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周易正義(4)

주역정의(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주역정의(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疏]正義曰:‘是故易有’至‘无不利也’ 此第十一章也.
前章旣明蓍卦有神明之用, 聖人則而象之, 成其神化,
此又明易道之大, 法於天地, 明象日月, 能定天下之吉凶, 成天下之亹亹也.
是故 易有太極하니 是生兩儀하고
[注]夫有必始於无故 太極生兩儀也 太極者 无稱之稱이니 不可得而名하여 取有之所極하여 況之太極者也
[疏]正義曰:太極, 謂天地未分之前, 元氣混而爲一, 卽是太初․太一也. 故老子云“道生一”, 卽此太極是也.
又謂混元旣分, 卽有天地, 故曰“太極生兩儀”,
不言天地而言兩儀者, 指其物體, 下與四象相對, 故曰“兩儀”, 謂兩體容儀也.
兩儀生四象하고 四象生八卦하니
[注]卦以象之
八卦定吉凶하고
[注]八卦旣立이면 則吉凶可定이라
[疏]正義曰:八卦旣立, 爻象變而相推, 有吉有凶, 故八卦定吉凶也.
吉凶生大業하나니라
[注]旣定吉凶이면 則廣大悉備
[疏]正義曰:萬事各有吉凶, 廣大悉備, 故能天下大事業也.
是故 法象 莫大乎天地하고 變通 莫大乎四時하고 縣象著明 莫大乎日月하고 崇高 莫大乎富貴하니라
[注]位 所以一天下之動하여 而濟萬物이라
[疏]正義曰:‘是故法象莫大乎天地’者, 言天地最大也.
‘變通莫大乎四時’者, 謂四時以變得通, 是變中最大也.
‘縣象著明莫大乎日月’者, 謂日月中時, 徧照天下, 无幽不燭, 故云“著明莫大乎日月”也.
‘崇高莫大乎富貴’者, 以王者居九五富貴之位, 力能齊一天下之動, 而道濟萬物, 是崇高之極, 故云“莫大乎富貴.”
備物致用하여 立成器以爲天下利 莫大乎聖人하며
[疏]正義曰:謂備天下之物, 招致天下所用, , 以爲天下之利, 唯聖人能然, 故云“莫大乎聖人”也.
探賾索隱하며 鉤深致遠하여 以定天下之吉凶하여 成天下之亹亹者 莫大乎蓍龜하니라
[疏]正義曰:探謂闚探求取, 賾謂幽深難見, 卜筮則能闚探幽昧之理, 故云“探賾”也.
索謂求索, 隱謂隱藏, 卜筮能求索隱藏之處, 故云“索隱”也.
物在深處, 能鉤取之, 物在遠方, 能招致之, 卜筮能然, 故云“鉤深致遠”也.
以此諸事, 正定天下之吉凶, 成就天下之亹亹者, 唯卜筮能然, 故云“莫乎蓍龜”也.
案釋詁云“亹亹, 勉也.” 言天下萬事, 悉動而好生, 皆勉勉營爲,
此蓍龜知其好惡得失, 人則棄其而取其好, 背其失而求其得, 是成天下之亹亹也.
是故 天生神物이어늘 聖人則之하고 天地變化어늘 聖人效之하고
天垂象하여 見吉凶이어늘 聖人象之하고 河出圖하고 洛出書어늘 聖人則之하시니라
                    河圖                                      洛書 河圖 洛書
[疏]正義曰:‘是故天生神物 聖人則之’者, 謂天生蓍龜, 聖人法則之, 以爲卜筮也.
‘天地變化 聖人效之’者, 行四時生殺, 賞以春夏, 刑以秋冬, 是聖人效之.
‘天垂象 見吉凶 聖人象之’者, 若 是聖人象之也.
‘河出圖 洛出書 聖人則之’者, 如鄭康成之義, 則云“河以通乾出天苞, 洛以流坤吐地符, 河龍圖發, 洛龜書感”,
河圖有九篇, 洛書有六篇. 孔安國以爲“河圖則八卦是也, 洛書則九疇是也.” 輔嗣之義, 未知何從.
易有四象 所以示也 繫辭焉 所以告也 定之以吉凶 所以斷也
[疏]正義曰:‘易有四象 所以示’者, 莊氏云“四象謂六十四卦之中, 有實象, 有假象, 有義象, 有用象, 爲四象也, 今於釋卦之處, 已破之矣.”
何氏以爲“四象謂‘天生神物, 聖人則之’, 一也, ‘天地變化, 聖人效之’, 二也,
‘天垂象, 見吉凶, 聖人象之’, 三也, ‘河出圖, 洛出書, 聖人則之’, 四也.”
今謂此等四事, 乃是聖人易外, 別有其功, 非專易內之物, 何得稱“易有四象”.
且又云“易有四象, 所以示也, 繫辭焉, 所以告也”, 然則象之與辭, 相對之物.
辭旣爻卦之下辭, 則象爲爻卦之象也, 則上兩儀生四象, 七八九六之謂也.
‘繫辭焉 所以告’者, 繫辭於卦下, 所以告其得失也.
‘定之以吉凶 所以斷’者, 謂於繫辭之中, 定其行事吉凶, 所以斷其行事得失.
易曰 自天祐之어늘 吉无不利라하니 子曰 祐者 助也 天之所助者 順也 人之所助者 信也
履信思乎順하고 又以尙賢也 是以 自天祐之하여 吉无不利也니라
[疏]正義曰:‘易曰 自天祐之 吉无不利’者, 言人於此易之四象所以示, 繫辭所以告,
吉凶斷而行之, 行則鬼神无不祐助, 无所不利, 故引易之大有上九爻辭以證之.
‘子曰祐者助也’者, 上旣引易文, 下又釋其易理, 故云“子曰祐者助也.”
‘天之所助者 順也 人之所助者 信也 履信思乎順’者, 人之所助, 唯在於信, 此上九能履踐於信也.
天之所助, 唯在於順, 此上九恒思於順.
旣有信思順, 又能尊尙賢人, 是以從天已下, 皆祐助之, 而得其吉, 无所不利也.


정의왈正義曰의 [是故易有]에서 [无不利也]까지 이는 제11장이다.
앞 장에서는 ‘시초蓍草신명神明한 쓰임이 있는데 성인聖人이 이것을 본받아 형상하여 신화神化를 이룸’을 밝혔고,
이 장에서는 또 ‘의 큼이 하늘과 땅을 본받고, 밝음이 해와 달을 형상하여, 능히 천하의 길흉吉凶을 정해서 천하의 미미亹亹함(힘쓰는 일)을 이룸’을 밝혔다.
이 때문에 태극太極이 있으니, 이것이 양의兩儀를 낳고
는 반드시 에서 시작되므로 태극太極양의兩儀를 나은 것이다. 태극은 칭호가 없는 칭호이니, 명명할 수가 없어서 의 지극한 바를 취하여 태극에 비유한 것이다.
정의왈正義曰:‘태극太極’은 천지天地가 나누어지기 전에 원기元氣가 뒤섞여 하나가 됨을 이르니, 바로 태초太初태일太一인 것이다. 그러므로 노자老子가 “가 하나를 낳는다.”라고 하였으니, 〈가〉 바로 이 태극太極인 것이다.
또 ‘혼돈混沌원기元氣가 나누어지고 나면 곧 하늘과 땅이 있음’을 말하였으므로 “태극太極양의兩儀를 낳는다.”라고 하였으니, 바로 노자老子가 말한 “하나가 둘을 낳는다.”는 것이다.
천지天地’라 말하지 않고 ‘양의兩儀’라고 말한 것은, 물체物體를 가리켜서 아래에 사상四象과 상대하였으므로 ‘양의兩儀’라 한 것이니, ‘두 [兩體]의 모습[용의容儀]’을 말한 것이다.
양의兩儀사상四象을 낳고 사상四象팔괘八卦를 낳으니,
로써 형상한 것이다.
정의왈正義曰:[兩儀生四象] 천지天地의 기운을 품부받아 소유하였으므로 “양의兩儀사상四象을 낳는다.”라고 말한 것이다.
는 사계절에 나누어 왕성하고 또 땅 가운데의 별칭이므로 오직 ‘사상四象’이라고만 말한 것이다.
[四象生八卦] 예컨대 , , , 를 말하면 각각 한 때를 주장하고, 또 과 같고 과 같으며, 를 더하여 팔괘八卦가 된 것이다.
팔괘八卦을 정하고,
팔괘八卦가 이미 세워지면 을 정할 수 있는 것이다.
정의왈正義曰팔괘八卦가 이미 세워지면 이 변하여 서로 미루어서(바뀌어서) 이 있게 된다. 그러므로 팔괘八卦을 정하는 것이다.
대업大業을 낳는다.
이미 이 정해지면 광대廣大함이 모두 갖추어진다.
정의왈正義曰만사萬事에 각각 이 있어서 광대함이 모두 갖추어진다. 그러므로 천하의 큰 사업을 낳을 수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법상法象은 하늘과 땅보다 더 큰 것이 없고, 변통變通사시四時보다 더 큰 것이 없고, 을 매달아 밝게 비춤은 일월日月보다 더 큰 것이 없고, 숭고崇高함은 부귀富貴보다 더 큰 것이 없는 것이다.
자리는 천하天下함을 통일하여 만물萬物을 이루는 것이다.
정의왈正義曰:[是故法象莫大乎天地] 하늘과 땅이 가장 큼을 말한 것이다.
[變通莫大乎四時] 사시四時함으로써 함을 이르니, 이는 변함 중에 가장 큰 것이다.
[縣象著明莫大乎日月] 해와 달이 중천에 있을 때에 천하를 두루 비추어서 그윽한 곳도 밝히지 않음이 없음을 이른다. 그러므로 “밝게 비춤은 일월日月보다 더 큰 것이 없다.”라고 말한 것이다.
[崇高莫大乎富貴] 왕자王者구오九五부귀富貴한 자리에 거하면 힘이 능히 천하天下함을 통일해서 그 만물萬物을 구제할 수 있으니, 이는 숭고崇高함이 지극한 것이다. 그러므로 “부귀보다 더 큰 것이 없다.”라고 말한 것이다.
물건을 구비하고 쓰임을 초치하여(불러와서) 기물을 건립하고 성취해서 천하를 이롭게 함이 성인聖人보다 더 큰 것이 없으며,
정의왈正義曰천하天下의 물건을 구비하고 천하의 사용하는 바를 초치해서 천하의 기물을 건립하고 성취시켜서 이를 천하의 이로움으로 삼음은 오직 성인聖人만이 그렇게 할 수 있음을 말하였다. 그러므로 “성인보다 더 큰 것이 없다.”라고 말한 것이다.
그윽한 이치를 더듬어(탐색해)내고 숨은 곳을 찾아내며, 깊이 있는 것을 갈고리로 끄집어내고 멀리 있는 것을 초치해서, 천하의 을 정하여 천하의 미미亹亹함을 이룸은 시초蓍草와 거북껍질보다 더 큰 것이 없다.
정의왈正義曰:‘’은 엿보고 더듬어 찾아내서 취함을 이르고, ‘’는 그윽하고 깊어서 보기 어려움을 이른다. 복서卜筮를 하면 능히 그윽하고 어두운 이치를 엿보고 더듬을 수 있다. 그러므로 “그윽한 이치를 더듬어낸다.”라고 말한 것이다.
’는 구하여 찾음을 이르고, ‘’은 숨고 감춤을 이르니, 복서卜筮를 하면 능히 숨고 감추어져 있는 곳을 구하고 찾아낼 수 있다. 그러므로 “숨은 곳을 찾아낸다.”라고 말한 것이다.
깊은 곳에 있는 물건을 갈고리로 취할 수 있고, 먼 곳에 있는 물건을 초치할 수가 있으니, 복서卜筮를 하면 이와 같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깊이 있는 것을 갈고리로 끄집어내고 멀리 있는 것을 초치한다.”라고 말한 것이다.
이 여러 가지 일을 가지고 천하의 길흉吉凶을 바로 정하고 천하의 미미亹亹함을 성취함은 오직 복서卜筮만이 그렇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시초蓍草와 거북껍질보다 더 큰 것이 없다.”라고 말한 것이다.
살펴보건대, ≪이아爾雅≫ 〈석고釋詁〉에 “미미亹亹는 힘씀이다.”라고 하였으니, ‘천하만사가 모두 하여 낳는 것을 좋아해서 모두 힘쓰고 힘써 경영하니,
이는 시초와 거북점이 호오好惡득실得失을 알아서 사람은 (싫음)를 버리고 를 취하며 을 등지고 을 구함’을 말한 것이니, 이것이 천하의 미미亹亹함을 이루는 것이다.
이 때문에 하늘이 신물神物을 내자 성인聖人이 이것을 법칙으로 삼고, 천지天地가 변화하자 성인이 이것을 본받고,
하늘이 을 드리워 길흉吉凶을 보이자 성인이 이것을 형상하고, 하수河水에서 하도河圖가 나오고 낙수洛水에서 낙서洛書가 나오자 성인이 이것을 법받은 것이다.
정의왈正義曰:[是故天生神物 聖人則之] 하늘이 시초蓍草와 거북껍질을 내자 성인聖人이 이것을 법칙으로 삼아서 복서卜筮를 만듦을 말한 것이다.
[天地變化 聖人效之] 사시四時가 낳고 죽임을 행하는데 〈성인聖人이〉 봄과 여름에 을 주고 가을과 겨울에 형벌하니, 이것이 ‘성인이 이것을 본받음’이다.
[天垂象 見吉凶 聖人象之] 예컨대 선기璿璣옥형玉衡으로 칠정七政을 고르게 한 것과 같으니, 이것이 ‘성인聖人이 이것을 형상함’이다.
[河出圖 洛出書 聖人則之] 정강성鄭康成(정현鄭玄)의 뜻은 다음과 같다. “≪춘추위春秋緯≫에 이르기를 ‘하수河水을 통함으로써 천포天苞를 내고 낙수洛水을 유통함으로써 지부地符를 토해내서 하수河水에서 용도龍圖가 나오고 낙수洛水에서 구서龜書가 감동되었다.’라고 하였으니,
하도는 9이 있고 낙서는 6이 있다.” 공안국孔安國은 “하도는 바로 팔괘八卦가 이것이요, 낙서는 구주九疇(홍범구주洪範九疇)가 이것이다.”라고 하였다. 왕보사王輔嗣(왕필王弼)의 뜻은 어느 것을 따랐는지 알 수 없다.
사상四象이 있음은 보여준 것이요, 글을 단 것은 고해준 것이요, 길흉吉凶으로써 정함은 결단한 것이다.
정의왈正義曰:[易有四象 所以示] 장씨莊氏가 이르기를 “사상四象은 64 가운데에 실상實象가상假象, 의상義象용상用象이 있어서 사상四象이 됨을 말한 것이니, 지금 를 해석한 곳에서 이것을 이미 설파했다.”라고 하였고,
하씨何氏(하타何妥)는 이르기를 “사상四象은 ‘하늘이 신물神物을 내자 성인聖人이 이것을 법칙으로 삼음’이 첫 번째이고, ‘천지天地가 변화하자 성인이 이것을 본받음’이 두 번째이고,
‘하늘이 을 드리워 길흉吉凶을 보이자 성인이 이것을 형상함’이 세 번째이고, ‘하수河水에서 하도河圖가 나오고 낙수洛水에서 낙서洛書가 나오자 성인이 이것을 법받음’이 네 번째이다.”라고 하였다.
이제 생각하건대 이것 등의 네 가지 일은 바로 성인이 외에 별도로 이 있는 것이요 오로지 안의 사물은 아니니, 어떻게 “사상四象이 있다.”라고 칭할 수 있겠는가.
또 이르기를 “사상四象이 있음은 보여준 것이요, 글[]을 단 것은 고해준 것이다.”라고 하였으니, 그렇다면 는 상대되는 물건이다.
가 이미 의 아래의 글이라면 이 되는 것이니, 그렇다면 위의 ‘양의兩儀사상四象을 낳음’은 7․8․9․6을 이른 것이다.
그러므로 제유諸儒들이 사상四象을 7․8․9․6이라고 하였으니, 이제 이것을 따라 의의意義로 삼는다.
[繫辭焉 所以告] 의 아래에 단 것은 득실得失을 고해준 것이다.
[定之以吉凶 所以斷] ‘를 단 가운데에 행하는 일의 길흉吉凶을 정함은 그 행하는 일의 득실得失을 결단한 것임’을 말한 것이다.
에 이르기를 “하늘로부터 이하가 도와주어서 길하여 이롭지 않음이 없다.”라고 하니, 공자孔子가 말씀하였다. “는 도움이니, 하늘이 돕는 것은 순함이요, 사람이 돕는 것은 성신誠信함이다.
성신을 밟고 순함을 생각하며 또 현인賢人을 높인다. 이 때문에 하늘로부터 이하가 도와주어서 길하여 이롭지 않음이 없는 것이다.”
정의왈正義曰:[역왈易曰 자천우지自天祐之 吉无不利] 사람이 이 ‘사상四象은 보여준 것이요, 글을 단 것은 고해준 것이요,
길흉吉凶은 결단하여 행하는 것임’에 대하여 이것을 행하면 귀신鬼神이 도와주지 않음이 없어서 이롭지 않은 바가 없음을 말한 것이다. 그러므로 ≪주역周易≫의 대유괘大有卦 상구上九효사爻辭를 인용하여 증명한 것이다.
[子曰祐者助也] 위에 이미 ≪주역周易≫의 글을 인용하고 아래에서는 또 ≪주역≫의 이치를 해석하였다. 그러므로 “공자孔子가 말씀하였다. ‘는 도움이다.’”라고 한 것이다.
[天之所助者 順也 인지소조자人之所助者 신야信也 履信思乎順] 사람이 돕는 것은 오직 성신誠信함에 있으니(성신한 자를 도와주니), 이 상구上九가 능히 성신함을 이행하는 것이다.
하늘이 돕는 것은 오직 순함에 있으니, 이 상구上九가 항상 순함을 생각하는 것이다.
이미 성신함이 있고 순함을 생각하며 또 능히 현인賢人을 높이고 숭상한다. 이 때문에 하늘로부터 이하가 다 도와주어서 그 길함을 얻어 이롭지 않은 바가 없는 것이다.


역주
역주1 卽老子云一生二也 : ≪道德經≫에 “道는 하나를 낳고, 하나는 둘을 낳고, 둘은 셋을 낳고, 셋은 만물을 낳는다.[道生一 一生二 二生三 三生萬物]”라고 보인다.
역주2 兩儀生四象者……故唯云四象也 : 孔穎達은 兩儀를 天地로, 四象을 五行 중에 土를 뺀 四行(金․木․水․火)으로 본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兩儀는 陰(󰁌)․陽(⚊)을 가리키고, 四象은 太陽(⚌)․少陰(⚍)․少陽(⚎)․太陰(⚏)을 가리키는 것으로 본다.
朱子 역시 “兩儀는 처음 한 획을 그어 陰․陽을 나눈 것이요, 四象은 다음 두 번째 획을 그어 太․少를 나눈 것이다.[兩儀者 始爲一畫以分陰陽 四象者 次爲二畫以分太少]”라고 하였다.
역주3 四象生八卦者……加以坤艮之土爲八卦也 : 四象을 四行으로 보았기 때문에 八卦에 대해서도 五行과 연관하여 이와 같이 설명한 것이다. 그러나 무엇을 근거로 이와 같이 분류하였는지는 미상이다. 이 분류는 〈說卦傳〉에 나오는 八卦의 先天․後天 방위와도 맞지 않다. 孔穎達의 분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震☳․巽☴離☲坤☷․艮☶兌☱․乾☰坎☵
역주4 (王)[生] : 저본에는 ‘王’으로 되어 있으나, 四庫全書本에 의거하여 ‘生’으로 바로잡았다.
역주5 建立成就天下之器 : 經文의 ‘立成器’를 ‘기물을 건립하고 성취함’으로 해석한 孔穎達과 달리, 朱子는 “‘立’자의 아래에 빠진 글이 있는 듯하다.”라고 하였으며, 節齋 蔡淵은 “‘立’자 아래에 ‘象’자가 있어야 한다.”라고 하였는바, 이는 앞의 ‘備物致用’과 對를 맞추기 위한 것이다. ‘立象’은 아래 12장에 “聖人立象以盡意”라고 보인다.(≪周易傳義大全≫의 小註 참조)
역주6 (善)[大] : 저본에는 ‘善’으로 되어 있으나, 經文과 監本․毛本에 의거하여 ‘大’로 바로잡았다.(阮元의 〈校勘記〉 참조)
역주7 (得)[惡] : 저본에는 ‘得’으로 되어 있으나, 四庫全書本에 의거하여 ‘惡’로 바로잡았다.(阮元의 〈校勘記〉 참조)
역주8 璿璣玉衡 以齊七政 : 璇璣와 玉衡은 천체를 관측하는 기구로 후대의 渾天儀와 같은 것이다. ≪書經≫ 〈舜典〉에 “선기와 옥형으로 살펴 七政을 고르게 하셨다.[在璿璣玉衡 以齊七政]”라고 보인다. 七政은 日․月과 金․木․水․火․土의 五星을 가리킨다.
역주9 春秋緯 : 漢代에 나온 7종의 緯書 중 하나로, 吉凶․禍福을 예언하는 도참이 주된 내용이다.
역주10 [以四象] : 저본에는 ‘以四象’이 없으나, ≪周易集解纂疏≫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北京大 整理本 참조)
역주11 且又云易有四象……今則從以爲義 : 7․9․8․6은 少陽․老陽․少陰․老陰의 고유숫자인바, 여기에서는 四象을 이 넷으로 정의한 것으로, 이는 위의 ‘兩儀生四象’에 대한 疏의 설명과는 같지 않다.
역주12 (象)[爻] : 저본에는 ‘象’으로 되어 있으나, 글 뜻에 의거하여 ‘爻’로 바로잡았다.
역주13 (告所)[所以] : 저본에는 ‘告所’로 되어 있으나, 閩本․監本․毛本에 의거하여 ‘所以’로 바로잡았다.(阮元의 〈校勘記〉 참조)

주역정의(4) 책은 2022.01.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