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5)

상서정의(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傳]惟天不與紂일새 惟我周家下民秉心爲我 皆是天明德可畏之效
[疏]‘王若’至‘明畏’
○正義曰:周公以王命順其事而呼之曰 “汝殷家遺餘之衆士, 汝殷家道敎不至, 旻天以殷道不至之故, 天下喪亡於殷, 將欲滅殷.
我有周受天祐助之命, 奉天明白之威, 致王者之誅罰, 正黜殷命, 終我周家於帝王之事, -謂使我周家代殷爲天子也.-
天旣助我周王, 故汝衆士來爲我臣. 由天助我, 我得爲之, 非我小國敢取殷之王命以爲己有, 此乃天與我.
惟天不與信無堅固於治者, 以是故輔弼我. 若其不然, 我其敢妄求天子之位乎. -言此位天自與我, 非我求而得之.-
惟天不與紂, 故惟我周家下民秉心爲我, 故我得之, 惟天明德可畏之效也. 亦旣得喪由天, 汝等不得不服. -以殷士未服, 故以天命喩之.-”
[疏]○傳‘順其’至‘在下’
○正義曰:順其殷亡之事, 稱王命以告之. 從紂之臣, 或有身已死者,
遺餘在者遷於成周, 故“告殷遺餘衆士.” ‘所順在下’, 下文皆是順之辭.
[疏]○傳‘稱’至‘於殷’
○正義曰:此經先言‘弗弔’, 謂殷道不至也. ‘不至’者, 上不至天, 事天不以道, 下不至民, 撫民不以理也.
天有多名, 獨言‘旻天’者, ‘旻’, 愍也, “稱天以愍下.” 言天之所愍, 愍道至者也. “殷道不至, 故旻天下喪亡於殷”, 言將覆滅之.
[疏]○傳‘天命’至‘帝王’
○正義曰:“天命周致王者之誅罰”, 謂奉上天之命, 殺無道之王, 此乃王者之事, 故爲“王者之誅罰.”
‘勅’, 訓正也, “正黜殷命”, 謂殺去虐紂, 使周受其終事, 是“終周於帝王.” ‘終’, 猶舜受堯終, 言殷祚終而歸於周.
[疏]○傳‘天祐’至‘天命’
○正義曰:‘肆’, 訓故也, 直云 “故爾多士.” 辭無所結. 此經大意, 敍其去殷事周,
知其故爾衆士, 言其臣服我. ‘弋’, 射也, 射而取之, 故‘弋’爲取也. 鄭玄‧王肅本‘弋’作翼, 王亦云 “翼, 取也.”
鄭云 “翼, 猶驅也, 非我周敢驅取汝殷之王命.” 雖訓爲驅, 亦爲取義. 周本殷之諸侯, 故周公自稱‘小國’.


상제께서 에게 〈을〉 주지 않았기 때문에 우리 백성들이 마음을 굳게 가져 〈우리를〉 위하〈여 우리가 얻은〉 것이니, 하늘의 밝은 을 두려워한 효험 때문이다.
하늘이 에게 〈을〉 주지 않았기 때문에 우리 나라 백성들이 마음을 굳게 가져 우리를 위하〈여 우리가 얻은〉 것이니, 모두 하늘의 밝은 을 두려워한 효험 때문이라는 것이다.
의 [王若]에서 [明畏]까지
正義曰周公王命을 가지고 그 일을 따라서 부르기를 “너희 나라의 남은 여러 들아! 너희 나라의 道敎가 이르지 않으니, 旻天나라의 道敎가 이르지 않았기 때문에 나라에 喪亡을 내려 장차 나라를 멸망시키려고 하였느니라.
우리 나라가 하늘이 도와준 을 받아서 하늘의 밝은 위엄을 받들어 王者誅罰을 이루어 나라 을 바로잡아 퇴출하여 나라가 帝王의 일을 마무리하게 되었느니라. -우리 나라로 하여금 나라를 대신해서 天子가 되게 함을 이른 것이다.-
하늘이 우리 나라 왕을 돕기 때문에 너희 여러 들이 와서 우리의 신하가 된 것이다. 하늘이 우리를 도움으로 말미암아 우리가 얻게 된 것이니, 우리 小國이 감히 나라의 王命을 취하여 소유로 삼은 것이 아니고 이것은 바로 하늘이 우리에게 준 것이니라.
하늘은 정말 굳게 다스릴 능력이 없는 자에게 주지 않았으니, 이런 때문에 우리를 도운 것이다. 만일 그렇지 않았다면 우리가 감히 망령되이 천자의 자리를 구하였겠는가. -이 王位는 하늘이 스스로 우리에게 준 것이지 우리가 구해서 얻은 것이 아니었다는 말이다.-
하늘이 에게 주지 않았기 때문에 우리 나라 백성들이 마음을 굳게 가져 우리를 위한 것이고, 그러므로 우리가 얻은 것이니, 하늘의 밝은 을 두려워한 효험 때문이니라. 또한 이미 喪亡하게 된 것은 하늘로 말미암은 것이니, 너희들은 복종하지 않을 수 없느니라. -나라 들이 복종하지 않기 때문에 天命으로써 깨우친 것이다.-”
의 [順其]에서 [在下]까지
正義曰나라가 망한 일을 따라 王命이라고 칭하면서 고하였다. 를 따르던 신하들 중에는 혹 이미 죽은 자도 있지만,
남아 있는 자들은 成周로 옮겼기 때문에 “나라의 남아 있는 여러 들에게 고한다.”라고 한 것이다. ‘所順在下’는 아랫글 모두가 바로 따른다는 말이다.
의 [稱天]에서 [於殷]까지
正義曰:이 에서 먼저 ‘弗弔’을 말한 것은 나라의 道敎가 이르지 않음을 이른 것이다. ‘不至’란 위로 하늘에 이르지 않은 것은 하늘을 도리로써 섬기지 않는 것이고, 아래로 백성에게 이르지 않은 것은 백성을 이치로써 어루만지지 않는 것이다.
하늘에는 많은 이름들이 있는데, 유독 ‘旻天’이라 말한 것은 ‘’은 의 뜻이니, “하늘을 아래를 민망히 여기는 것으로 칭한다.”는 것은 하늘이 민망히 여기는 것은 道敎가 이르지 않은 점을 민망히 여김을 말한 것이다. “나라의 道敎가 이르지 않기 때문에 旻天喪亡나라에 내렸다.”라고 한 것은 장차 覆滅할 것을 말한 것이다.
의 [天命]에서 [帝王]까지
正義曰:“하늘이 나라에 명하여 王者誅罰을 이루게 했다.”란 것은 하늘의 명을 받들어 無道을 죽이는 것을 이르니, 이것이 바로 王者의 일이기 때문에 “王者誅罰”이라고 한 것이다.
’은 의 뜻이니, “나라의 을 바로잡아 퇴출했다.”라는 것은 포학한 를 죽여 없애 나라로 하여금 그 마무리한 일을 받게 함을 이르니, 이 “나라가 帝王의 일을 마무리하였다.”에서의 ‘’은 “임금이 임금이 마무리한 〈帝位를〉 받았다.”라는 과 같은 것이다. 곧 나라의 국운이 마무리되어 나라로 돌아온 점을 말한 것이다.
의 [天祐]에서 [天命]까지
正義曰:‘’는 (그러므로)의 뜻으로 풀이하니, 단지 “그러므로 너희 많은 들아.”라고만 해놓고 말에는 맺는 바가 없다. 이 大意나라를 버리고 나라를 섬기도록 하는 내용을 서술한 것이니,
“그러므로 너희 많은 들아.”라고 한 것이 우리에게 臣服함을 말한 것임을 〈孔安國은〉 알았던 것이다. ‘’은 의 뜻이니, 쏘아서 취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 의 뜻이 된 것이다. 鄭玄本王肅本에는 ‘’이 으로 되어 있는데, 王肅은 또한 “‘’은 의 뜻이다.”라고 하였고,
鄭玄은 “‘’은 와 같으니, 우리 나라가 감히 너희 나라의 王命을 휘몰아 취한 것이 아니다.”라고 하였다. 비록 로 하였지만 역시 의 뜻이다. 나라는 본래 나라의 諸侯였기 때문에 周公이 자칭 ‘小國’이라고 한 것이다.


역주
역주1 惟帝不畀……惟天明畏 : 蔡傳은 “‘天命이 주어지지 않음은 곧 民心의 굳게 가져 하는 바 때문이고, 민심의 굳게 가져 하는 바는 곧 하늘의 위엄의 밝고 두려운 것’임을 말한 것이다. 하늘과 백성의 상호 관련된 이치를 반복해서, 천심은 결코 민심에서 벗어나지 않고 민심은 결코 천심에서 벗어나지 않음을 나타낸 것이다. ≪詩經≫에서는 ‘秉彛’라고 말하고, 여기서는 ‘秉爲’라고 말하였는데, ‘彛’는 理를 가지고 말한 것이고 ‘爲’는 用을 가지고 말한 것이다.[言天命之所不與 卽民心之所秉爲 民心之所秉爲 卽天威之所明畏者也 反覆天民相因之理 以見天之果不外乎民 民之果不外乎天也 詩言秉彛 此言秉爲者 彛以理言 爲以用言也]”라고 풀이하였다.
역주2 惟天明畏 : 〈皐陶謨〉‧〈大誥〉‧〈多士〉의 ‘天明畏’를 孔傳은 다 같이 “하늘의 밝은 德을 두려워하는 것[天明德可畏]”으로 풀이한 반면, 蔡傳은 〈皐陶謨〉에서는 “‘明’은 선한 자를 드러내는 것이고, ‘畏’는 악한 자를 위협하는 것이다.[明者顯其善 畏者威其惡]”로, 〈大誥〉에서는 “하늘의 밝은 命이 두렵다.[天之明命可畏]”로, 〈多士〉에서는 “하늘의 위엄의 밝고 두려운 것[天威之所明畏者]”으로 각각 다르게 풀이하였다.
역주3 (王)[天] : 저본에는 ‘王’으로 되어 있으나, 傳文에 의거하여 ‘天’으로 바로잡았다.
역주4 [不] : 저본에는 없으나, 孔疏에 의거하여 ‘不’을 보충하였다.

상서정의(5)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