있으나 六二가 中正으로 九五에 순히 응하고 九五가 中正으로 六二에 친히 합하여 그 사귐이 저절로 견고하다. 黃은 중앙의 색이요 소는 순한 물건이요 가죽은 견고한 물건이다. 六二와 九五가 中正하고 순한 도리로 서로 함께하니, 그 견고함이 마치 소가죽으로 잡아맨 것과 같다. ‘莫之勝說’은 그 사귐이 견고하여 이루 말할 수 없음을 이른 것이다. 遯의 때에 있기 때문에 極言한 것이다.[二與五爲正應 雖在相違遯之時 二以中正 順應於五 五以中正 親合於二 其交自固 黃 中色 牛 順物 革 堅固之物 二五以中正順道 相與 其固如執係之以牛革也 莫之勝說 謂其交之固 不可勝言也 在遯之時 故極言之]”
역주9 若好遯君子……所以得吉 : ‘好遯’을 王弼과 孔穎達은 ‘은둔하기를 좋아함’으로 풀었으나, 程伊川과 朱子는 ‘좋아하면서도 은둔함’으로 풀었는바, 九四가 初六을 좋아하면서도 거기에 끌려가지 않고 은둔한다는 의미로 해석한 것이다.
역주10 嫌讀爲圮(비) 故音之也 : 否의 음은 ‘부’와 ‘비’ 두 가지가 있는데, 이 중에서 ‘부’로 읽어야 함을 밝힌 것이다. 可否의 否(부)로 읽으면 經文의 ‘小人否’는 “소인은 그렇지 못하다.”로 해석하게 된다.
朱子의 ≪本義≫에도 “方有切(부)”로 표기되어 있는바, 朱子 역시 ‘小人否’를 “소인은 그렇지 못하다.”로 해석한 것으로, ≪本義≫에 이 經文을 해석하기를 “아래로 初六과 응하나 乾의 體로 剛健하니, 좋아하는 바가 있으면서도 능히 끊고서 은둔하는 象이다. 오직 스스로 이기는 君子만이 이에 능하고 小人은 능하지 못하다.[下應初六而乾體剛健 有所好而能絶之以遯之象也 惟自克之君子能之 而小人不能]”라고 하였다.
반면 程伊川의 ≪程傳≫에는 “음이 鄙(비)”로 표기되어 있는데, 否(비)는 비색함 혹은 不善의 의미이다. 程伊川은 ‘小人否’를 “소인은 나쁘다.”로 해석하여 “소인은 義로써 대처하지 못하여 좋아하는 바에 빠지고 사사로운 바에 끌려서 그 몸을 빠뜨리고 욕되게 함에 이르러도 그치지 않는다. 그러므로 小人에 있어서는 나쁜 것이니, 否는 不善이다.[小人則不能以義處 暱於所好 牽於所私 至於陷辱其身而不能已 故在小人則否也 否 不善也]”라고 하였다.
王弼은 否가 ‘臧否(장부)의 否’라고 하였는데, 후세에는 臧否의 否도 ‘비’로 읽음을 밝혀둔다.
역주11 以正志者……故成遯之美也 : ‘以正志也’를 王弼과 孔穎達은 ‘九五가 六二를 제재함으로써 六二가 뜻을 바르게 함’의 뜻으로 보았다.
반면 程伊川은 六二가 본래 中正하고 順하다고 보았기 때문에 ‘以正志也’를 九五가 자신의 뜻을 바르게 함으로 해석하여, “뜻이 바르면 동함에 반드시 바름을 따를 것이니, 이 때문에 은둔의 아름다움이 되는 것이다. 中에 거하고 正을 얻었고 中正에 응한다면 이는 그 뜻이 바른 것이니, 이 때문에 吉하다. 사람이 은둔하고 그침은 오직 그 뜻을 바르게 함에 있을 뿐이다.[志正則動必由正 所以爲遯之嘉也 居中得正而應中正 是其志正也 所以爲吉 人之遯也止也 唯在正其志而已矣]”라고 하였다.

주역정의(2) 책은 2019.10.15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