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4)

상서정의(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王曰 爾惟舊人이라 爾丕克遠省하나니 爾知寧王若勤哉인저
[傳]特命久老之人 知文王故事者 大能遠省識古事 汝知文王若彼之勤勞哉인저 目所親見이니 法之又明이라
하니 予不敢不極卒寧王圖事니라
[傳]閟 愼也 言天愼勞我周家하여 成功所在 我不敢不極盡文王所謀之事 謂致太平이라
[傳]我欲極盡文王所謀 大化天下하여 道我友國諸侯
予曷其不于前寧人 圖功攸終이리오
[傳]我何其不於前文王安人之道 謀立其功所終乎
天亦惟用勤毖我民 若有疾하시나니
[傳]天亦勞愼我民欲安之 如人有疾 欲已去之
曷敢不于前寧人攸受休하리오
[傳]天欲安民이어늘 我何敢不於前文王所受美命 終畢之
[疏]‘已予’至‘丕基’
○正義曰:旣敍衆國之情, 告以必征之意, “已乎. 我惟小子, 不敢廢上帝之命.
卜吉不征, 是廢天命. 從卜而興, 乃有故事. 天休美於安天下之文王興我小國周者, 以安民之王, 惟卜是用,
以此之故, 安受此上天之命. 注+明卜宜用之. 今天助民矣, 十夫佐周, 是天助也.
人事旣驗, 況亦如文王惟卜之用, 吉可知矣.” 嗚呼而歎, “天之明德可畏也, 輔成我周家大大之基業. 卜旣得吉, 不可違也.”
[疏]○傳‘人獻’至‘文王’
○正義曰:天之助民, 乃是常道, 而云 “民獻十夫.” 是天助民者, 下云 “亦惟十人, 迪知上帝命.” 故以民獻十夫, 爲天助民也.
○‘王曰爾’至‘休畢’
○正義曰:旣述文王之事, 王又命於衆曰, “汝惟久老之人, 汝大能遠省識古事, 汝知寧王若此之勤勞哉.
以老人目所親見, 必知之也. 以文王勤勞如此, 故天命愼勞來我周家, 當至成功所在.
天意旣然, 我不敢不極盡文王所謀之事. 文王謀致太平, 我欲盡行之.
我欲盡文王所謀, 故我大爲敎化, 勸誘我所友國君, 共伐叛逆. 天旣輔助, 我周家, 有大化誠辭, 其必成就我之衆民.
天意旣如此矣, 我何其不於前文王安民之道, 謀立其功之處所而終竟之乎. 天亦惟勞愼我民, 若人有疾病, 而欲已去之.
天意於民如此之急, 我何敢不於前安人文王所受美命終畢之乎.
以須終畢之故, 故當誅除逆亂, 安養下民, 使之致太平.”
[疏]○傳‘閟愼’至‘太平’
○正義曰:“閟 愼”, 釋詁文. “天愼勞我周家”者, 美其德當天心, 愼惜又勞來勸勉之, 使至成功所在, 在於致太平也.
天意欲使之然, 我爲文王子孫, 敢不極盡文王所謀之事. 文王本謀, 謂致太平.
[疏]○傳‘言我’至‘民矣’
○正義曰:釋詁云 “棐, 輔也, 忱, 誠也.” 文承‘大化’之下,
知輔誠辭者, “言周家有大化誠辭, 爲天所輔.” ‘其成我民’, 必爲民除害, 使得成也.
[疏]○傳‘天亦’至‘去之’
○正義曰:‘亦’者, 亦民之義也. 君民共爲一體, 天愼勞使成功,
亦當勤勞民使安寧, 故言‘亦’也. 如疾, 欲已去之, 言天急於民至甚也.
[疏]○傳‘天欲’至‘畢之’
○正義曰:上云 “卒寧王圖事.” 又云 “圖功攸終.” 此云 “攸受休畢.” ‘畢’, 終也.
三者文辭略同, 義不甚異. 天意惟言當終文王之業, 須征逆亂之賊, 周公重兵愼戰, 丁寧以勸民耳.


왕께서 말씀하였다. “너희들은 오래된 사람인지라, 너희들은 크게 능히 먼 지난 일도 살필 수 있을 것이니, 너희들은 寧王께서 얼마나 부지런하셨는가를 알 것이다.
특별히 명하여 “오래된 노인은 文王故事를 아는 분이라, 크게 능히 먼 옛날 일도 살펴 알 것이니, 너희는 文王이 저처럼 勤勞하셨음을 알 것이다.”라고 한 것이다. 눈으로 직접 본 것이니, 그를 본받은 것이 또 분명하다는 것이다.
하늘이 우리를 신중히 아끼고 위로해 오게 해서 성공이 있게 하시니, 나는 감히 寧王께서 도모하시던 일을 잘 마무리하지 않을 수 없느니라.
’는 의 뜻이다. 하늘이 우리 나라를 신중히 아끼고 위로해 〈오게 해서〉 성공이 있도록 하시니, 나는 감히 文王께서 도모하신 일을 극진히 하지 않을 수 없다는 말이니, 太平을 이룸을 이른 것이다.
그러므로 나는 〈천하를〉 크게 교화하여 우리 友邦의 임금들을 권유하노니,
나는 文王이 도모하신 일을 극진히 달성하려고 하기 때문에 크게 천하를 교화하여, 우리 우방인 諸侯들에게 〈함께 반역자들을 칠 것을〉 誘導한다는 것이다.
하늘이 크게 교화한다는 誠信한 말은 우리 백성들을 성취시키는 것이거늘,
우리 나라에 크게 교화한다는 성신한 말이 있는 것은 하늘의 도움을 받아 백성들을 성취시키는 것을 말한 것이다.
내 어찌 전의 寧人에 대하여 공을 마무리할 것을 도모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내가 어찌 전의 文王께서 사람을 편안하게 하신 에 대하여 그 공을 잘 마무리할 대책을 세울 것을 도모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라는 것이다.
하늘이 또한 우리 백성들을 위로해 오게 하고 신중히 아끼기를 마치 병이 있을 적에 치료를 서두르듯이 하시는데,
하늘이 또한 우리 백성들을 위로해 오게 하고 신중히 아끼어 편안하게 하고자 하기를 마치 사람에게 질병이 있을 때에 제거시키려고 하듯이 한다는 것이다.
내 어찌 감히 전에 寧人께서 받으신 아름다운 에 대하여 잘 마무리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하늘이 백성들을 편안하게 하려고 하거늘, 내가 어찌 감히 전에 文王께서 받으신 아름다운 에 대하여 잘 마무리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라는 것이다.
의 [已予]에서 [丕基]까지
正義曰:이미 여러 나라의 정황을 펴서 반드시 정벌해야 할 뜻을 고하고 난 다음, “아! 나 小子는 감히 上帝을 폐기하지 못하겠노라.
점괘가 길한데도 정벌하지 않으면 이것은 하늘의 명을 폐기하는 것이니라. 점괘를 따라 흥기한 것은 바로 故事가 있느니라. 하늘이 천하를 안정시킨 文王께서 우리 작은 나라인 나라를 일으킨 일을 아름답게 여긴 것은 백성을 편안하게 하신 文王께서 점괘를 이용했기 때문이니,
이 때문에 上天을 편안히 받은 것이다. 注+점괘는 마땅히 이용해야 함을 밝힌 것이다. 지금 하늘이 백성을 도우신지라 열 사람이 나라를 도왔으니, 이것은 하늘이 도운 것이니라.
인간의 일이 이미 징험하였는데도, 하물며 또한 文王 같은 분이 점괘를 이용하셨으니, 그 길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라고 하고, 또 ‘嗚呼’라고 탄식하면서 “하늘의 밝은 이 두려운 것은 우리 나라의 크고 큰 基業을 도와 이루기 때문이다. 점을 쳐서 이미 吉卦를 얻었으니, 어길 수 없느니라.”라고 하였다.
의 [人獻]에서 [文王]까지
正義曰:하늘이 백성을 돕는 것이 바로 떳떳한 도리인데, “그의 백성 중에 어진 이 열 명이 찾아왔다.”라고 한 것이 바로 하늘이 백성을 돕는 것이니, 아래에 “또한 열 사람이 上帝을 알아서 이행했다.”라고 했기 때문에 ‘民獻十夫’를 하늘이 백성을 돕는 것으로 여겼다.
의 [王曰爾]에서 [休畢]까지
正義曰:이미 文王의 일을 서술하고 나서, 이 또 대중에게 명하였다. “너희는 오래된 노인인지라 너희는 크게 능히 먼 옛날 일도 살펴 알 것이니, 너희는 文王이 그처럼 勤勞하셨음을 알 것이다.
노인의 눈으로 직접 본 것이니, 반드시 알 것이다. 文王勤勞가 그와 같았기 때문에 天命이 우리 나라를 신중히 아끼고 위로해 오게 해서 성공이 있도록 하셨다.
하늘의 뜻이 이미 그러하였으니, 나는 감히 文王께서 도모하신 일을 극진히 하지 않을 수 없다. 文王께서 도모하여 태평시대를 이루셨으니 나는 모두 행하려고 한다.
내가 文王께서 도모하신 바를 다하려고 하기 때문에 내가 크게 敎化하여 나의 우방인 임금들에게 함께 반역자들을 칠 것을 권유한다. 하늘이 이미 도우시므로 우리 나라에 크게 교화한다는 성신한 말이 있으니, 반드시 우리 여러 백성을 성취시킬 것이다.
하늘의 뜻이 이미 이와 같은데, 내 어찌 전에 文王께서 사람을 편안하게 하신 에 대하여 그 공을 잘 마무리할 대책을 세울 것을 도모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하늘은 또한 우리 백성들을 위로해 오게 하고 신중히 아끼기를 마치 사람에게 질병이 있을 때에 제거시키려고 하듯이 하니,
하늘의 뜻이 백성에 대하여 이처럼 급하게 서두르는데, 내 어찌 감히 전에 사람을 편안케 하신 文王께서 받으신 아름다운 에 대하여 잘 마무리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모름지기 잘 마무리해야 하기 때문에 마땅히 반역의 을 베어 제거하여 백성을 편안히 길러서 태평시대를 이루어야 할 것이다.”
의 [閟愼]에서 [太平]까지
正義曰:“ ”은 ≪爾雅≫ 〈釋詁〉의 글이다. “하늘이 우리 나라를 신중히 아끼고 위로해 오게 한다.”라는 것은 그 이 하늘의 마음에 딱 맞는 것을 아름답게 여긴 것이고, 신중히 아끼고 또 위로해 오게 하고 권면하여 성공이 있는 바에 이르게 한 것은 태평시대를 이루게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었던 것이다.
하늘의 뜻이 그렇게 되게 하려고 하는데, 나는 文王의 자손으로서 감히 文王께서 도모하신 일을 극진히 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文王께서 본래 도모하신 것은 태평시대를 이루려는 것이었다.
의 [言我]에서 [民矣]까지
正義曰:≪爾雅≫ 〈釋詁〉에 “‘’는 의 뜻이고, ‘’은 의 뜻이다.”라고 하였다. 글이 ‘大化’의 아래를 이어받았기 때문에
輔誠辭(經文棐忱辭)’는 “우리 나라에 크게 교화한다는 성신한 말이 있는 것은 하늘의 도움을 받았음을 말한 것”임을 〈공안국은〉 알았던 것이다. ‘其成我民’은 반드시 백성들을 위해 를 제거하여 성취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의 [天亦]에서 [去之]까지
正義曰:‘’자는 ‘또한 백성도’라는 뜻이다. 임금과 백성은 함께 一體가 되므로 하늘이 신중히 아끼고 위로해 오게 해서 공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니,
또한 마땅히 백성들에게 勤勞하여 안녕하도록 하기 때문에 ‘’자를 말한 것이다. ‘如疾 欲已去之’는 하늘이 백성들에 대하여 급하게 서두름이 매우 심함을 말한 것이다.
의 [天欲]에서 [畢之]까지
正義曰:위에서 “寧王께서 도모하시던 일을 잘 마무리한다.”라고 하고, 또 “공을 마무리할 것을 도모한다.”라고 하고, 여기서 “받으신 아름다운 事功에 대하여 잘 마무리한다.”라고 하였으니, ‘’은 의 뜻이다.
세 문구는 文辭가 대략 같으니 뜻이 아주 다르지 않다. 하늘의 뜻은 오직 文王功業을 마무리할 것만 말하였기 때문에 모름지기 逆亂을 정벌해야 하겠으나, 周公은 군사를 내는 일과 전쟁을 하는 일을 신중하게 하기 때문에 되풀이해서 백성들을 권면했던 것이다.


역주
역주1 天閟毖我 成功所 : 蔡傳은 ‘閟’를 否閉의 뜻으로, ‘毖’를 艱難의 뜻으로 보고, 毖와 所에 句를 끊어 “하늘이 막고 어렵게 만든 데에는 바로 우리가 공을 이룰 수 있는 좋은 기회가 있는 것이니”로 풀이하였고, 조선시대 李瀷(≪書疾書≫)은 “〈하늘이〉 묵묵히 우리의 성공할 바에 勤勞한 것이다. 閟毖는 陰隲과 같은 말이다.[陰以勤勞於我成功之所也 閟毖猶言陰隲也]”라고 풀이하였다.
역주2 肆予大化 誘我友邦君 : 蔡傳에서는 ‘化’는 그들의 固滯(편협하고 고집스러움)를 용해시키는 것으로, ‘誘’는 그들이 순종하도록 권유하는 것으로 보고 ‘君’에 句를 끊어서 “그러므로 나는 우리 友邦의 임금들을 크게 鎔化하여 권유하노니”로 풀이하였다.
역주3 天棐忱辭 其考我民 : 蔡傳은 ‘考’를 察의 뜻으로 보아 “하늘이 성신으로 돕는다는 말을 우리 백성들에게 살펴서 볼 수 있거늘”로 풀이하였다.
역주4 言我周家……其成我民矣 : 兪樾(≪群經平議≫)은 “아랫글의 ‘越天棐忱’과 〈康誥〉의 ‘天畏棐忱’과 〈君奭〉의 ‘若天棐忱’은 모두 ‘忱’자에 句를 끊었으니, 이 또한 당연한 것이다. 종래에 ‘天棐忱辭’를 句로 한 것은 잘못이다. ‘棐’를 輔의 뜻으로 풀이한 것은 비록 ≪爾雅≫ 〈釋詁〉의 글에 근거한 것이나 옛날 글자는 假借한 것이 많으니, 일률적으로 本字를 가지고 해석할 수 없는 것이다. 經文에서 무릇 ‘棐忱’이라 말한 것은 모두 응당 非의 뜻으로 읽어야 한다. 옛날에는 ‘棐’자와 ‘匪’자를 통용하였으니, 무릇 ‘棐忱’이라 말한 것은 ‘非忱’이라 말한 것과 같다. ‘辭’자는 아래에 붙여서 읽으니, ‘辭’는 바로 ‘嗣’의 假字이다. 이는 ‘予不敢不極卒寧王圖事’를 이어서 말한 것이니, ‘嗣其考我民’이란 것은 天命은 일정하지 않으니, 嗣王은 마땅히 먼저 우리 백성을 성취시켜야 함을 이른 것이다. 〈高宗肜日〉篇의 ‘王司敬民’을 ≪史記≫에서는 ‘王嗣敬民’으로 적었으니, 이 經文의 ‘嗣其考我民’과 文義가 정말 서로 가깝다. ‘司’로 적거나 ‘辭’로 적는 것은 모두 假借字이다. 王莽의 〈大誥〉에 ‘天輔誠辭’라고 하였으니, 그것을 잘못 읽은 지 이미 오래였다.[下文曰 越天棐忱 康誥曰 天畏棐忱 君奭曰 若天棐忱 竝于忱字絶句 此亦當然 自來以天棐忱辭爲句 非也 棐之訓輔 雖本爾雅釋詁文 然古字多假借 不得槪以本字釋之 經凡言棐忱者 竝當讀爲非 古棐匪字通 凡言棐忱者 猶言非忱也 辭字屬下讀 辭乃嗣之假字 此承予不敢不極卒寧王圖事而言 嗣其考我民者 謂天命不常 嗣王宜先成我民也 高宗肜日篇 王司敬民 史記作王嗣敬民 此經云嗣其考我民 文義正相近 作司作辭 竝假字也 莽誥作天輔誠辭 則失其讀久矣]”라고 하였다.

상서정의(4)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