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周易正義(2)

주역정의(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주역정의(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无妄 元亨하고 利貞하니 其匪正이면 有眚하여 不利有攸往하니라
[疏]正義曰:‘无妄’者, 以剛爲內主, 動而能健, 以此臨下, 物皆无敢詐僞虛妄, 俱行實理,
所以大得亨通, 利於貞正, 故曰“元亨利貞”也.
‘其匪正 有眚 不利有攸往’者, 物旣无妄, 當以正道行之, 若其匪依正道, 則有眚災, 不利有所往也.
彖曰 无妄 剛自外來而爲主於內하여
[注]謂震也
動而健하며
[注]震動而乾健也
[疏]正義曰:以此卦象, 釋能致无妄之義. 震動而乾健, 故能使物无妄也.
剛中而應하니
[注]謂五也
[疏]正義曰:明爻義能致无妄. 九五以剛處中, 六二應之, 是剛中而應. 剛中則能制斷虛實, 有應則物所順從, 不敢虛妄也.
大亨以正 天之命也
[注]剛自外來하여 而爲主於內하여 動而愈健하고 剛中而應하여 威剛方正하여 私欲不行하니 何可以妄이리오
使有妄之道滅하고 无妄之道成하니 非大亨利貞而何 剛自外來而爲主於內하면 則柔邪之道消矣
動而愈健하면 則剛直之道通矣 剛中而應하면 則齊明之德著矣 大亨以正也
天之敎命 何可犯乎 何可妄乎 是以 匪正則有眚하여 而不利有攸往也
[疏]‘大亨以正天之命也’
○正義曰:釋元亨利貞之義. 威剛方正, 私欲不行, 何可以妄. 此天之敎命也.
天道純陽, 剛而能健, 是乾德相似, 故云“天之命也.” 旣是天命, 豈可犯乎.
[疏]○注‘剛自外來’至‘不利有攸往也’
○正義曰:云‘使有妄之道滅 无妄之道成’者, 妄, 謂虛妄矯詐, 不循正理.
若无剛中之主, 柔弱邪僻, 則物皆詐妄, 是有妄之道興也,
今遇剛中之主, 威嚴剛正, 在下畏威, 不敢詐妄, 是有妄之道滅, 无妄之道成.
其匪正하면 有眚하여 不利有攸往하니 无妄之往 何之矣리오 天命不祐 行矣哉
[注]匪正하면 有眚이어늘 不求改以從正하고 而欲有所往하니
居不可以妄之時하여 而欲以不正有所往이면 將欲何之리오 天命之所不祐 竟矣哉
[疏]‘其匪正有眚’至‘天命不祐行矣哉’
○正義曰:‘其匪正 有眚 不利有攸往 无妄之往 何之矣’者, 此釋匪正有眚不利有攸往之義也.
无妄之往, 何之矣, 上之是語辭, 下之是適也. 身旣非正, 在无妄之世, 欲有所往, 何所之適矣, 故云“无妄之往, 何之矣.”
‘天命不祐 行矣哉’者, 身旣非正, 欲有所往, 犯違天命, 則天命不祐助也, 必竟行矣哉, 言終竟行此不祐之事也.
[疏]○注‘匪正有眚’至‘不祐竟矣哉’
○正義曰:‘竟矣哉’者, 竟謂終竟, 言天所不祐, 終竟行矣哉.
象曰 天下雷行 物與无妄이라
[注]與 辭也 猶皆也 天下雷行하면 物皆不可以妄也
[疏]正義曰:‘天下雷行’者, 雷是威恐之聲, 今天下雷行, 震動萬物, 物皆驚肅, 无敢虛妄,
先王以茂對時하여 育萬物하니라
[注]茂 盛也 物皆不敢妄然後 萬物乃得各全其性하니 對時育物 莫盛於斯也
此唯王者, 其德乃, 非諸侯已下所能, 故不云君子而言先王也.
案諸卦之象, 直言兩象, 卽以卦名結之, 若“雷在地中, 復.”
今无妄應云“天下雷行, 无妄”, 今云“物與无妄”者, 欲見萬物皆无妄, 故加物與二字也.
其餘諸卦, 未必萬物皆與卦名同義, 故直顯象以卦結之. 至如復卦, 唯陽氣復, 非是萬物皆復, 擧復一卦, 餘可知矣.
初九 无妄往하면하리라
[注]體剛處下하여 以貴下賤하고 行不犯妄이라 往得其志
[疏]正義曰:體剛居下, 以貴下賤, 所行敎化, 不爲妄動, 故往吉而得志也.
象曰 无妄之往 得志也
六二 不耕하고하며 不菑하고하니 則利有攸往하니라
[注]不耕而穫하고 不菑而畬하니 代終已成하여 而不造也 不擅其美하고 乃盡臣道 利有攸往이라
[疏]‘象曰’至‘利有攸往’
○正義曰:‘不耕穫 不菑畬’者, 六二處中得位, 盡於臣道, 不敢創首, 唯守其終,
猶若田農不敢發首而耕, 唯在後穫刈而已, 不敢發新田, 唯治其菑熟之地.
‘則利有攸往’者, 爲臣如此, 則利有攸往, 若不如此, 則往而无利也.
象曰 不耕穫 未富也
[疏]正義曰:釋不耕而穫之義. 不敢前耕, 但守後穫者,
未敢以耕之與穫, 俱爲己事, 唯爲後穫, .”
六三 无妄之災 或繫之牛하니 行人之得이요 邑人之災
[注]以陰居陽하여 行違謙順하니 是无妄之所以爲災也 牛者 稼穡之資也
二以不耕而穫으로 利有攸往이어늘 而三爲不順之行이라
或繫之牛 是有司之所以爲獲이요 彼人之所以爲災也 曰 行人之得이요 邑人之災也라하니라
[疏]‘六三’至‘人之災’
○正義曰:无妄之世, 邪道不行, 六陰居陽位, 失其正道, 行違謙順, 而乖臣範, 故无妄之所以爲災矣.
‘牛’者, 稼穡之資. 六三僭爲耕事, 行唱始之道, 而爲不順王事之行, 故有司或繫其牛, 制之使不妄造, 故曰“或繫之牛”也.
‘行人’者, 有司之義也. 有司繫得其牛, 是行人制之得功, 故曰“行人之得.”
象曰 行人得牛 邑人災也
[疏]正義曰:釋行人之得義也, 以行人所得, 謂得牛也. 此則得牛, 彼則爲災, 故云邑人災也.
九四 可貞이니 无咎리라
[注]處无妄之時하여 以陽居陰하고 以剛乘柔하여 履於謙順하여 比近至尊이라 可以任正이니 固有所守而无咎也
[疏]正義曰:以陽居陰, 以剛乘柔, 履於謙順, 上近至尊, 可以任正, 固有所守而无咎, 故曰“可貞, 无咎”也.
象曰 可貞无咎 固有之也
[疏]正義曰:釋可貞无咎之義, 所以可執貞正, 言堅固有所執守, 故曰“无咎”也.
九五 无妄之疾이니 勿藥이면 有喜리라
[注]居得尊位하니 爲无妄之主者也 下皆无妄하여 害非所致어늘 而取藥焉 疾之甚也
非妄之災 勿治自復이니 非妄而藥之하면 則凶이라 曰 勿藥이면 有喜라하니라
[疏]正義曰:‘无妄之疾’者, 凡禍疾所起, 由有妄而來,
今九五居得尊位, 爲无妄之主, 下皆无妄, 而偶然有此疾害, 故云“无妄之疾”也.
‘勿藥 有喜’者, 若疾自己招, 或寒暑飮食所致, 當須治療, 若其自然之疾, 非己所致, 疾當自損, 勿須藥療而有喜也.
此假病象, 以喻人事, 猶若人主而剛正自修, 身无虛妄, 下亦无虛妄, 而遇逢凶禍.
, 災非己招, 但順時修德, 勿須治理, 必欲除去, 不勞煩天下, 是有喜也.
然堯遭洪水, 使鯀禹治之者, 雖知災未可息, 必須順民之心.
鯀之不成, 以災未息也, 禹能治救, 災欲盡也, 是亦自然之災, 勿藥有喜之義也.
象曰 无妄之藥 不可試也
[注]藥 攻有妄者也어늘 而反攻无妄이라 不可試也
[疏]正義曰:解勿藥有喜之義. 若有妄致疾, 其藥可用, 若身旣无妄, 自然致疾, 其藥不可試也, 若其試之, 恐更益疾也.
言非妄有災, 不可治也, 若必欲治之, 則勞煩於下, 害更甚也. 此非直施於人主, 至於凡人之事, 亦皆然也.
若己之无罪, 忽逢禍患, 此乃自然之理, 不須憂勞救護, 亦恐反傷其性.
上九 无妄行하면 有眚하여 无攸利하니라
[注]處不可妄之極하여 唯宜靜保其身而已 不可以行也
[疏]正義曰:處不可妄之極, 唯宜靜保其身, 若動行, 必有災眚, 无所利也.
位處窮極, 動則致災, 故象云“无妄之行, 窮之災也.”
象曰 无妄之行 窮之災也


无妄은 크게 형통하고 貞함이 이로우니, 바르지 않으면 재앙이 있어서 가는 바를 둠이 이롭지 않다.
正義曰:[无妄] 剛으로 안의 주체가 되어 동하고 능히 굳세니, 이로써 아래에 임하면 물건이 모두 감히 詐僞하고 허망한 짓을 하지 못하여 모두 진실한 이치를 행한다.
이 때문에 크게 형통함을 얻고 貞正함이 이로운 것이다. 그러므로 “크게 형통하고 貞함이 이롭다.”라고 말한 것이다.
[其匪正 有眚 不利有攸往] 물건이 이미 망령됨이 없으면 마땅히 正道로써 행해야 하니, 만약 正道를 따르지 않으면 재앙이 있어서 가는 바를 둠이 이롭지 않은 것이다.
〈彖傳〉에 말하였다. “无妄은 剛이 밖에서 와서 안의 주체가 되어
震을 말한 것이다.
동하고 굳세며
震은 동하고 乾은 굳세다.
正義曰:이 卦象을 가지고 능히 无妄을 이룬 뜻을 해석하였다. 震의 剛이 밖으로부터 와서 안의 주체가 되어 震이 동하고 乾이 굳세다. 그러므로 능히 물건으로 하여금 망령됨이 없게 하는 것이다.
剛이 中에 있고 응하니,
九五를 이른 것이다.
正義曰:爻의 뜻이 능히 无妄을 이룸을 밝혔다. 九五가 剛으로서 中에 처하고 六二가 여기에 응하니, 이것이 ‘剛이 中에 있고 응함’이다. 剛이 中에 있으면 능히 虛實을 제재하여 斷定하고, 應이 있으면 물건이 순히 따라서 감히 허망함을 하지 못한다.
크게 형통하고 바름은 하늘의 命이다.
剛이 밖에서 와서 안의 주체가 되어 동하되 더욱 굳세며 剛이 中에 있고 응하여 위엄이 있고 剛하고 方正해서 私欲이 행해지지 않으니, 어찌 망령될 수 있겠는가.
有妄의 道가 소멸하게 하고 无妄의 道가 이뤄지게 하니, 크게 형통하고 貞함이 이로운 것이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剛이 밖에서 와서 안의 주체가 되면 유약하고 간사한 道가 소멸하고,
동하되 더욱 굳세면 剛直한 道가 통하고, 剛이 中에 있고 응하면 깨끗하고 밝은 德이 드러난다. 그러므로 크게 형통하고 바른 것이다.
하늘의 가르침과 명령을 어찌 범할 수 있으며 어찌 망령되게 할 수 있겠는가. 이 때문에 바르지 않으면 재앙이 있어서 가는 바를 둠이 이롭지 않은 것이다.
經의 [大亨以正天之命也]
○正義曰:‘元亨利貞’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위엄이 있고 剛하고 方正하여 私欲이 행해지지 않으니, 어찌 망령될 수 있겠는가. 이는 하늘의 가르침과 명령이다.
天道가 純陽인데 剛하고 능히 굳세니, 이는 乾의 德과 서로 유사하다. 그러므로 “하늘의 命이다.”라고 말하였으니, 이미 하늘의 命이면 어찌 범할 수 있겠는가.
○注의 [剛自外來]에서 [不利有攸往也]까지
○正義曰:[使有妄之道滅 无妄之道成] ‘妄’은 허망하고 속여서 正理를 따르지 않음을 이른다.
만약 剛中의 주체가 없어서 유약하고 邪辟하면 물건이 다 속이고 망령되니, 이는 有妄의 道가 일어나는 것인데,
지금 剛中의 주체를 만나 위엄이 있고 剛하고 方正하여 아래에 있는 자들이 위엄을 두려워해서 감히 속이고 망령되지 않으니, 이는 有妄의 道가 소멸하고 无妄의 道가 이루어진 것이다.
바르지 않으면 재앙이 있어서 가는 바를 둠이 이롭지 않으니, 无妄의 감이 어디로 가겠는가. 天命이 돕지 않는 일을 행한단 말인가.”
바르지 않으면 재앙이 있는데, 고쳐서 바름을 따를 것을 구하지 않고 가는 바를 두고자 하니,
망령되어서는 안 되는 때에 거하여 不正함으로써 가는 바를 두고자 하면 장차 어디로 가고자 하겠는가. 天命이 돕지 않는 바를 끝내 행한단 말인가.
經의 [其匪正有眚]에서 [天命不祐行矣哉]까지
○正義曰:[其匪正 有眚 不利有攸往 无妄之往 何之矣] 이는 ‘바르지 않으면 재앙이 있어서 가는 바를 둠이 이롭지 않음’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无妄之往 何之矣’에서 앞의 之는 어조사이고 뒤의 之는 감이다. 몸이 이미 바르지 않은데 无妄의 세상에 있으면서 가는 바를 두고자 하면 어느 곳으로 가겠는가. 그러므로 “无妄의 감이 어디로 가겠는가.”라고 말한 것이다.
[天命不祐 行矣哉] 몸이 이미 바르지 않은데 가는 바를 두고자 하여 天命을 범하고 어기면 天命이 도와주지 않으니, 끝내 갈 수 있겠는가. 끝내 이 하늘이 돕지 않는 일을 행한다는 말이다.
○注의 [匪正有眚]에서 [不祐竟矣哉]까지
○正義曰:[竟矣哉] ‘竟’은 終竟을 이르니, ‘하늘이 돕지 않는 바를 끝내 행한단 말인가.’라고 말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하늘 아래 우레가 다님에 물건마다 모두 망령됨이 없다.
‘與’는 어조사이니 ‘皆’와 같다. 하늘 아래 우레가 다니면 물건이 다 망령될 수가 없는 것이다.
正義曰:[天下雷行] 우레는 위엄이 있고 두려운 소리이다. 지금 하늘 아래 우레가 다녀서 만물을 진동하니, 물건들이 다 놀라고 두려워하여 감히 허망한 짓을 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하늘 아래 우레가 다님에 물건이 모두 망령됨이 없다.”고 말한 것이다.
先王이 无妄의 성대한 일을 가지고 无妄의 때를 당하여 만물을 기른다.”
‘茂’는 성함이다. 물건이 모두 감히 망령되지 못한 뒤에야 만물이 비로소 각각 그 性을 온전히 하니, 无妄의 때를 당하여 물건을 기름이 이보다 더 성함이 없는 것이다.
正義曰:‘茂’는 성함이다. ‘對’는 當함이다. 先王이 이 无妄의 성대한 일을 가지고 无妄의 때를 당하여 만물을 길러줌을 말한 것이다.
이는 오직 王者여야 그 德이 마침내 이와 같을 수 있고 제후 이하가 능한 바가 아니다. 그러므로 ‘君子’라고 말하지 않고 ‘先王’이라고 말한 것이다.
살펴보건대, 여러 卦의 〈象傳〉에 곧바로 두 象을 말했으면 즉시 卦의 이름을 가지고 맺었으니, 예컨대 “우레가 땅 가운데 있는 것이 復卦이다.”와 같은 것이다.
지금 无妄卦에는 응당 “하늘 아래에 우레가 다니는 것이 无妄卦이다.”라고 하여야 할 터인데, 이제 “물건이 다 망령됨이 없다.”라고 말한 것은, 만물이 다 망령됨이 없음을 드러내고자 한 것이므로 ‘物與’ 두 글자를 더한 것이다.
그 나머지 여러 卦는 반드시 만물이 모두 卦名과 뜻이 같은 것은 아니기 때문에 다만 象을 드러내고서 卦名으로써 맺은 것이다. 復卦 같은 경우는 오직 陽氣가 회복하는 것이요 만물이 다 회복하는 것이 아니니, 復卦 하나를 들면 나머지는 알 수 있다.
初九는 无妄으로 가면 길하리라.
體가 剛하고 아래에 처하여 귀함으로써 천한 이에게 낮추고, 행함에 망령됨을 범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가면 그 뜻을 얻는 것이다.
正義曰:體가 剛하고 아래에 거하여 귀함으로써 천한 이에게 낮추고, 행하는 바가 교화되어서 妄動을 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가면 길하여 뜻을 얻는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无妄의 감은 뜻을 얻는 것이다.”
六二는 밭 갈지 않고 수확하며 개간하지 않고 묵은(비옥한) 밭이 되니, 가는 바를 둠이 이롭다.
밭 갈지 않고서 수확하고 개간하지 않고서 묵은 밭이 되니, 대신하여 끝마침이 이미 이루어져 자기가 만들지 않는 것이다. 그 아름다움을 독차지하지 않고 마침내 신하의 도리를 다하였다. 그러므로 가는 바를 둠이 이로운 것이다.
經의 [象曰]에서 [利有攸往]까지
○正義曰:[不耕穫 不菑畬] 六二가 中에 처하고 正位를 얻어서 신하의 도리를 다하여 감히 앞장서서 창조하지 않고 오직 그 終을 지키니,
마치 농사를 지을 적에 감히 앞장서서 밭 갈지 않고 오직 뒤에 있으면서 수확하고 벨 뿐이며, 감히 앞장서서 새 밭을 개간하지 않고 오직 그 묵은 땅을 다스리는 것과 같다.
이는 모두 시작을 하지 않고 끝만 이루는 것이니, 신하 된 도리에 일의 시작이 되지 않고 군주를 대신하여 끝마침이 있는 것과 같은 것이다.
[則利有攸往] 신하 됨이 이와 같으면 가는 바를 둠이 이롭고, 만약 이와 같이 하지 않으면 가도 이로움이 없는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밭 갈지 않고 수확함’은 부유하지 않은 것이다.”
正義曰:‘밭 갈지 않고 수확함’의 뜻을 해석하였다. 감히 앞에서 밭 갈지 않고 뒤에서 수확함을 지키는 것은,
감히 밭 가는 것과 수확하는 것을 모두 자기의 일로 삼지 못하고 오직 뒤에서 수확하여 감히 먼저 밭 갈지 못하는 것이니, 일을 이미 초기에 하지 못하여 그 아름다움을 독차지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부유하지 않다.”라고 말한 것이다.
六三은 无妄의 재앙이니, 혹 소를 매어놓으니 行人의 얻음이요 고을 사람의 재앙이다.
陰으로서 陽의 자리에 거하여 행실이 겸손함과 유순함에 위배되니, 이는 无妄이 재앙이 되는 이유이다. 소는 농사짓는 밑천이다.
六二가 ‘밭 갈지 않고 수확함’으로써 가는 바를 둠이 이로웠는데, 六三은 순하지 않은 행실을 한다.
그러므로 혹 소를 매어놓는 것이니, 이는 有司에게 얻음이 되는 것이요 저 사람(농부)에게 재앙이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行人의 얻음이요 고을 사람의 재앙이다.”라고 한 것이다.
經의 [六三]에서 [人之災]까지
正義曰:无妄의 세상에는 간사한 道가 행해지지 않는데, 六三이 陰으로서 陽의 자리에 거하여 正道를 잃고 행실이 겸손함과 유순함을 어겨 신하의 법에 위배된다. 그러므로 无妄이 재앙이 되는 것이다.
[牛] 농사짓는 밑천이다. 六三이 참람하게 밭 가는 일을 하여 唱導하여 시작하는 道를 행해서 王事에 순종하지 않는 행실을 하였다. 그러므로 有司가 혹 소를 매어놓아서, 六三으로 하여금 망령되이 만들지 못하게 제재하였다. 그러므로 “혹 소를 매어놓았다.”라고 말한 것이다.
[行人] 有司의 뜻이다. 有司가 그 소를 매어놓으니 이는 행인이 제재하여 功을 얻은 것이다. 그러므로 “행인의 얻음”이라 하였고,
저 三位에 거한 자는 바로 고을에 거주하는 사람이니 참람하게 밭 가는 일을 하였다가 재앙과 벌을 받았다. 그러므로 “행인의 얻음이요 고을 사람의 재앙이다.”라고 말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行人이 소를 얻음은 고을 사람의 재앙이다.”
正義曰:‘행인의 얻음’의 뜻을 해석하였으니, 행인으로서 얻은 것은 소를 얻음을 이른다. 여기서는 소를 얻고 저기서는 재앙이 되었다. 그러므로 “고을 사람의 재앙이다.”라고 말한 것이다.
九四는 貞固할 수 있으니, 허물이 없으리라.
无妄의 때에 처하여 陽으로서 陰의 자리에 거하고 剛으로서 柔를 타고 있어서 겸손함과 유순함을 밟고서 至尊과 매우 가깝다. 그러므로 正道를 맡을 수 있으니 굳게 지키는 바가 있어 허물이 없는 것이다.
正義曰:陽으로서 陰의 자리에 거하고 剛으로서 柔를 타서 겸손함과 유순함을 밟고서 위로 至尊과 가깝다. 그래서 正道를 맡을 수 있으니 굳게 지키는 바가 있어 허물이 없다. 그러므로 “貞固할 수 있으니, 허물이 없다.”라고 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貞固할 수 있으니 허물이 없음’은 굳게 소유한 것이다.”
正義曰:‘貞固할 수 있으니 허물이 없음’의 뜻을 해석하였으니, 貞正함을 지킬 수 있는 까닭은 견고하게 잡아 지키는 바가 있으므로 “허물이 없다.”라고 한 것임을 말한 것이다.
九五는 无妄의 병이니, 약을 쓰지 않으면 기쁨이 있으리라.
거함이 尊位를 얻었으니, 无妄의 주체가 된 자이다. 아래가 모두 망령됨이 없어서 害를 불러온 바가 없는데, 약을 취함은 병이 심한 것이다.
망령되지 않은 재앙은 다스리지 않아도 스스로 회복되니, 망령되지 않는데 약을 쓰면 흉하다. 그러므로 “약을 쓰지 않으면 기쁨이 있다.”라고 말한 것이다.
正義曰:[无妄之疾] 무릇 禍와 病이 시작되는 것은 망령됨이 있음으로 말미암아 오니,
지금 九五가 거함이 尊位를 얻어서 无妄의 주체가 되었고 아래가 모두 망령됨이 없는데 우연히 이 병과 害가 있다. 그러므로 “无妄의 병”이라 한 것이다.
[勿藥 有喜] 만약 병을 자기가 불러왔거나 혹은 추위와 더위, 마시고 먹는 것에서 오는 것으로 이룬 것이면 모름지기 치료해야 하지만, 만약 자연의 병으로 자기가 이룬 바가 아니면 병이 마땅히 저절로 덜어지니, 굳이 약으로 치료하지 않아도 기쁨이 있는 것이다.
이는 병의 象을 빌려서 사람의 일을 비유한 것이니, 人主가 剛함과 바름으로 스스로 닦아서 몸이 허망함이 없고 아래도 허망함이 없는데, 우연히 흉한 일과 禍를 만난 것과 같다.
예컨대 堯임금과 湯임금의 곤액은 재앙을 자기가 부른 것이 아니니, 다만 때를 순히 따르고 德을 닦을 것이요, 굳이 다스려서 반드시 제거하려고 하지 말아서 천하를 수고롭고 번거롭지 않게 해야 하니, 이것이 ‘기쁨이 있음’이다.
그러나 堯임금이 홍수를 만나서 鯀과 禹로 하여금 다스리게 했던 것은, 비록 재앙이 그칠 수 없음을 알았으나 반드시 백성들의 마음에 순응해야 했기 때문이다.
鯀이 성공하지 못한 것은 재앙이 아직 그치지 않았기 때문이요, 禹임금이 능히 다스리고 구원한 것은 재앙이 다하려고 한 것이니, 이 또한 자연의 재앙인바, ‘약을 쓰지 않으면 기쁨이 있음’의 뜻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无妄의 약은 써서는 안 된다.”
약은 有妄을 다스리는 것인데 도리어 无妄을 다스린다. 그러므로 써서는 안 되는 것이다.
正義曰:‘약을 쓰지 않으면 기쁨이 있음’의 뜻을 해석하였다. 만약 망령됨이 있어 병을 이루면 그 약을 쓸 수 있지만, 만약 자신이 망령됨이 없는데 자연히 병을 이루었으면 약을 쓰지 않아야 하니, 만약 약을 쓰다가 다시 병을 더할까 두려워서이다.
이는 망령되지 않았는데 재앙이 있으면 다스려서는 안 됨을 말한 것이니, 만약 반드시 다스리고자 한다면 아랫사람들을 수고롭고 번거롭게 하여 害가 더욱 더 심하게 된다. 이것은 비단 군주에게 베풀 뿐만이 아니요, 모든 사람의 일에 이르러도 다 그러하다.
만약 자기가 죄가 없는데 갑자기 禍患을 만났으면 이는 바로 자연스러운 이치이니, 굳이 근심하고 수고롭게 하여 구호할 것이 없으니, 또한 도리어 性(생명)을 해칠까 두려워서이다.
上九는 无妄에 가면 재앙이 있어서 이로운 바가 없다.
망령되어서는 안 되는 極에 처하여 오직 마땅히 그 몸을 고요히 보존할 뿐이다. 그러므로 가서는 안 되는 것이다.
正義曰:망령되어서는 안 되는 極에 처하여 오직 그 몸을 고요히 보존해야 하니, 만약 동하고 가면 반드시 재앙이 있어서 이로운 바가 없는 것이다.
지위가 궁극함에 처하여 동하면 재앙을 불러일으킨다. 그러므로 〈象傳〉에 “无妄의 감은 궁극함의 재앙이다.”라고 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无妄의 감은 궁극함의 재앙이다.”


역주
역주1 以震之剛從外而來 爲主於內 : 經文의 ‘剛自外來而爲主於內’를 王弼이 无妄卦䷘의 內卦인 震卦☳를 가리키는 것이라고 注를 내었으므로 孔穎達이 이를 따라 이렇게 疏를 낸 것이다.
반면 程伊川과 朱子는 卦變說을 사용하여 해석하였는데, 그 내용은 양자가 다르다. 程伊川은 “初九를 이른다. 坤의 初爻가 변하여 震이 되었으니, 剛이 밖에서 온 것이다. 震은 初爻를 주체로 삼으니, 卦를 이룸이 이로 말미암았다. 그러므로 初九는 无妄의 주체가 된다.[謂初九也 坤初爻變而爲震 剛自外而來也 震 以初爻爲主 成卦由之 故初爲无妄之主]”라고 하였다.
朱子는 “이 卦는 訟卦䷅로부터 변하여 初九가 訟卦의 九二에서 와서 初에 거하고, 또 震의 主가 되었으니, 동하되 망령되지 않은 자이므로 无妄이라 한 것이다.[爲卦自訟而變 九自二來而居於初 又爲震主 動而不妄者也 故爲无妄]”라고 하여, 程伊川과 달리 ‘剛自外來而爲主於內’가 初九를 가리킨 것으로 보았다. 程伊川의 卦變說은 모든 卦가 乾卦와 坤卦 두 卦가 변하여 이루어진 것이라고 설명하나, 朱子는 이를 따르지 않고 〈卦變圖〉를 지었는바, ≪周易本義≫에 실려 있다.
역주2 故云天下雷行 物皆无妄也 : 經文의 ‘與’를 王弼과 孔穎達은 ‘皆’로 보았으나, 程伊川과 朱子는 ‘賦與’의 뜻으로 보고 經文을 “하늘 아래에 우레가 다녀서 물건마다 无妄을 준다.”라고 해석하였다. 이에 대한 程伊川의 傳은 다음과 같다. “우레가 하늘 아래에 다녀서 陰‧陽이 서로 和하여 서로 부딪쳐 소리를 이루니, 이에 숨고 감춰져 있는 것들을 놀라게 하고 싹을 진동시켜 萬物을 발생해서 부여하는 바가 크고 작은 것과 높고 낮은 것이 각기 性命을 바루어(얻어) 어그러지고 망령됨이 없으니, 이는 물건마다 无妄을 준 것이다.[雷行於天下 陰陽交和 相薄而成聲 於是 驚蟄藏 振萌芽 發生萬物 其所賦與 洪纖高下 各正其性命 无有差妄 物與无妄也]”
역주3 對……育養萬物也 : 經文의 ‘先王以茂對時’는 王弼의 注만으로는 해석하기 어려우므로 孔穎達의 疏에 의거하여 해석하였다. 疏에 의하면 ‘以茂對時’는 ‘无妄의 성대한 일을 가지고 无妄의 때에 당함’이 되는바, 여타 〈象傳〉과 다르게 ‘以’를 뒤로 붙여 해석한 것이다. 〈大象傳〉은 대부분 ‘君子以’, ‘先王以’ 등으로 되어 있는데, 이때의 ‘以’는 ‘卦의 象을 보다’ 혹은 ‘卦의 象을 보고 응용하다’ 등의 의미로서, 단독으로 해석된다. 예컨대 復卦의 〈象傳〉은 “先王以至日閉關 商旅不行 后不省方”인데, 疏에서 “先王이 이 復卦를 형상하여 冬至와 夏至에 관문을 폐쇄해서 장사꾼과 여행자들로 하여금 도로에 다니지 않게 하는 것이다.[先王象此復卦 以二至之日 閉塞其關 使商旅不行於道路也]”라고 하였는바, 이때는 ‘以’를 ‘復卦를 형상함’의 의미로 해석한 것이다. 그런데 지금 이 无妄卦 〈象傳〉의 疏는 ‘以’를 ‘以此无妄盛事’라고 해석하여, 기존의 체제와는 다르다.
한편 程伊川은 ‘對時’를 ‘天時에 합함’로 보아, “先王은 하늘 아래에 우레가 다녀서 발생하고 賦與하는 象을 관찰하고서 天時에 성대하게 합하여 萬物을 양육해서 각기 마땅함을 얻게 하니, 마치 하늘이 无妄을 주는 것과 같다. 茂는 성함이니, ‘茂對’란 말은 盛行, 永言이란 따위와 같은 것이다. ‘對時’는 天時에 순히 합함을 말한다. 天道가 萬物을 낳아 각기 그 性命을 바루어 망령되지 않으니, 王者가 하늘의 道를 體行하여 人民을 양육해서 곤충과 초목에 이르기까지 각기 마땅함을 얻게 함은 바로 天時에 합하여 물건을 기르는 道이다.[先王觀天下雷行發生賦與之象 而以茂對天時 養育萬物 使各得其宜 如天與之无妄也 茂 盛也 茂對之爲言 猶盛行永言之比 對時 謂順合天時 天道生萬物 各正其性命而不妄 王者體天之道 養育人民 以至昆蟲草木 使各得其宜 乃對時育物之道也]”라고 하였다.
朱子 역시 이와 유사하게 “先王이 이것을 법받아 때에 맞추어 만물을 길러서 만물의 본성을 따르고 사사롭게 하지 않는다.[先王法此 以對時育物 因其所性而不爲私焉]”라고 하였다.
역주4 (耳)[爾] : 저본에는 ‘耳’로 되어 있으나, 監本ㆍ毛本에 의거하여 ‘爾’로 바로잡았다.[阮刻本 참조]
역주5 (菑)[首] : 저본에는 ‘菑’로 되어 있으나, 錢本ㆍ監本ㆍ毛本에 의거하여 ‘首’로 바로잡았다.
역주6 不耕穫……而代君有終也 : 經文의 “不耕穫 不菑畬”를 王弼과 孔穎達은 “밭 갈지 않고서 수확하고 개간하지 않고서 묵은 밭이 됨[不耕而穫 不菑而畬]”으로 해석하였는바, 六二가 신하 된 도리로서 감히 먼저 일을 만들어 하지 않고 다만 뒤에서 종결을 돕는다는 의미로 본 것이다.
程伊川 역시 ‘不耕而穫 不菑而畬’로 해석하여, “밭이 1년 된 것을 菑라 하고, 3년 된 것을 畬라 한다. 밭 갈지 않고서도 수확하고 1년 된 밭을 만들지 않고서도 3년 된 밭이 된다는 것은 앞장서서 일을 만들지 않고 사리의 당연한 바를 따름을 말한 것이다. 앞장서서 일을 만든다면 이는 人心으로 作爲한 것이므로 바로 妄이요, 일의 당연한 바를 따른다면 이는 이치와 사물에 順應하는 것이므로 妄이 아니니, 穫과 畬가 이것이다. 밭을 갈면 반드시 수확이 있고, 1년 된 밭을 만들면 반드시 3년 된 밭이 있으니, 이는 事理에 當然함이요 마음과 뜻으로 조작한 바가 아니다. 이와 같이 하면 无妄이 되니, 망령되지 않으면 가는 바가 이로워 해가 없다.[田一歲曰菑 三歲曰畬 不耕而穫 不菑而畬 謂不首造其事 因其事理所當然也 首造其事 則是人心所作爲 乃妄也 因事之當然 則是順理應物 非妄也 穫與畬是也 蓋耕則必有穫 菑則必有畬 是事理之固然 非心意之所造作也 如是則爲无妄 不妄則所往利而无害也]”라고 하였다. 다만 程伊川은 신하 된 도리와 연결시키지 않고, 人爲(作爲)와 사리에 순응함이라는 기준으로 妄(耕ㆍ菑)과 无妄(穫ㆍ畬)을 구분하였다.
반면 朱子는 耕과 穫, 菑와 畬를 모두 ‘私心으로 기대하는 것’으로 보아, “柔順하고 中正하여 때에 따르고 이치에 순응해서 私心으로 기대하고 바라는 마음이 없다. 그러므로 밭 갈거나 수확하지 않으며 1년 된 밭과 3년 된 밭을 만들지 않는 象이 있다.[柔順中正 因時順理 而无私意期望之心 故有不耕穫不菑畬之象]”라고 해석하였다.
역주7 (耕) : 저본에는 ‘耕’이 있으나, 阮刻本 〈校勘記〉에 “두 ‘耕’자는 잘못 중복된 것이니, 한 글자는 衍文임이 마땅하다.”라고 한 것에 의거하여 衍文으로 처리하였다.
역주8 不敢前耕……故云未富也 : ‘未富也’를 孔穎達은 ‘六二가 耕과 穫을 모두 자기의 일로 삼지 못하므로 부유하지 않다고 말한 것’으로 보았다.
반면 程伊川과 朱子는 ‘六二가 不耕穫하는 것이 穫과 畬를 탐해서 그런 것이 아님’으로 보았는바, 程伊川은 “未는 ‘반드시’가 아니란 말이니, 臨卦에 ‘명령에 순종하려 해서가 아니다.[未順命]’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밭 갈지 않고서도 수확하며 1년 된 밭을 만들지 않고서도 3년 된 밭이 되어 일의 당연함을 따르니, 이미 밭을 갈면 반드시 수확이 있고, 이미 1년 된 밭을 만들면 반드시 3년 된 밭이 되게 마련이니, 반드시 수확하고 3년 된 밭이 되는 것을 富하게 여겨서 貪하여 하는 것이 아니다. 처음 밭을 갈고 1년 된 밭을 만들 때에 마음을 둠이 수확과 3년 된 밭을 구함에 있었다면 이는 탐하는 것이니, 마음에 욕심이 있어서 하는 것은 妄이다.[未者 非必之辭 臨卦曰未順命 是也 不耕而穫 不菑而畬 因其事之當然 旣耕則必有穫 旣菑則必成畬 非必以穫畬之富而爲也 其始耕菑 乃設心在於求穫畬 是以其富也 心有欲而爲者 則妄也]”라고 하였으며, 朱子는 ‘富’자가 이와 같이 쓰이는 例로 ≪孟子≫ 〈滕文公 下〉의 “湯王의 마음이 天下를 富하다고 여겨서 얻고자 한 것이 아니다.[湯之心 非以天下爲富而欲得之也]”라고 한 것을 제시하였다.
역주9 (二)[三] : 저본에는 ‘二’로 되어 있으나, 錢本ㆍ宋本에 의거하여 ‘三’으로 바로잡았다.[阮刻本 참조]
역주10 牛者……邑人之災也 : ‘或繫之牛 行人之得 邑人之災’를 王弼과 孔穎達은 “六三이 신하의 도리를 위반하고서 밭 가는 일을 하면서 소를 쓰므로 有司(行人)가 소를 묶어서 六三(邑人)의 참람함을 제재하는 것이니, 이는 行人이 功을 얻는 것이고 六三이 재앙을 받는 것이다.”의 의미로 해석하였다. 이 해석에서 소를 매어놓는 주체는 行人이고, 邑人은 六三을 가리킨다.
반면 程伊川은 行人과 邑人이 특별히 가리키는 바가 있는 것이 아니고 한쪽이 잃으면 한쪽이 얻고 한쪽이 얻으면 한쪽이 잃어서 진실로 얻음이 될 수 없음을 나타낸 것으로 보아, “설혹 소를 매어놓아 얻었다 하더라도, 행인이 얻고서 얻음이 있는 것으로 여김은 邑人이 소를 잃은 것이 되니, 이것이 바로 재앙이다. 가령 邑人이 말을 매어놓아 얻으면 행인이 말을 잃음이 되니, 이것이 바로 재앙이다. 얻음이 있으면 잃음이 있으니, 얻음이 될 수 없음을 말한 것이다. 行人과 邑人은 다만 얻음이 있으면 잃음이 있음을 말한 것이요, 저와 자기라고 상대하여 말한 것은 아니다. 망령되이 얻은 福은 재앙이 또한 뒤따르고, 망령되이 얻은 얻음은 잃음이 또한 상응하니, 진실로 얻음이 될 수 없는 것이다. 사람이 이것을 알면 妄動을 하지 않을 것이다.[或繫得牛 行人得之 以爲有得 邑人失牛 乃是災也 借使邑人 繫得馬 則行人失馬 乃是災也 言有得則有失 不足以爲得也 行人邑人 但言有得則有失 非以爲彼己也 妄得之福 災亦隨之 妄得之得 失亦稱之 固不足以爲得也 人能知此 則不爲妄動矣]”라고 하였다.
朱子는 “卦의 여섯 爻가 모두 无妄이나 六三은 처함이 正을 얻지 못했으므로 이 占을 만난 자는 연고 없이 재앙이 있으니, 마치 行人이 소를 끌고 갔는데 거주하는 자가 도리어 詰問을 당하고 逮捕되는 騷擾를 당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卦之六爻 皆无妄者也 六三處不得正 故遇其占者无故而有災 如行人牽牛以去 而居者反遭詰捕之擾也]”라고 하였는바, 이 해석에 따르면 經文은 “혹 소를 끌고 가니 행인이 얻고 읍인이 재앙을 받는다.”라고 번역해야 할 것이다.
역주11 若堯湯之厄 : 堯임금 때에 있었던 9년의 큰 홍수와 湯임금 때에 있었던 7년의 큰 가뭄을 이른다.

주역정의(2) 책은 2019.10.15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