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4)

상서정의(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泰誓下 第三
孔氏 傳 孔穎達 疏
時厥明 乃大巡六師하사 明誓衆士하시다
[傳]是其戊午明日 師出以律하고 三申令之 重難之義 衆士 百夫長已上이라
[疏]傳‘是其’至‘已上’
○正義曰:上篇未次而誓, 故略言“大會.” 中篇旣次乃誓, 爲文稍詳, 故言“以師畢會.”
此篇最在其後, 爲文亦詳, 故言“大巡六師.” 巡遶周徧大其事, 故稱‘大’也. 師者, 衆也.
天子之行, 通以六師爲言, 於時諸侯盡會, 其師不啻六也.
‘師出以律’, 易師卦初六爻辭也. 律, 法也. 行師以法, 卽誓勅賞勸是也. 禮成於三, 故爲三篇之誓.
三度申重號令, 爲重愼艱難之義也. 孫子兵法 “三令五申之.” 此誓三篇, 亦爲三令之事也.
牧誓王所呼者, 從上而下, 至百夫長而止, 知此衆士是百夫長已上也.


그 다음 날 왕께서 六師(六軍)를 크게(두루) 돌아보시고 여러 군사에게 분명하게 誓戒하셨다.
戊午日 그 다음 날 군대가 규율에 맞게 출동하고, 세 차례에 걸쳐 을 내린 것은 중난하게 여기는 뜻에서였다. ‘衆士’는 百夫長 이상이다.
의 [是其]에서 [已上]까지
正義曰上篇은 아직 머물러 자리잡지 못한 상태에서 誓戒했기 때문에 간단하게 “크게 모였다.”라고만 말한 것이다. 中篇은 이미 머물러 자리잡고 나서 誓戒하여 글을 지은 것이 조금 자상하였기 때문에 “군대를 거느리고 다 모였다.”라고 말한 것이다.
은 가장 뒤에 있고 글을 지은 것 또한 자상하기 때문에 “크게 六師(六軍)를 돌아보았다.”라고 말한 것이다. 돌아도 보고 둘러도 보아 그 일을 크게 다루었기 때문에 ‘’라고 칭한 것이다. 의 뜻이다.
天子의 행차에는 통상적으로 六師를 가지고 말하는데, 이때에는 諸侯들이 다 모였으니, 그 군사의 규모가 六師 정도만이 아니었을 것이다.
[師出以律] ≪周易師卦初六爻辭이다. 의 뜻이다. “군대를 법도에 맞게 움직인다.”는 것은 곧 誓戒로 신칙하고 상으로 권면하는 것이 이것이다. 는 세 번에 걸쳐 이루지는 것이기 때문에 3誓戒를 만든 것이다.
세 번에 걸쳐 거듭 호령한 것은 거듭 신중을 기하고 어렵게 여기는 뜻에서였다. ≪孫子兵法≫에 “세 번 명령하고 다섯 번 거듭하였다.”라고 했는데, 이 誓戒 3 또한 세 번 명령하는 일이다.
牧誓〉에서 呼稱한 대상이 위로부터 아래로 내려가 百夫長에 이르러서 그쳤으니, 여기의 衆士가 바로 百夫長 이상인 점을 〈공안국은〉 알았던 것이다.



상서정의(4)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