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4)

상서정의(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不作無益하여 害有益하면 功乃成하며 不貴異物하여 用物하면 民乃足하며
[傳]遊觀爲無益이요 奇巧爲異物이니 言明王之道 以德義爲益하고 器用爲貴하니 所以化生民이라
犬馬 非其土性이어든 不畜하시며
[傳]非此土所生이어든 不畜 以不習其用이라
珍禽奇獸 不育于國하소서
[傳]皆非所用이요 有損害故
不寶遠物하면 則遠人하고
[傳]不侵奪其利 則來服矣
所寶惟賢이면 則邇人하리이다
[傳]寶賢하면 則近人安하고 近人安하면 則遠人安矣리라
[疏]‘不役’至‘人安’
○正義曰:旣言不可狎侮, 又言不可縱恣. 不以聲色使役耳目, 則百事之度, 惟皆正矣.
以聲色自娛, 必玩弄人物. 旣玩弄人者, 喪其德也, 玩弄物者, 喪其志也. 人物旣不可玩, 則當以道自處.
志當以道而寧身, 言當以道而接物, 依道而行, 則志自得而言自當.
[疏]○傳‘言不’至‘度正’
○正義曰:昭元年左傳子産論晉侯之疾云 “玆心不爽, 昏亂百度.”
杜預云 “百度, 百事之節也.” 此言志旣不營聲色, 百事皆自用心, 則皆得正也.
[疏]○傳‘以人’至‘其志’
○正義曰:‘喪德’‧‘喪志’, 其義一也. ‘玩人’爲重, 以‘德’言之, ‘玩物’爲輕, 以‘志’言之, 終是志荒而德喪耳.
[疏]○傳‘在心’至‘勤道’
○正義曰:‘在心爲志’, 詩序文也. ‘在心爲志’, 謂心動有所向也. ‘發氣爲言’, 言於志所趣也.
志是未發, 言是已發, 相接而成, 本末之異耳. 志‧言, 竝皆用道, 但志未發, 故“以道寧.”
志不依道, 則不得寧耳. 言是已發, 故“以道接.” 言不以道, 則不可接物. 志‧言, 皆以道爲本, 故君子須勤道也.
[疏]○傳‘遊觀’至‘生民’
○正義曰:遊觀費時日, 故爲“無益.” 無益多矣, 非徒遊觀而已.
奇巧世所希有, 故爲“異物.” 異物多矣, 非徒奇巧而已. 諸是妄作, 皆爲無益, 諸是世所希, 皆爲異物.
異物‧無益, 不可徧擧, 擧此二者, 以明此類, 皆是也. ‘不作’, 是初造之辭, 爲作有所害, 故以爲“無益.”
‘不貴’, 是愛好之語, 有貴必有賤, 故以‘異物’對‘用物’. 雖經言‘用物’, 傳言‘器用’可矣.
經言‘有益’, ‘有益’不知所謂, 故傳以德義是人之本, 故德義爲有益. 諸是益身之物, 皆是有益, 亦擧重爲言.
經之戒人主, 人主如此, 所以化世俗, 生養下民也. 此言‘生民’, 宣十二年左傳云 “分謗生民.” 皆謂生活民也.
下云 “生民保厥居.” 與孝經云 “生民之本盡矣.” 言民生於世, 謂之‘生民’, 與此傳異也. 俗本云 ‘弗賤’, 衍‘弗’字也.
[疏]○傳‘非此’至‘其用’
○正義曰:此篇爲戒, 止爲此句, 以西旅之獒, 非中國之, 不用令王愛好之, 故言此也.
僖十五年左傳 言, 是非此土所生, 不習其用也. 犬不習用, 傳記無文.
[疏]○傳‘寶賢’至‘安矣’
○正義曰:詩序云 “任賢使能, 周室中興.” 故傳以‘任能’配‘寶賢’言之.
論語云 “擧直錯諸枉, 則民服.” 故“寶賢任能, 則近人安.” 嫌安近不及遠, 故云 “近人安, 則遠人安矣.”
楚語云 “王孫圉聘於晉, 定公饗之, 趙簡子鳴玉以相, 問於王孫圉曰 ‘楚之白珩猶在乎’, 對曰 ‘然’,
簡子曰 ‘其爲寶也幾何矣’ 曰 ‘未嘗爲寶. 楚之所寶者, 曰觀射父, 及左史倚相, 此楚國之寶也.
若夫白珩, 先王之所玩, 何寶之焉’” 是謂‘寶賢’也.


무익한 일을 함으로써 유익한 일을 해치지 않으면 이 이에 잘 이루어질 것이며, 특이한 물건을 귀하게 여김으로써 늘 쓰는 물건을 천하게 여기지 않으면 백성들이 이에 풍족해질 것이며,
遊觀無益한 일이고 奇巧는 진기한 물건이니, 明聖德義를 유익함으로 삼고, 器用을 귀함으로 삼았으니, 백성을 교화하여 다스린다는 점을 말한 것이다.
개나 말을 그 土性(土産)이 아니거든 기르지 마시고,
〈개나 말이〉 본토의 소산이 아니거든 기르지 말라는 것은 그 용도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이란 것이다.
진귀한 새나 기이한 짐승을 나라 안에서 기르지 마소서.
〈진귀한 새나 기이한 짐승은〉 모두 사용할 바가 아니고 손해가 있기 때문이란 것이다.
먼 곳의 물건을 보배로 여기지 않으면 먼 곳 사람들이 와서 복종하게 될 것이고,
그들의 이익을 侵奪하지 않으면 와서 복종할 것이다.
보배로 여기는 것이 오직 어진 사람이라면 가까운 사람들이 편안하게 될 것입니다.
어진 사람을 보배로 삼고 유능한 사람을 임용하면 가까이 있는 사람이 편안하고, 가까이 있는 사람이 편안하면 멀리 있는 사람이 편안하리라는 것이다.
의 [不役]에서 [人安]까지
正義曰:함부로 대하거나 업신여겨서는 안 된다는 점을 이미 말하였고, 또 방종하거나 방자해서는 안 된다는 점도 말하였다. 聲色으로써 耳目에 사역되지 않으면 온갖 일의 법도가 모두 바르게 될 것이다.
聲色으로써 스스로 즐기면 반드시 사람과 물건을 희롱하게 될 것이다. 이미 사람을 희롱한 자는 그 덕을 상실하게 되고, 물건을 희롱하는 자는 그 뜻을 상실하게 된다. 사람과 물건을 이미 희롱해서는 안 된다면 마땅히 를 가지고 스스로 처신해야 한다.
뜻은 마땅히 를 가지고 몸을 편안히 해야 하고, 말은 반드시 를 가지고 물건을 접해야 하니, 에 의해 행하면 뜻이 스스로 얻어지고 말이 스스로 맞아진다는 것이다.
의 [言不]에서 [度正]까지
正義曰:≪春秋左氏傳昭公 원년 조에 “子産 平公의 질병을 논하기를 ‘마음이 밝지 않아서 온갖 일의 절도를 혼란케 했다.’”라고 하였는데,
杜預는 “‘百度’는 온갖 일의 절도이다.”라고 하였다. 이는 뜻이 이미 聲色을 경영하지 않아, 온갖 일에 다 스스로 마음을 쓰면 모두 바르게 된다는 점을 말한 것이다.
의 [以人]에서 [其志]까지
正義曰:‘喪德’과 ‘喪志’는 그 뜻이 동일한 것이다. ‘玩人’은 비중이 무거운 것이라서 ‘’을 가지고 말하였고, ‘玩物’은 비중이 가벼운 것이라서 ‘(뜻)’를 가지고 말하였지만, 결국은 뜻이 거칠어지면 덕이 상실될 뿐이다.
의 [在心]에서 [勤道]까지
正義曰:‘在心爲志’는 ≪詩經≫ 〈關雎大序의 내용이다. ‘在心爲志’는 마음이 움직여 향해가는 바가 있음을 이른다. ‘發氣爲言’은 뜻에 향하는 바를 말한다.
뜻은 아직 발현하지 않고 말은 이미 발현해서 서로 접하여 이루지는 것인데, 근본과 지엽이 다를 뿐이다. ‘뜻’과 ‘말’은 모두 를 쓰는데, 다만 뜻은 아직 발현하지 않았기 때문에 “〈뜻을〉 로써 편안하게 하며”라고 한 것이다.
뜻은 에 의하지 않으면 편안할 수 없고, 말은 이미 발현했기 때문에 “로써 접한다.”라고 한 것이다. 말을 로써 하지 않으면 사물을 접할 수 없다. ‘뜻’과 ‘말’은 모두 로써 근본을 삼기 때문에 君子는 모름지기 를 열심히 닦는다고 한 것이다.
의 [遊觀]에서 [生民]까지
正義曰遊觀은 한갓 時日만 허비하는 일이기 때문에 “無益”이라고 하였지만, 無益한 것이 너무도 많으니 한갓 遊觀만이 무익한 것이라고 할 수 없다.
奇巧는 세상에 드물게 있는 것이기 때문에 “異物”이라고 하였지만, 異物이 너무도 많으니 한갓 奇巧만이 異物이라고 할 수 없다. 모든 妄作이 다 無益이 되는 것이고, 모든 세상에 드문 것이 다 異物이 되는 것이다.
異物’과 ‘無益’은 두루 들 수 있는 것이 아닌데, 이 두 가지를 든 것은 이런 따위가 모두 이런 것임을 밝히기 위한 것이었다. ‘不作’은 바로 처음으로 조작한다는 말이니, 조작하면 해치는 바가 있기 때문에 ‘無益’으로 여긴 것이다.
不貴’는 바로 애호한다는 말이니, 귀한 것이 있으면 반드시 천한 것이 있기 때문에 ‘異物’을 가지고 ‘用物’을 상대한 것이다. 비록 에서 ‘用物’이라고 말했으나, 에서 ‘器用’이라고 말한 것이 옳았다.
에서 ‘有益’을 말했으나 ‘有益’이 무엇을 이른 것인지 모르므로, 에서 德義가 바로 사람의 근본이기 때문에 德義有益한 것으로 삼은 것이다. 모든 몸을 유익하게 하는 사물은 모두 유익한 것이니, 또한 중한 것을 들어서 말하였다.
에서 군주를 경계한 것은, 군주가 이와 같이 하면 세속을 교화하여 백성을 生養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말한 ‘生民’과 ≪春秋左氏傳宣公 12년 조에서 “비방을 분담하고 백성들을 살리는 것이다.”라고 한 〈‘生民’은〉 모두 백성을 살리는 것을 이른다.
아래에서 말한 “백성들은 그들의 삶을 보전하게 되고”라고 한 〈‘生民’과〉 ≪孝經≫에서 말한 “生民의 근본이 극진했다.”라고 한 〈‘生民’은〉 백성이 세상에 태어나는 것을 말하니, ‘生民’이라 이른 것이 여기의 과 다르다. 俗本에 ‘弗賤’이라 하였는데, ‘’자는 衍字이다.
의 [非此]에서 [其用]까지
正義曰:이 에서 경계한 것은 이 문구에서 끝냈으니, 西旅의 ‘’는 中國의 개가 아니어서 으로 하여금 愛好하게 할 수 없기 때문에 이것을 말한 것이다.
春秋左氏傳僖公 15년 조에서 “ 惠公나라의 말을 탔기 때문에 결전할 때에 수렁에 빠졌다.”라고 말하였는데, 이는 이 땅의 소산이 아니어서 그 용도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이다. 개가 용도에 익숙하지 않다는 것은 傳記에 그런 글이 없다.
의 [寶賢]에서 [安矣]까지
正義曰:≪詩經≫ 〈蒸民〉의 小序에 “어진 이를 임용하고 유능한 이를 부려서 周室中興했다.”라고 하였기 때문에 에서 ‘任能’을 ‘寶賢’에 배합해 말한 것이다.
論語≫ 〈爲政〉에 “정직한 사람을 등용하고 부정한 사람을 버리면 백성들이 복종할 것이다.”라고 했기 때문에 “어진 이를 보배로 여기고 유능한 사람을 임용하면 가까이 있는 사람이 편안하다.”라고 한 것이다. 가까이 있는 사람만 편안하게 하고 멀리 있는 사람에게는 미쳐가지 못했다는 혐의를 살까 싶기 때문에 “가까이 있는 사람이 편안하면 멀리 있는 사람이 편안하리라.”라고 한 것이다.
國語≫ 〈楚語〉에 “〈나라〉 王孫 나라에 聘問 갔을 때 定公이 잔치를 베풀어주었는데, 趙簡子佩玉을 울리며 잔치를 돕다가 王孫 에게 묻기를 ‘나라의 白珩이 아직도 있는가?’ 하자, 王孫 가 대답하기를 ‘그렇다.’ 하였다.
趙簡子가 ‘白珩은 그 보배로서의 가치가 얼마나 되는가?’ 하니, 王孫 가 말하기를 ‘우리는 그것을 보배로 삼은 적이 없다. 나라가 보배로 삼는 것은 觀射父左史 倚相이니, 이들이 나라의 보배이다.
白珩 같은 것은 先王의 노리개일 뿐인데 무슨 보배로 여길 것이 있겠는가.’ 했다.”라고 하였으니, 이것이 바로 ‘어진 이를 보배로 삼음’을 이른 것이다.


역주
역주1 : 疏에서 “俗本에 ‘弗賤’으로 되어 있는데, ‘弗’은 衍字이다.”라고 칭하였으니, 이 句의 ‘賤’ 위에 俗本에는 ‘弗’자가 있음을 이른다. 疏는 經文을 해석하지 않았기 때문에 傳을 해석하면서 아울러 언급한 것이다.(阮元의 〈校勘記〉 참조)
역주2 : 阮元의 校勘記에 “古本‧岳本‧宋板에는 모두 ‘俗’으로 되어 있다.”라고 하였다. 孔疏에는 ‘所以化治生民’을 ‘所以化世俗 生養下民也’라고 풀이하였으니, 아마도 ‘俗’으로 되어 있는 본을 저본으로 한 듯하다.
역주3 (生)[任] : 저본에는 ‘生’으로 되어 있으나, “毛本에는 ‘生’이 ‘任’으로 되어 있다. 살펴보건대 고치는 것이 옳다.”라고 한 阮元의 校勘記에 의거하여 ‘任’으로 바로잡았다.
역주4 (從)[徒] : 저본에는 ‘從’으로 되어 있으나, “岳本에는 ‘從’이 ‘徒’로 되어 있으나, ‘從’은 글자가 잘못된 것이다. 글자의 모양이 비슷해서 생긴 오류이다.”라고 한 阮元의 校勘記에 의거하여 ‘徒’로 바로잡았다.
역주5 (大)[犬] : 저본에는 ‘大’로 되어 있으나, 宋刊 單疏本에 의거하여 ‘犬’으로 바로잡았다.
역주6 晉侯……陷於濘 : ≪春秋左氏傳≫ 僖公 15년 조에 “‘小駟’라는 망아지를 탔으니, 이는 鄭나라로부터 들어온 말이었다. 慶鄭은 말하기를 ‘옛날에 큰 일이 있을 때는 반드시 자기 나라에서 생산된 말을 탔다. 그 말은 그 나라 땅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그 나라 사람의 마음을 알고, 훈련을 편안한 마음으로 받아들이고 길도 잘 알고 있다.’라고 간하였으나 晉 惠公은 듣지 않았다. 韓原이란 땅에서 결전할 때에 晉나라의 戎馬가 수렁에 빠져 전진할 수가 없었다.[乘小駟 鄭入也 慶鄭曰 古者大事必乘其産 生其水土而知其人心 安其敎訓而服習其道 弗聽 戰於韓原 晉戎馬旋濘而止]”라고 한 말이 보이기 때문에 이렇게 말한 것이다.

상서정의(4)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