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4)

상서정의(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執書以泣曰 其勿穆卜이로다
[傳]本欲敬卜吉凶이나 今天意可知 止之
勤勞王家어시늘 惟予沖人 弗及知러니
[傳]言己童幼하여 不及知周公昔日忠勤이라
今天 動威하사 以彰周公之德하시니
[傳]發雷風之威하여 以明周公之聖德이라
惟朕小子其 我國家禮 亦宜之라하시고
[傳]周公 以成王未寤 留東未還이어늘 改過自新하여 遣使者迎之 亦國家禮有德之宜
○新逆 馬本 作親迎이라


왕은 책서를 들고 울면서 말씀하였다. “穆卜을 하지 말 것이로다.
본래는 경건하게 吉凶을 점쳐보려고 하였으나 지금 하늘의 뜻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중지시킨 것이다.
예전에 (周公)께서 우리 王家를 위하여 勤勞하셨으나 나 어린 사람이 미처 알지 못하고 있었는데,
자신이 어려서 周公이 예전에 忠勤한 것을 미처 몰랐다고 말한 것이다.
지금 하늘이 위엄을 발동하여 周公을 밝혀 주셨으니,
우레와 바람의 위엄을 발하여 周公聖德을 밝힌 것이다.
小子가 〈허물을 고쳐 스스로〉 새로워져서 그분을 맞이하는 것이 우리 국가의 전례에 있어서 또한 마땅한 일이다.”라고 하시고,
周公이, 成王이 깨닫지 못하기 때문에 동쪽에 머물고 돌아오지 못하거늘, 〈成王이〉 과오를 고쳐 스스로 새롭게 하고서 使者를 보내 〈周公을〉 맞이하는 것이 또한 국가의 전례에 있어서 有德한 분을 예우하는 마땅한 일이라는 것이다.
○‘新逆’이 馬本에는 ‘親迎’으로 되어 있다.


역주
역주1 新逆 : 蔡傳에는 “살펴보면, 鄭氏의 ≪詩箋≫에 ‘成王이 이미 金縢의 궤 속에 소장된 책서를 발견하고 周公을 친히 맞이했다.’라고 하였으니, 鄭氏의 學은 伏生에게서 나왔고 이 篇은 伏生이 전한 것이니, 마땅히 ‘親’을 바른 것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親’을 잘못 新으로 쓴 것은 바로 ≪大學≫에서 ‘新’을 잘못 親으로 쓴 것과 같은 것이다.[按鄭氏詩傳 成王旣得金縢之書 親迎周公 鄭氏學出於伏生 而此篇則伏生所傳 當以親爲正 親誤作新 正猶大學新誤作親也]”라고 풀이하였는데, 이에 대하여 丁若鏞은 “‘新逆’과 ‘新迎’의 옳고 그른 것은 우선 그만두고라도 ‘鄭玄의 學이 伏生에게서 나왔다.’고 한 것은 이 무슨 말인가. 仲默(蔡沈)은 단지 注疏 1部만 가지고 刪潤, 取捨를 했을 뿐이고, 儒林의 傳授系統은 전연 상고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망발을 하게 된 것이다. 孔疏를 자세히 살펴보면, 鄭學의 淵源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을 가지고 말하면, 注疏 1部를 仲默 또한 자세히 살펴보지 못했던 것이다.[新逆新迎 姑捨是 鄭學出於伏生 是何言也 仲默但執注疏一部 刪潤取捨 而儒林傳授之統 全不溯攷 有此妄發 詳覽孔疏 則可知鄭學淵源 以此言之 注疏一部 仲默亦未嘗詳看]”라고 하였다.(≪尙書知遠錄≫)

상서정의(4)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