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2)

상서정의(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九江 孔殷이로다
[傳]江於此州界 分爲九道하니 甚得地勢之中이라
○九江 潯陽地記云 一曰烏白江이요 二曰蚌江이요 三曰烏江이요 四曰嘉靡江이요
五曰畎江이요 六曰源江이요 七曰이요 八曰提江이요 九曰箘江이라하고
張須元緣江圖云 一曰三里江이요 二曰五州江이요 三曰嘉靡江이요 四曰烏土江이요
五曰白蚌江이요 六曰白烏江이요 七曰箘江이요 八曰沙提江이요 九曰廩江이라
參差隨水長短 或百里 或五十里 始於鄂陵하여 終於江口하고 會于桑落洲라하고
太康地記曰 九江 劉歆以爲湖漢九水 入彭蠡澤也라하니라
[疏]傳‘江於’至‘之中’
○正義曰:傳以江是此水大名, 九江謂大江分而爲九,
猶大河分爲九河, 故言‘江於此州之界, 分爲九道’. 訓孔爲甚, 殷爲中, 言‘甚得地勢之中’也.
鄭云 “殷, 猶多也. 九江從山谿所出, 其孔衆多, 言治之難也. 地理志九江在今廬江潯陽縣南, 皆東合爲大江.”
如鄭此意, 九江各自別源, 其源非大江也, 下流合於大江耳. 然則江以南水無大小, 俗人皆呼爲江,
或從江分出, 或從外合來, 故孔‧鄭各爲別解. 應劭注地理志云 “江自潯陽分爲九道.” 符於孔說,
潯陽記有九江之名 “一曰烏江, 二曰蚌江, 三曰烏白江, 四曰嘉靡江, 五曰畎江,
六曰源江, 七曰廩江, 八曰提江, 九曰箘江.” 雖名起近代, 義或當然.


九江의 물길이 매우 바르게 흘렀다.
江이 이 州의 地界에서 나뉘어 아홉 길을 이루었으니, 매우 地勢의 적중함을 얻은 것이다.
○九江에 대하여 ≪潯陽地記≫에서는 “첫째는 烏白江, 둘째는 蚌江, 셋째는 烏江, 넷째는 嘉靡江,
다섯째는 畎江, 여섯째는 源江, 일곱째는 廩江, 여덟째는 提江, 아홉째는 箘江이다.”라 하고,
張須元의 ≪緣江圖≫에서는 “첫째는 三里江, 둘째는 五州江, 셋째는 嘉靡江, 넷째는 烏土江,
다섯째는 白蚌江, 여섯째는 白烏江, 일곱째는 箘江, 여덟째는 沙提江, 아홉째는 廩江이다.
들쑥날쑥 물을 따라 이루어진 강들의 길이가 혹은 100리, 혹은 50리가 되는데, 鄂陵에서 시작하여 江口에서 끝나고, 桑落洲에서 모인다.”라 하고,
≪太康地記≫에서는 “九江은 劉歆이 ‘湖漢 아홉 가닥의 물이 彭蠡澤으로 들어가는 것이다.’라고 했다.” 하였다.
傳의 [江於]에서 [之中]까지
○正義曰:孔傳에서는 江을 이 물의 큰 이름으로 보았다. 九江은 大江이 나뉘어 아홉 가닥이 된 것을 이르니,
마치 大河가 나뉘어 九河가 된 것과 같기 때문에 ‘江이 이 州의 地界에서 나뉘어 아홉 길을 이루었다.’고 말한 것이다. 孔을 甚의 뜻으로, 殷을 中의 뜻으로 여기고서 ‘매우 地勢의 적중함을 얻었다.’라고 말한 것이다.
鄭玄은 “殷은 多와 같은 뜻이다. 九江은 山谿를 따라 나온 것이라 그 구멍이 많다는 뜻이니, 물을 다스리기 어려운 점을 말한 것이다. ≪漢書≫ 〈地理志〉에 九江은 지금의 廬江郡 潯陽縣 남쪽에 자리 잡고 있어 모두 동쪽으로 합하여 大江이 되었다고 하였다.”라고 하였다.
만일 鄭玄의 이 뜻대로라면 九江은 각자 별도의 근원을 가진 셈이니, 그 근원은 大江이 아니라 하류가 大江에 합했을 뿐이다. 그렇다면 양자강 이남은 물의 대소를 막론하고 세속 사람이 모두 ‘江’이라 부른 것이다.
혹은 양자강으로부터 나뉘어 나오기도 하고 혹은 밖으로부터 합해 오기도 했기 때문에 孔安國과 鄭玄이 각각 별도의 해석을 한 것이다. 應劭는 ≪漢書≫ 〈地理志〉에 주를 달기를 “江이 潯陽縣으로부터 나뉘어 아홉 길을 이루었다.”라고 하였으니, 孔安國의 說과 부합된다.
≪潯陽記≫에 九江의 이름이 있어 “첫째는 烏江, 둘째는 蚌江, 셋째는 烏白江, 넷째는 嘉靡江, 다섯째는 畎江,
여섯째는 源江, 일곱째는 廩江, 여덟째는 提江, 아홉째는 箘江이다.”라고 하였다. 강 이름들이 비록 근대에 생긴 것이기는 하지만 의미상으로는 혹 당연한 듯하다.


역주
역주1 (累)[廩] : 저본에는 ‘累’로 되어 있으나, 福建本‧汲古閣本‧武英殿本‧薈要本에 의거하여 ‘廩’으로 바로잡았다.

상서정의(2) 책은 2019.10.0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