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4)

상서정의(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無偏하여 遵王之義하며
[傳]偏 不平이요 不正이니 言當循先王之正義하여 以治民이라
[傳]言無有亂爲私好惡하여 動必循先王之道路
無偏無黨하면 王道蕩蕩하며
[傳]言開闢이라
無黨無偏하면 王道平平하며
[傳]言辯治
無反無側하면 王道正直하리니
[傳]言所行無反道不正이면 則王道平直이라
[傳]言會其有中而行之 則天下皆歸其有中矣리라
[疏]‘無偏’至‘有極’
○正義曰:更言大中之體. 爲人君者, 當無偏私, 無陂曲, 動循先王之正義.
無有亂爲私好, 謬賞惡人, 動循先王之正道. 無有亂爲私惡, 濫罰善人, 動循先王之正路.
無偏私, 無阿黨, 王家所行之道, 蕩蕩然開闢矣. 無阿黨, 無偏私, 王者所立之道 平平然辯治矣.
所行無反道, 無偏側, 王家之道正直矣. 所行得無偏私皆正直者,
會集其有中之道而行之, 若其行必得中, 則天下歸其中矣, 言人皆謂此人爲大中之人也.
[疏]○傳‘偏不’至‘治民’
○正義曰:‘不平’謂高下, ‘不正’謂邪僻, 與下‘好’‧‘惡’‧‘反’‧‘側’其義一也.
偏頗阿黨, 是政之大患, 故箕子殷勤言耳. 下傳云 “無有亂爲私好私惡”者, 人有私好惡則亂於正道, 故傳以‘亂’言之.
[疏]○傳‘言會’至‘中矣’
○正義曰:‘會’謂集會. 言人之將爲行也, 集會其有中之道而行之, 行實得中, 則天皆歸其爲有中矣.
‘天下’者, 大言之. 論語云 “一日克己復禮, 天下歸仁焉.” 此意與彼同也.


치우침도 없고 기울어짐도 없어 先王正義를 따를 것이며,
’은 평평하지 못한 것이고, ‘’는 바르지 못한 것이니, 마땅히 先王正義를 따라서 백성을 다스려야 함을 말한 것이다.
좋아하는 일을 하지 말아서 선왕의 바른 길을 따르며, 싫어하는 일을 하지 말아서 선왕의 바른 길을 따르도록 하소서.
어지럽게 사사로이 좋아하거나 싫어하는 일을 하지 말아서 툭하면 반드시 先王의 길을 따르라고 말한 것이다
치우침이 없고 편 가르기가 없으면 왕의 길이 廣遠하게 확 열릴 것이고,
확 열림을 말한 것이다.
편 가르기가 없고 치우침이 없으면 왕의 길이 평탄해질 것이며,
잘 다스려짐을 말한 것이다.
위반함이 없고 기울어짐이 없으면 왕의 길이 正直해질 것이니,
행하는 바에 를 위반하거나 바르지 않음이 없으면 왕의 길이 平直해질 것이란 말이다.
有極〈의 를〉 모아서 〈행하면 온 천하가〉 그 有極으로 돌아올 것입니다.
有中〈의 를〉 모아서 행하면 온 천하가 모두 그 有中으로 돌아올 것이란 말이다.
의 [無偏]에서 [有極]까지
正義曰:다시 大中를 말한 것이다. 임금이 된 이는 마땅히 偏私함도 없고 陂曲함도 없어서 툭하면 先王正義를 따라야 한다는 것이다.
어지럽게 사사로이 좋아하여 악한 사람을 잘못 상주는 일이 없어서 툭하면 先王正道를 따라야 한다는 것이다. 어지럽게 사사로이 미워하여 착한 사람을 함부로 벌주는 일이 없어서 툭하면 先王正路를 따라야 한다는 것이다.
偏私가 없고 阿黨이 없으면 王家에서 행하는 가 광원하게 확 열릴 것이란 말이다. 阿黨이 없고 偏私가 없으면 王者의 수립하는 가 평평하게 잘 다스려질 것이요,
행하는 바가 를 위반하지 않고 偏側하지 않으면 王家正直해질 게란 것이다. 행하는 바가 偏私함이 없이 모두 正直할 수 있는 것은
大中를 모아 행하여 만일 그 행하는 것이 반드시 中道를 얻는다면 온 천하가 그 中道로 돌아올 게란 것이니, 사람들이 모두 이 사람을 일러 大中을 하는 사람이라고 할 것이란 말이다.
의 [偏不]에서 [治民]까지
正義曰:‘不平’은 高下를 이르고, ‘不正’은 邪僻을 이르니, 아래의 ‘’‧‘’‧‘’‧‘’과 함께 그 뜻이 동일한 것이다.
偏頗阿黨은 바로 정사의 큰 병폐이기 때문에 箕子가 은근히 말했을 뿐이다. 아래 에서 “어지럽게 사사로이 좋아하거나 사사로이 싫어하지 말아서”라고 한 것은 사람이 사사로이 좋아하거나 싫어함이 있으면 正道를 어지럽히기 때문에 에서 ‘’을 가지고 말한 것이다.
의 [言會]에서 [中矣]까지
正義曰:‘’는 集會를 이른다. 사람이 장차 행하려고 할 적에 그 大中를 모아서 행하여, 행하는 것이 실제로 그 중도를 얻는다면 온 天下가 모두 그 대중의 도를 하는 데로 돌아옴을 말한 것이다.
天下’란 것은 크게 말한 것이다. ≪論語≫ 〈顔淵〉에 “〈임금이〉 하루 동안이라도 자신을 단속하여 로 돌이킨다면 천하가 〈모두〉 이 仁德한 임금에게 돌아올 것이다.”라고 하였으니, 이 뜻이 저기(≪논어≫)의 것과 같은 것이다.


역주
역주1 無陂 : 經文에 ‘無頗’로 되어 있는 것을, ≪唐書≫ 〈藝文志〉에 의하면, 唐 玄宗 開元 14년(726)에 ‘頗’는 ‘義’와 音이 맞지 않다고 해서 詔命으로 ‘頗’자를 ‘陂’자로 고쳤다고 한다. 아랫글에 있는 ‘人用側頗僻’이나 ≪呂氏春秋≫와 ≪史記≫ 등의 ‘無頗’와 孔疏의 ‘無頗曲’‧‘偏頗’ 등이 본래 經文에 ‘無頗’로 되어 있었다는 것을 입증해주고 있다.
역주2 王之義 王之道 王之路 : 蔡傳은 “皇極이 이로 말미암아 행해지는 것이다.[皇極之所由行]”라고 풀이하였다.
역주3 無偏無陂……歸其有極 : ‘偏陂’와 ‘好惡’가 모두 없어져 마음이 極의 體와 서로 융합하면 마치 물의 흐름이 여러 갈래의 물과 합하여 하나가 되는 것과 같고, ‘偏黨’과 ‘反側’이 모두 없어져 행실이 極의 用과 서로 접착하면 마치 물이 바다로 돌아와서 모두 정지할 곳을 얻는 것과 같다는 논리이다.
역주4 (不)[下] : 저본에는 ‘不’로 되어 있으나, 宋刊 單疏本에 의거하여 ‘下’로 바로잡았다.

상서정의(4)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