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5)

상서정의(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傳]我亦念컨대 天就於殷하여 大罪而加誅者 以紂不能正身念法일새라
[疏]‘王若’至‘不正’
○正義曰:周公又稱王順而言曰 “汝殷衆士, 今惟我周家文武二王, 大神能奉天事,
故天有命, 命我周王曰 ‘當割絶殷命.’ 告正於天.” 我受天命, 已滅殷告天.
“惟我天下之事, 不有二處之適.” 言己之適周, 不更適他也. “惟汝殷王家事, 亦於我之適, 不復變改.” 又追說初伐紂之事.
“我其爲汝言曰 ‘惟汝殷紂大無法度, 故當宜誅絶之. 伐紂之時, 我不先於汝動,
自往誅汝, 其亂從汝邑先起, 汝紂自召禍耳.’ 我亦念天所以就於殷致大罪者, 故, 以紂不能正身念法故也.”
[疏]○傳‘周王’至‘恤祀’
○正義曰:文王受命, 武王伐紂, 故知‘周王’兼文武也. ‘大神奉天事’, 謂以天爲神而勤奉事之, 勞身敬神, 言亦如湯明德恤祀也.
[疏]○傳‘天有’至‘傷士’
○正義曰:以周王奉天之故, 故天有命, 命我周使割絶殷命, 告正於天.
謂武成之篇所云, 旣克紂, 柴於牧野, 告天不頓兵傷士是也. 前敵卽服, 故無“頓兵傷士.”
師以正行, 故爲“告正.” 武成正告功成, 功成無害, 卽是不頓傷也. ‘頓兵’者, 昭十五年左傳文. ‘頓’, 折也.
[疏]○傳‘我亦’至‘念法’
○正義曰:言“我亦念天”者, 以紂雖無法度, 若使天不命我, 我亦不往誅紂.
以紂旣爲大惡, 上天命我, 我亦念天所遣. 我就殷加大罪者, 何故. 以紂不能正身念法也.


내 또한 생각하건대, 하늘이 나라에 나아가 크게 죄를 준 것은 무슨 까닭인가. 〈가 능히 몸을〉 바르게 하지 않았기 때문이니라.”
내 또한 생각하건대, 하늘이 나라에 나아가 크게 죄를 주어 주벌을 가한 것은 무슨 까닭인가. 가 능히 몸을 바르게 하고 법을 생각하지 않았기 때문이란 것이다.
의 [王若]에서 [不正]까지
正義曰周公은 또 께서 〈일에〉 따라 말씀하셨다고 일컬으며 다음과 같이 말씀하였다. “너희 나라의 여러 들아! 지금 우리 나라 文王武王 두 분 께서 하늘을 크게 으로 여겨 능히 받들어 섬겼기 때문에
하늘이 을 내리어 우리 周王에게 ‘응당 나라의 을 베어 끊도록 하라.’ 명하므로 하늘에 닦달해서 바로잡았음을 고하였다.” 우리가 하늘의 을 받아 이미 나라를 멸하고 하늘에 고하였다는 것이다.
“우리 천하의 일이 두 곳으로 돌아가지 않는다.” 이미 나라로 돌아왔으니, 다시 다른 데로 가지 않는다고 말한 것이다. “너희 나라 王家의 일은 또한 우리에게 돌아왔으니 다시 變改해서는 안 된다.”고 한 것은 또 처음 를 칠 때의 일로 돌아가서 말한 것이다.
“내가 너희들을 위해 말하기를 ‘너희 나라 는 크게 법도를 무시했기 때문에 응당 베어 끊어야 한다. 를 칠 때에 내가 먼저 움직여서 〈너희들을 誅伐한 것이〉 아니라,
스스로 가서 주벌한 것은 그 변란이 너희의 으로부터 먼저 일어났으니, 너희 를 자초했을 뿐이다.’라고 한 것이다. 내 또한 생각하건대, 하늘이 나라에 나아가 크게 죄를 준 이유는 무슨 까닭인가. 가 능히 몸을 바르게 하고 법을 생각하지 않았기 때문이니라.”
의 [周王]에서 [恤祀]까지
正義曰文王天命을 받았고 武王를 쳤기 때문에 ‘周王’이 文王武王을 겸한 것임을 〈孔安國이〉 알았던 것이다. ‘大神奉天事’는 하늘을 으로 여겨서 열심히 받들어 섬김을 이른 것이니, 몸을 수고롭게 하고 을 공경히 섬김을 또한 임금이 이 있는 이를 드러내 쓰고 제사를 경건히 받든 것처럼 함을 말한 것이다.
의 [天有]에서 [傷士]까지
正義曰周王이 하늘을 받들었기 때문에 하늘이 을 내리어 우리 나라에 ‘나라의 을 베어 끊도록 하라.’ 명하므로 하늘에 닦달해서 바로잡았음을 고하였다는 것이니,
武成〉에 이른바 “이미 를 쳐서 승리하고 牧野에서 나무를 태워 望祭를 지내어 하늘에 군사를 고생시키거나 군사를 상하게 하지 않은 일을 고했던 것”을 이른다는 것이 이것이다. 앞에 있는 이 즉시 굴복했기 때문에 “군사를 고생시키거나 군사를 상하게 한 일이 없다.”라고 한 것이다.
군사는 바로잡는 일을 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닦달해서 바로잡았음을 고하였다.”라고 한 것이다. ‘武成’은 바로 武功이 이루어짐을 고한 것이니, 무공이 이루어져 가 없는 것이 바로 ‘군사를 고생시키거나 군사를 상하게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頓兵’이란 것은 ≪春秋左氏傳昭公 15년 조의 글이다. ‘’은 (꺾음)의 뜻이다.
의 [我亦]에서 [念法]까지
正義曰:“我亦念天”이라고 말한 것은, 가 비록 法度를 무시한 때문이라 하더라도 만일 하늘이 나에게 명하지 않았다면 내 또한 가서 를 주벌하지 않았을 것이다.
가 이미 大惡을 저질렀기 때문에 하늘이 나에게 명한 것이므로 내 또한 하늘이 〈를 치기 위해 나를 나라에〉 보낸 것을 생각하였다. 내가 나라에 나아가 큰 죄를 가한 것은 무슨 까닭인가. 가 능히 몸을 바르게 하고 법을 생각하지 않았기 때문이란 것이다.


역주
역주1 予亦念天……肆不正 : 蘇軾(≪書傳≫)은 “‘나 또한 天命을 생각함에 정벌하지 않을 수 없어서 그 으뜸으로 반란하여 죄가 큰 자만을 주살하였다.’ 함은 武庚과 管叔을 죽인 일을 이르고, ‘肆不正’은 그 나머지는 다 치죄하지 않음을 말한 것이다.[予亦念天命 不可不征 卽於其首亂罪大者而誅之 謂殺武庚管叔也 肆不正者 言其餘不盡繩治也]”라고 풀이하였는데, 林之奇는 蘇軾을 따랐고, 呂祖謙(≪增修東萊書說≫)은 “나 또한 생각하건대, 하늘이 殷나라 妹土의 땅에다가 누차 큰 재앙을 내리니 紂가 이미 죽었다. 그러므로 지금 〈그 땅은〉 邪慝하여 바르지 못하므로 요컨대 응당 옮겨가야 한다.[予亦念天就殷邦妹土之地 屢降大戾 紂旣死焉 故今邪慝不正 要當遷徙]”라고 풀이하였는데, 蔡傳은 呂祖謙을 따라 “내 또한 생각하건대, 하늘이 殷나라에 나아가(殷나라 妹土의 땅에다가) 누차 큰 재앙을 내리니, 紂는 이미 죽고 武庚이 또 죽었다. 그러므로 〈妹土의 땅이〉 ‘사특하여 바르지 못하였다(오염되었다).’라고 한 것이니, 응당 옮겨야 함을 말한 것이다.[予亦念 天就殷邦 屢降大戾 紂旣死 武庚又死 故邪慝不正 言當遷徙也]”라고 풀이하였다.

상서정의(5)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