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3)

상서정의(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傳]言習行不義 將成其性이라
○義 本亦作誼
弗狎于弗順케하리니 營于桐宮하여 密邇先王하면 其訓하여 無俾世케하리라
[傳]狎 近也 經營桐墓立宮하여 令太甲居之하여 近先王이면 則訓於義하여 無成其過하여 不使世人迷惑怪之리라
○近 附近之近이라
[疏]‘伊尹’至‘世迷’
○正義曰:伊尹以王未變, 乃告於朝廷群臣曰 “此嗣王所行, 乃是不義之事,
習行此事, 乃與性成.-言爲之不已, 將以不義爲性也.-我不得令王近於不順之事, 當營於桐墓立宮,
使近先王, 當受人敎訓之, 無得成其過失, 使後世人迷惑怪之.”
[疏]○傳‘狎近’至‘怪之’
○正義曰:狎習是相近之義, 故訓爲近也. 不順卽是近不順也. 習爲不義, 近於不順,
則當日日益惡, 必至滅亡, 故伊尹言 “己不得使王近於不順, 故經營桐墓, 立宮墓旁, 令太甲居之,
. 身見廢退, 必當改悔爲善也.”


伊尹이 말하였다. “이분(嗣王)이 〈익혀 행하는 것은〉 바로 불의한 일이니, 〈이 일을〉 익혀 〈행하면〉 천성과 더불어 이루어지게 될 것입니다.
不義를 익혀 행하면 장차 그 천성을 이루게 될 것이란 말이다.
○義는 어떤 本에는 또한 誼로 되어 있다.
나는 〈王으로 하여금〉 불순한 일을 가까이하지 못하도록 해야 하겠으니, 桐墓의 곁을 경영하여 宮을 세워서 先王과 가까이 있게 하면, 의리에 대한 교훈을 받아 세상 사람들로 하여금 미혹해 괴이하게 여기지 않게 할 수 있을 것이다.
狎은 近의 뜻이다. 桐墓 곁을 경영하여 宮을 세워서 太甲으로 하여금 거처시켜 先王을 가까이하게 하면 의리에 대한 교훈을 받아 과오를 이루는 일이 없어서 세상 사람들이 미혹해 괴이하게 여기지 않게 할 수 있을 것이다.
○近은 ‘附近’의 近이다.
經의 [伊尹]에서 [世迷]까지
○正義曰:伊尹은 王이 옛 습관을 바꾸지 못하기 때문에 이에 조정의 여러 신하들에게 고하기를 “이 嗣王이 행하는 것은 바로 불의한 일이니,
이 일을 익혀 행하면 곧 천성과 더불어 이루어지게 될 것이니,-계속 해나가게 되면 장차 불의를 천성으로 삼을 것이란 말이다.-나는 왕으로 하여금 불순한 일을 가까이 하지 못하게 하기 위하여 마땅히 桐墓의 곁을 경영하여 宮을 세워서,
先王을 가까이 하게 하여 남의 교훈을 받음으로써 그 과실을 이루어 후세 사람들로 하여금 의혹해 괴이하게 여기는 일이 없게 하겠다.”라고 한 것이다.
○傳의 [狎近]에서 [怪之]까지
○正義曰:〈狎은〉 狎習이니, 바로 서로 가까이하는 뜻이다. 그러므로 〈狎을〉 近으로 풀이한 것이다. 〈經文의〉 不順은 바로 불순한 일을 가까이 하는 것이다.
不義를 익혀 불순한 일을 가까이하면 응당 나날이 더욱 악해져서 반드시 멸망에 이를 것이기 때문에 伊尹이 말하기를 “내가 王으로 하여금 불순한 일을 가까이하지 못하게 하려 하기 때문에 桐墓를 경영하여 무덤의 곁에 宮을 세워 太甲으로 하여금 거기에 거처하게 해서,
그로 하여금 ‘朝政을 알지 못하였기 때문에 몸이 퇴출을 당했으니, 반드시 마땅히 허물을 고쳐 착한 일을 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 하겠다.”라고 하였다.


역주
역주1 伊尹曰……無俾世迷 : 蔡傳에서는 “伊尹이 말하기를 ‘이분이 하시는 바는 불의한 일이니, 惡을 익혀 性이 이루어진 것이다. 나는 의리를 따르지 않는 사람들과 가까이 하지 못하게 할 것이다.’라 하고, 이에 桐 땅에 宮을 세워 先王과 가까이 있게 해서, 그렇게 교훈하여 종신토록 혼미함이 없게 하였다.”라고 풀이하였으니, 그것은 宋代 夏僎이 “王이 이미 능히 善으로 바꾸지 못하자, 伊尹이 이에 조정 신하들에게 고하기를 ‘이분이 불의한 일을 자행하시니……나는 지금 다만 그분으로 하여금 불순한 일을 가까이 하지 못하게 할 뿐이다.……’라고 하고, 이에 桐宮을 成湯의 묘소 곁에 지어서 거기에 거처하며 아침저녁으로 先王의 교훈을 가까이에서 받게 해서 종신토록 혼미하여 善으로 돌아오지 못하는 일이 없도록 했다.”라고 한 뜻을 취한 것이다. 蔡傳에서 “의리를 따르지 않는 사람들과 가까이 하지 못하게 할 것이다.”라고 풀이한 점에 대하여 洪奭周는 “‘弗狎于弗順’을 ≪孟子≫의 글에 일찍이 인용하였고, 朱子는 이를 해석하기를 ‘「不順」은 太甲의 하는 짓이 의리를 따르지 않음을 말한 것이다.’라고 하였는데, 蔡傳에서는 ‘不順’을 의리를 따르지 않는 사람으로 여겼으니, 이미 朱子의 뜻이 아니고, 또 ‘習與性成’을 이미 그렇다는 말로 여겼으니, 모두 타당하지 못한 듯하다.”라고 하였다. ≪尙書補傳≫
역주2 玆乃不義……無俾世迷 : 宋代 錢時의 ≪融堂書解≫에도 “‘玆乃不義’에서 ‘無俾世迷’까지는 바로 조정에 있는 신하들과 桐宮에 관한 일을 논의할 때의 말이다.”라고 하여 모두 이윤의 말로 보았다.
역주3 : 蘇軾은 “‘迷’는 ‘懷寶迷邦(보배를 품고서 나라를 혼미하도록 내버려두다.)’의 迷와 같이 읽어야 하니, ‘내(伊尹)가 太甲을 교훈하여 바로잡지 않는다면 이는 도덕을 품고서 천하를 혼미하도록 내버려둔 꼴이다.’라는 말이다.[迷讀如懷寶迷邦之迷 我不訓正太甲 則是懷道以迷天下也]”라고 풀이하였다. ≪書傳≫
역주4 (此)[比] : 저본에는 ‘此’로 되어 있으나, “明監本‧毛本에는 ‘此’가 ‘比’로 되어 있으니, 살펴보건대 ‘比’자가 옳다.”라고 한 阮元의 校勘記에 의거하여 ‘比’로 바로잡았다.
역주5 不使復知朝政 : 뜻이 통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오서낙자가 있는 듯하다. 우선 ‘使知其不知朝政故’로 바로잡아서 풀이해둔다.

상서정의(3) 책은 2019.10.0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