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4)

상서정의(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王曰 嗚呼 越爾御事하노라
[傳]歎今伐四國必克之 以告諸侯及臣下御治事者
爽邦하고 哲亦惟하여 上帝命하며
[傳]言其故 有明國事하고 用智道十人하여 蹈知天命이니 謂人獻十夫來佐周
이시니라 爾時 罔敢易法이어늘 矧今 降戾于周邦
[傳]於天輔誠이니라 汝天下 是知無敢易天法이어늘 況今天下罪於周하여 使四國叛乎
惟大艱人 誕隣하여 胥伐于厥室이어늘 爾亦不知天命不易이로다
[傳]惟大爲難之人 謂三叔也 大近相伐於其室家 謂叛逆也 若不早誅 汝天下 亦不知天命之不易也
[疏]‘王曰鳴’至‘不易’
○正義曰:旣言四國無救之者, 王曰, 又言歎今伐四國必克之, 故告汝衆國君, 及於汝治事之臣.
所以知必克, 故, 有明國事, 用智道者,
此人皆蹈知上天之命, 注+謂民獻十夫來佐周家, 此人旣來, 克之必也.
於我天輔誠信之, 故汝天下是知無敢變易天法者, 若易法無信, 則上天不輔, 故無敢易法也.
況今天下罪於周國, 使四國叛逆. 惟大爲難之人, 注+謂三叔等. 大近相伐於其室家, 自欲拔本塞源, 反害周室, 是其爲易天法也.
彼變易天法, 不早誅之, 汝天下亦不知天命之不可變易也.
[疏]○傳‘言其’至‘佐周’
○正義曰:此其必克之故也. ‘爽’, 明也, ‘由’, 用也. ‘有明國事 用智道’, 言其有賢德也. 蹈天者, 識天命而履行之.
此言‘十人’, 謂上文民獻十夫來佐周家者. 此是賢人, 賢人旣來, 彼無所與, 是必克之效也.
王肅云 “我未伐而知民弗救者, 以民十夫用知天命故也.”
[疏]○傳‘於天’至‘叛乎’
○正義曰:‘於天輔誠’, 言天之所輔, 必是誠信. 汝天下於是觀之, 始知無敢變易天法.
若易天法, 則天不輔之, 況今天下罪於周, 使四國叛乎. 以小況大, 易法猶尙不可, 況叛逆乎.
[疏]○傳‘惟大’至‘不易’
○正義曰:以下句言相伐於其室家, 室家自相伐, 知惟大爲難之人, 謂三叔也.
“大近相伐於其室家”者, 三叔爲周室至親, 而擧兵作亂, 是室家自相伐.
爲叛逆之罪, 是變易天法之極, 若汝諸國不肯誅之, 是汝天下亦不知天命之不可變易也.
王肅云 “惟大爲難之人, 謂管蔡也. 大近相伐於其室家, 明不可不誅也. 管蔡犯天誅而汝不欲伐, 則亦不知天命之不易也.


왕께서 또 말씀하였다 “아! 그러므로 〈나는〉 너희 여러 나라의 임금과 너희 일을 다스리는 이들에게 〈고하노라.〉
지금 네 나라를 정벌하면 반드시 이길 수 있음을 탄식하였다. 그러므로 제후 및 일을 다스리는 신하들에게 고한 것이다.
〈그 까닭을 말하면〉 國事에 밝고 지혜와 도리를 쓰는 열 사람이 있어 上帝을 알아서 이행하며,
그 까닭을 말하면 국사에 밝고 지혜와 도리를 쓰는 열 사람이 있어 하늘의 을 알아서 이행하며, 인민 중에 어진 열 사람이 와서 나라를 도운 것을 이른다.
우리에 대하여 하늘이 그 誠信함을 도와주셨기 때문이니라. 너희들은 여기에서 감히 天法은 변역할 수 없음을 알았거늘, 하물며 지금 하늘이 나라에 를 내리심에랴.
〈우리에 대하여〉 하늘이 그 誠信함을 도와주었기 때문이니라. 너희 天下(나라)는 여기에서 감히 天法은 변역할 수 없는 것임을 알았거늘, 하물며 지금 하늘이 나라에 죄를 내려서 네 나라로 하여금 반역을 하게 함에랴.
크게 난리를 일으킨 사람들이 매우 가까이 있어 서로 그 집안을 공벌하고 있거늘, 너희들 또한 天命은 변역할 수 없는 것임을 알지 못한다.
“크게 난리를 일으킨 사람들”이란 三叔을 이른 것이고, “매우 가까이 있어 서로 그 집안을 공벌한다.”란 叛逆을 이른 것이다. 만일 일찍이 〈周室을 해치는 三叔을〉 주벌하지 않는다면 너희 天下(나라) 또한 하늘의 은 변역할 수 없는 것임을 알지 못한 게란 것이다.
의 [王曰鳴]에서 [不易]까지
正義曰:네 나라는 구제할 자가 없을 것임을 이미 말하고 나서 ‘王曰’을 내세워 또 말씀하였다. “嗚呼라! 지금 네 나라를 정벌하면 반드시 이길 수 있다. 그러므로 너희 여러 나라의 임금 및 너희 일을 다스리는 신하들에게 고하노라.
반드시 이길 수 있음을 안 까닭은 국사에 밝고 지혜와 도리를 쓰는 자가 있었기 때문이고,
또한 열 사람이 있어 이들이 上帝을 알아서 이행하였기 때문이다. 注+백성 중에 어진 열 사람이 와서 나라를 도운 일을 말한다. 이 사람들이 이미 왔으니 이길 것임은 필연적인 일이다.
우리에 대하여 하늘이 그 誠信함을 돕기 때문이다. 너희 天下(나라)는 여기에서 감히 天法은 변역할 수 없는 것임을 알게 되었는데, 만약 을 변역하여 성신이 없다면 上天이 돕지 않기 때문에 감히 법을 변역할 수 없다.
하물며 지금 하늘이 나라에 죄를 내리어 네 나라로 하여금 반역하도록 하였음에랴. 대란을 일으키는 사람들이 注+三叔을 이른다. 매우 가까이 있어 서로 그 집안을 공벌하여 스스로 근본을 뽑아 없애버리려 해서 도리어 周室을 해치니, 이것이 그 天法을 변역하는 것이다.
저들이 天法을 변역하는데, 만일 그들을 일찍 주벌하지 않는다면 너희 天下 또한 天命은 변역할 수 없는 것임을 알지 못할 것이다.”
의 [言其]에서 [佐周]까지
正義曰:이것이 그 반드시 이길 수 있는 까닭이다. ‘’은 의 뜻이고, ‘’는 의 뜻이다. ‘有明國事 用智道’란 것은 그들에게 賢德이 있음을 말한 것이다. ‘蹈天’이란 것은 天命을 알아서 이행하는 것이다.
여기서 말한 ‘十人’은 윗글의 “백성 중에 어진 이 열 명이 와서 나라를 도왔다.”라고 이른 것이 바로 이 賢人인데, 賢人이 이미 왔으므로 저기에는 더불어 의논할 사람이 없으니, 이것이 반드시 이길 수 있는 효험인 것이다.
王肅은 말하기를 “우리가 정벌해보지도 않은 상태에서 백성들이 구제하지 않을 것임을 아는 것은 백성 중에 열 사람이 天命을 알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의 [於天]에서 [叛乎]까지
正義曰:‘於天輔誠’은 하늘이 돕는 것은 반드시 이 誠信임을 말한 것이다. 너희 천하는 여기에서 보고 감히 天法은 변역할 수 없는 것임을 비로소 알았을 것이다.
만일 天法을 변역한다면 하늘이 돕지 않는 법인데, 하물며 지금 하늘이 나라에 죄를 내리어 네 나라로 하여금 반역을 하도록 함에랴. 작은 것으로 큰 것을 비유하면 을 변역하는 것도 오히려 불가하거늘 하물며 반역이야 더 말할 것이 있겠느냐라는 것이다.
의 [惟大]에서 [不易]까지
正義曰:아랫 에서 말한 “서로 그 집안을 공벌한다.”라고 한 것은 집안이 스스로 서로 공벌하는 것이니, 크게 난리를 일으킨 사람이 三叔을 이른 것임을 〈공안국은〉 알았던 것이다.
“매우 가까이 있어서 서로 그 집안을 공벌한다.”라고 한 것은 三叔周室至親으로서 군사를 들어 을 일으켰으니, 이것이 집안이 스스로 서로 공벌한 것이었다.
叛逆을 한 죄가 바로 天法을 변역하는 최상의 죄목이니, 만일 너희 여러 나라가 그들을 주벌하지 않으려고 한다면 이는 너희 천하 또한 天命은 변역할 수 없는 것임을 알지 못하는 것이다.
王肅은 말하기를 “크게 난리를 일으킨 사람은 管叔蔡叔을 이른다. ‘매우 가까이 있어서 서로 그 집안을 공벌한다.’는 것은 주벌하지 않을 수 없음을 밝힌 것이다. 管叔蔡叔이 하늘의 誅伐을 범하였는데 너희가 정벌하고 싶어 하지 않는다면 또한 天命은 변역할 것이 아니라는 점을 모르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역주
역주1 肆哉爾庶邦君 : 앞의 經文 “肆予告我友邦君”과 語法이 같은 것으로 볼 때 ‘肆哉’는 ‘肆我’의 誤記인 것 같다. 그래서 이에 따라 번역해둔다.
역주2 : 古本에는 ‘用’으로 되어 있다.
역주3 十人 : 蘇軾과 林之奇는 ‘民獻十夫’로 본 孔傳을 따랐고, 蔡傳은 ‘亂臣十人’으로 보았다.
역주4 迪知 : 孔疏는 “天命을 알아서 이행하는 것이다.[識天命而履行之]”라고 하였다.
역주5 爽邦……越天棐忱 : 蔡傳은 ‘越’을 及의 뜻으로 보고 ‘邦’, ‘哲’, ‘人’, ‘命’, ‘忱’에 句를 끊어서 “옛날 武王이 大命을 나라에 밝힐 수 있었던 것은 모두 밝은 지혜를 가진 선비들이 있었기 때문이며, 또한 亂臣 열 명이 天命을 알아서 이행했기 때문이며, 그리고 하늘이 武王의 誠信을 도와 商나라의 受를 이기게 했기 때문이었다.[昔武王之明大命於邦 皆由明智之士 亦惟亂臣十人 蹈知天命 及天輔武王之誠 以克商受]”라고 풀이하였다.
역주6 [我] : 저본에는 없으나 疏文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7 (者)[之] : 저본에는 ‘者’로 되어 있으나, 앞 傳文의 ‘必克之故’에 의거하여 ‘之’로 바로잡았다.
역주8 有明國事用智道者 亦惟有十人 : “국사에 밝고 지혜와 도리를 쓰는 열 사람이 있다.……”라고 한 孔傳과 다르게 풀이하고 있다.
역주9 (君)[若] : 저본에는 ‘君’으로 되어 있으나, “毛本에는 ‘君’이 ‘若’으로 되어 있다.”라고 한 阮元의 校勘記에 의거하여 ‘若’으로 바로잡았다.

상서정의(4)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