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4)

상서정의(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肆予沖人 永思艱하여 曰 嗚呼 允蠢이면 鰥寡哀哉인저
[傳]故 我童人注+成王 長思此難而歎曰 信蠢動天下하면 使無妻無夫者 受其害하리니 可哀哉인저하니라
予造天役하여 遺大하고 投艱于朕身이시니
[傳]我周家爲天下役事하여 遺我甚大하고 投此艱難於我身이라하니 言不得已
○予造 爲也 馬云 遺也라하니라
越予沖人 不卬自恤이라 爾邦君 越爾多士 尹氏 御事
[傳]言征四國 於我童人 不惟自憂而已 乃欲施義於汝衆國君臣上下至御治事者
○卬 我也
綏予曰 無毖于恤이어다 不可不成乃 圖功이니라
[傳]汝衆國君臣 當安勉我曰 無勞於憂하소서 不可不成汝寧祖聖考文武所謀之功이라하니
[疏]‘肆予沖’至‘圖功’
○正義曰:以汝等有難征之意, 我童子 注+成王 長思此難而歎曰 “嗚呼. 四國今叛,
信蠢動天下, 使鰥寡受害, 尤可哀哉. 我周家爲天下役事, 而遺我甚大, 乃投此艱難於我身.
此難須平, 不可以已. 今征四國, 於我童人, 不惟自憂而已, 乃欲施義於汝衆國君‧於汝多士尹氏治事之人.
如此爲汝計, 汝君臣當安勉我曰 ‘無勞於征伐之憂. 我諸侯當往共征四國.
汝王不可不成汝寧祖聖考所謀之功.’ 宜出此善言以助我, 何謂違我不欲征也.”
[疏]○傳‘我周’至‘得已’
○正義曰:爲天子者, 當役己以養天下, 故“我國家爲天下役事.” 總言周家當救天下, 此事遺我, 故爲甚大.
以大役遺我, 以爲甚大, 而又投擲此艱難之事於我身. 注+謂當己之時, 有四國叛逆. 言己職當靜亂, 不得以已也.
[疏]○傳‘言征’至‘事者’
○正義曰:卬, 我, 恤, 憂也. 四國叛逆, 害及衆國, 君得靜亂, 則爲大美. 注+言征四國.
於我童人, 不惟自憂而已, 乃欲施義於汝衆國君臣, 言難除則義施也.
[疏]○傳‘汝衆’至‘之助’
○正義曰:綏, 安也, 毖, 勞也. 言我旣施義於汝, 汝衆國君臣, 言得我之力,
當安慰勉勸我曰 “無勞於憂.” 令我無憂四國, 衆國自來征之.
經言‘寧’卽文王, ‘考’卽武王, 故言‘寧祖聖考’也. 王以衆國反己, 乃復設爲此言, 責其無善言助己.


그러므로 나 어린 사람이 어려운 일을 오래 생각해보니, 아! 진실로 저들이 꿈틀거린다면 〈피해당할〉 홀아비와 과부들이 애처롭다.
그러므로 나 어린 사람 注+成王이다. 이 이 어려운 일을 오래 생각하고 탄식하기를 “아! 진실로 천하에 꿈틀거린다면 아내 없는 홀아비와 남편 없는 과부로 하여금 그 해를 받게 할 것이니, 애처롭기 그지없다.”라고 한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천하의 역사를 하게 되어 〈하늘이〉 몹시 큰일을 〈나에게〉 물려주시고 어려운 일을 나의 몸에 던져주시니,
우리 나라가 천하의 역사를 하게 되어 〈하늘이〉 몹시 큰일을 나에게 물려주고 이 어려운 일을 나의 몸에 던져주었다고 한 것이니, 〈반란을 진정하는 일은〉 부득이함을 말한 것이다.
○‘予造’〈의 는〉 의 뜻이다. 馬融은 “의 뜻이다.”라고 하였다.
나 어린 사람에 있어서 나 스스로 걱정할 뿐만이 아니다. 그러므로 너희 나라 임금과 많은 인사와 尹氏와 일을 다스리는 이들에까지 의리를 베풀려고 하니,
지금 네 나라를 정벌하는 것은 나 어린 사람에 있어서 스스로 걱정할 일일 뿐만 아니다. 그러므로 너희 여러 나라의 君臣, 上下와 너희 일을 맡아 다스리는 여러 관리들에까지 의리를 베풀려고 한다는 말이다.
○‘’은 의 뜻이다.
〈너희 임금과 신하들은 마땅히〉 나를 위안하고 권면하기를 ‘〈정벌할〉 걱정에 너무 심려하지 마십시오. 당신의 寧考께서 도모하시던 을 이루지 않을 수 없습니다.’라고 말해야 할 것이다.
너희 여러 나라 君臣은 마땅히 나를 위안하고 권면하기를 “〈정벌할〉 걱정에 너무 심려하지 마십시오. 당신의 寧祖聖考이신 文王武王께서 도모하신 을 이루지 않을 수 없습니다.”라고 해야 한다는 것이니, 좋은 말로 도와줄 일을 책임지운 것이다.
의 [肆予沖]에서 [圖功]까지
正義曰:너희들이 정벌을 몹시 벅찬 일로 여기는 생각을 가지기 때문에 나 어린 사람 注+成王이다. 은 이 어려운 일을 오래 생각하며 탄식하기를 “아! 네 나라가 지금 반역을 하니,
진실로 천하에 꿈틀거린다면 홀아비와 과부들로 하여금 피해를 받게 할 것이니 더욱 애처롭다. 우리 나라가 천하의 역사를 하게 되어, 큰일을 나에게 물려주고 이 어려운 일을 나의 몸에 던져주었다.
이 대란은 평정해야 하니, 그만둘 수 없는 일이다. 지금 네 나라를 정벌하는 것은 나 어린 사람에 있어서 스스로 걱정할 일일 뿐만 아니다. 그러므로 너희 여러 나라의 임금과 그리고 너희 많은 인사와 尹氏와 일을 다스리는 이들에게까지 의리를 베풀려고 한다.
이와 같은 때에 너희를 위한 계책으로는, 너희 여러 나라 君臣이 마땅히 나를 위안하고 권면하여 말하기를 ‘정벌할 걱정에 대해 심려하지 마소서. 우리 諸侯들이 응당 가서 네 나라를 함께 정벌할 것입니다.
당신 왕께서는 당신의 寧祖聖考께서 도모하신 을 이루지 않을 수 없습니다.’라고 해야 할 것이다. 마땅히 이와 같이 좋은 말을 내어 나를 도와야 할 것인데, 어찌 나를 어기고 정벌을 하지 않으려는 생각을 하는가.”라고 하였다.
의 [我周]에서 [得已]까지
正義曰天子가 된 이는 마땅히 자신을 노역시켜 천하 사람들을 먹여 살려야 하기 때문에 “우리 국가는 천하의 역사를 하게 되었다.”라고 한 것이다. 총체적으로 말하면, 나라가 마땅히 천하를 구제해야 하는데, 이 일을 나에게 물려주었기 때문에 몹시 큰일이 된 것이다.
큰 역사를 나에게 물려준 것을 몹시 큰일로 삼았는데, 또 이 어려운 일을 나의 몸에 던져 주었다는 것은 注+자기 시대에 네 나라의 반역이 있음을 이른다. 자기의 직책이 응당 을 진정시키는 일이라 그만둘 수 없음을 말한 것이다.
의 [言征]에서 [事者]까지
正義曰:‘’은 의 뜻이고, ‘’은 의 뜻이다. 네 나라가 반역을 하여 가 여러 나라에 미쳤으므로 임금이 을 진정시킨다면 큰 아름다움이 될 것이다. 注+네 나라를 정벌함을 말한다.
나 어린 사람에 있어서 스스로 걱정을 할 뿐만 아니라, 이에 너희 여러 나라 君臣에게 의리를 베풀려 한다는 것이니, 난리가 제거되면 의리가 베풀어짐을 말한 것이다.
의 [汝衆]에서 [之助]까지
正義曰:‘’는 의 뜻이고, ‘’는 의 뜻이다. 내가 이미 너희에게 의리를 베풀었으니, 너희 여러 나라 君臣은 나의 힘을 얻었다 말하고서
마땅히 나를 위안시키고 권면하기를 “〈정벌할〉 걱정에 너무 심려하지 마십시오.”라고 하여 나로 하여금 네 나라에 대한 걱정이 없도록 하고 여러 나라가 스스로 와서 정벌함을 말한 것이다.
에서 말한 ‘’은 곧 文王이고, ‘’는 곧 武王이기 때문에 ‘寧祖聖考’라 한 것이다. 은 여러 나라가 자기를 반대하기 때문에 이에 다시 베풀어 이런 말을 해서 그들이 좋은 말로 자기를 도와주지 않는 것을 꾸짖은 것이다.


역주
역주1 : 蔡傳은 “의리로써 말하면[以義言之]”이라고 풀이하였다.
역주2 寧考 : 蔡傳은 武王만으로 보았다.
역주3 責其以善言之助 : 孔疏에서는 “좋은 말로 자기를 도와주지 않는 것을 꾸짖었다.[責其無善言助己]”라고 하여 ‘責’을 ‘책임지우다’로 해석한 孔傳과 다르게 풀이하였는데, 위아래의 상황으로 볼 때 孔疏의 풀이가 더 나은 것 같다.
역주4 (哉)[故] : 저본에는 ‘哉’로 되어 있으나, “各本에는 ‘哉’가 모두 ‘故’로 되어 있다.”라고 한 阮元의 校勘記에 의거하여 ‘故’로 바로잡았다.

상서정의(4)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