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5)

상서정의(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在王庭하니 有服 在百僚라하나
[傳]簡 大也 今汝又曰 夏之衆士蹈道者 大在殷王庭하니 有服職 在百官 言見任用이라
予一人 惟聽用德이니라 肆予敢求爾于
[傳]言我周亦法殷家하여 惟聽用有德이라 我敢求汝於天邑商 將任用之
非予罪 時惟天命이시니라
[傳]惟我循殷故事하여 憐愍汝 故徙敎汝 非我罪咎 是惟天命이라
[疏]‘王曰猷’至‘天命’
○正義曰:又言曰 “我以道告汝衆士. 我惟 汝未達德義之故耳. [是以,] 今徙居西汝, 置於洛邑, 以敎誨汝.
我之徙汝, 非我一人奉行德義, 不能使民安之, 是惟天命宜然. 汝無違我.
我亦不敢更有後誅罰, 汝等無於我見怨. 汝旣來遷, 當爲善事.
惟汝所親知, 惟汝殷先人往世有策書, 有典籍, 說殷改夏王命之意, 汝當案省知之.
汝知先人之故事, 今又有言曰 ‘夏之諸臣蹈道者, 大在殷王之庭, 有服行職事, 在於百官.’ -言其見任用, 恐我不任汝.-
我一人惟聽用有德之者, 故我敢求汝有德之人於彼天邑商都, 欲取賢而任用之.
我惟循殷故事, 憐愍汝, 故徙敎汝. 此徙非我有罪, 是惟天命當然.” 聖人動合天心, 故每事惟託天命也.
[疏]○傳‘以道’至‘誨汝’
○正義曰:‘猷’, 訓道也, 故云 “以道告汝衆士.” 上言’, 不言其故, 故傳辨之, (惟是)[‘我惟’]者, 未達德義也.
遷使居西, 正欲敎以德義. 是以徙居西汝, 置於洛邑, 近於京師敎誨汝也. 從殷適洛, 南行而西廻, 故爲‘居西’也.
[疏]○傳‘汝無’至‘怨我’
○正義曰:周旣伐紂, 又誅武庚, 殷士懼更有誅, 疑其欲違上命, 故設此言以戒之.
知‘無違’者, 謂戒之使汝無違命也. 汝能用命, 我亦不敢有後誅, 必無後誅, 汝無怨我也.
[疏]○傳‘言我’至‘用之’
○正義曰:夏人簡在王庭, 爲其有德見用. 言我亦法殷家, 惟聽用有德, 汝但有德, 我必任用.
故我往前敢求汝有德之人於天邑商都, 將任用之也. 鄭玄云 “言天邑商者, 亦本天之所建.”
王肅云 “言商今爲我之天邑.” 二者其言雖異, 皆以‘天邑商’, 爲殷之舊都. 言未遷之時, 當求往, 遷後有德任用之必矣.
[疏]○傳‘惟我’至‘天命’
○正義曰:‘循殷故事’, 此‘故’, 解經中‘肆’字, 謂殷用夏人, 我亦用殷人.
‘憐湣汝故徙之敎汝’, 此‘故’, 解義之言, 非經中‘肆’. 遷汝來西者, 非我罪咎, 是惟天命也.


지금 너희는 또 ‘〈나라가 혁명할 때에는〉 나라의 여러 로서 를 이행한 자들을 크게(몽땅) 〈나라〉 의 조정에 두니, 일을 맡은 이가 여러 관직에 있었다.’고 말하나,
’은 의 뜻이다. 지금 너희는 또 말하기를 ‘나라의 여러 로서 를 이행하는 자들을 크게 나라 의 조정에 두니, 일을 맡은 이가 여러 관직에 있었다.’고 함은 임용되었음을 말한 것이다.
나 한 사람은 오직 있는 사람만을 쓰고 있을 뿐이다. 그러므로 내 감히 너희들을 天邑에서 찾은 것은
우리 나라에서도 역시 나라를 본받아 오직 있는 사람만을 쓰고 있을 뿐이다. 그러므로 내 감히 너희들을 저 天邑에서 구한 것은 장차 임용하려는 것이라고 말한 것이다.
내가 나라의 故事에 따라 너희들을 애처롭게 여기는 것이니, 나의 죄가 아니라 이는 하늘의 명령이시니라.”
내가 나라의 故事에 따라 너희들을 애처롭게 여긴다. 그러므로 너희들을 옮겨다가 가르치는 것이니, 나의 죄가 아니라 이는 하늘의 명령이다.
의 [王曰猷]에서 [天命]까지
正義曰:또 말씀하였다. “내가 를 가지고 너희 여러 들에게 고한 것은 내가 너희들이 德義에 달통하지 못했다고 생각하였다. 이러므로 지금 너희들을 서쪽으로 옮겨 洛邑에 거주시킨 것은 너희들을 가르치려는 것이다.
내가 너희들을 이사시킨 것은 나 한 사람이 德義를 봉행하기 위하여 능히 백성들로 하여금 편안하지 못하도록 한 것이 아니라, 이는 天命이 응당 그리하는 것이다. 너희들은 을 어기지 말도록 하라.
나 또한 감히 다시 뒤의 誅罰이 있지 않을 것이니, 너희들은 나에게 원망을 보이지 말도록 하라. 너희들은 이미 옮겨왔으니 착한 일을 하도록 하라.
너희들도 친히 아는 바이지만 너희 나라 先人들에게는 지난 세대에 策書가 있고 典籍이 있어, 나라가 나라 王命을 고친 뜻이 설명되었으니, 너희들은 마땅히 살펴서 알아야 할 것이다.
너희들은 先人故事를 아는 처지인데, 지금 너희들은 또 말하기를 ‘나라의 여러 신하로서 를 이행하는 자들이 크게 나라 의 조정에 있으니, 職事服行하는 자들이 여러 관직에 있었다.’라고 하는데, -그 임용됨을 보고 내가 너희들을 임용하지 않을까 싶어 함을 말한 것이다.-
나 한 사람은 오직 있는 사람만을 쓰고 있을 뿐이다. 그러므로 내가 감히 너희 있는 사람들을 저 天邑의 도읍에서 구한 것은 어진 사람을 취해 임용하려고 한 것이다.
내가 나라의 故事에 따라 너희들을 애처롭게 여기기 때문에 너희들을 옮겨다가 가르치는 것이다. 이처럼 이사시킨 것은 나의 죄가 아니라 바로 천명이 응당 그리하는 것이다.” 聖人은 걸핏하면 天心에 합하기 때문에 매사를 天命에 붙인 것이다.
의 [以道]에서 [誨汝]까지
正義曰:‘’는 의 뜻으로 풀이하기 때문에 “를 가지고 너희 여러 들에게 고한다.”라고 한 것이다. 위(經文)에서는 ‘我惟’라고만 말하고 그 까닭은 말하지 않았기 때문에 에서 변별하기를 “‘我惟’란 것은 德義를 달통하지 못하였다고 〈생각했다.〉”라고 한 것이다.
‘옮겨 서쪽에 거주하게 한 것’은 정말 德義를 가지고 가르치려고 한다는 것이다. 이러므로 ‘너희들을 서쪽으로 옮겨 거주시켜 洛邑에 둔 것’은 京師를 가까이해서 너희들을 가르치려 한 게란 것이다. 나라로부터 으로 가는 것은 남쪽으로 가서 서쪽으로 돌기 때문에 ‘서쪽에 거주한다.’라고 한 것이다.
의 [汝無]에서 [怨我]까지
正義曰나라가 이미 를 친데다 또 武庚을 주벌하니, 나라 들이 다시 주벌하는 일이 있을까 두려워하므로 그들이 혹여 上命을 어기려고 할까 의심되기 때문에 이런 말을 베풀어서 경계를 한 것이다.
經文의〉 ‘無違’란 것이 바로 경계하여 “너희는 을 어기지 말도록 하라.”를 이른 것임을 〈孔安國이〉 알았던 것이다. 너희들이 명을 따르면 나 또한 감히 다시 뒤의 誅罰이 있지 않을 것이니, 반드시 뒤의 주벌이 없을 것이니 너희는 나에게 원망을 〈보이는 일이〉 없도록 하라는 것이다.
의 [言我]에서 [用之]까지
正義曰나라 사람이 의 조정에 뽑혀 있었던 것은 이 있는 자가 임용되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도 역시 나라를 본받아서 오직 이 있는 사람만을 쓰고 있을 뿐이니, 너희에게 덕만 있다면 내가 반드시 임용할 것이다.
그러므로 내가 전번에 감히 너희 덕이 있는 사람들을 저 天邑의 도읍에서 구한 것은 장차 임용하려 한 것이다.”라고 말한 것이다. 鄭玄은 “‘天邑商’이라 말한 것도 또한 본시 하늘이 세운 것이다.”라고 하고,
王肅은 “이 지금 우리의 天邑이 되었음을 말한 것이다.”라고 하였으니, 둘의 경우, 그 말이 비록 다르나 모두 ‘天邑商’을 나라의 舊都로 삼은 것이다. 아직 옮기기 전에 응당 구해 갔으니, 옮긴 뒤에 덕이 있으면 임용할 것은 필연적임을 말한 것이다.
의 [惟我]에서 [天命]까지
正義曰:‘循殷故事’의 이 ‘’자는 經文 중의 ‘’자를 풀이한 것이니, 나라가 나라 사람을 임용하였으므로 나도 또한 나라 사람을 임용할 것임을 이른 것이다.
憐湣汝 故徙之敎汝’의 이 ‘’자는 뜻을 풀이한 말이니, 經文 중의 ‘’자가 아니다. 너희들을 서쪽으로 옮겨 온 것은 나의 罪咎가 아니고 바로 하늘의 명령이란 것이다.


역주
역주1 今爾其曰……在百僚 : 蔡傳은 “周公이 이미 商나라가 夏나라의 천명을 고친 일을 들어 頑民들을 개유하니, 頑民들은 다시 商나라가 夏나라의 천명을 고친 일을 가지고 周나라를 나무라기를 ‘商나라가 夏나라의 천명을 고친 초기에는 모든 夏나라의 士들을 계도하고 선발하여 商나라 王의 조정에 두니, 그들은 일을 맡아 百僚의 사이에 나열되어 있었는데, 지금 周나라는 商나라의 士들에 대하여 선발한 바가 있다는 말을 듣지 못했다.’고 하였다.[周公 旣擧商革夏事 以諭頑民 頑民 復以商革夏事 責周 謂商革夏命之初 凡夏之士 皆啓迪簡拔 在商王之庭 有服 列于百僚之間 今周於商士 未聞有所簡拔也]”라고 풀이하였다.
역주2 迪簡 : 蘇軾은 ‘迪’은 道, ‘簡’은 選用의 뜻으로, 林之奇와 呂祖謙은 ‘迪’은 啓迪, ‘簡’은 選擇의 뜻으로 보았는데, 蔡傳은 林之奇와 呂祖謙을 따랐다.
역주3 天邑商 : 鄭玄은 “‘天邑商’이란 것도 본래 하늘이 세운 것이다.[天邑商者 亦本天之所建]”로, 王肅은 “商나라는 지금 우리의 天邑이 되었다.[商今爲我之天邑]”로 보았고, 呂祖謙은 “‘商’을 외려 ‘天邑’이라 이른 것은 그 땅이 옛날 천자의 도읍지였으므로 응당 賢德한 이가 많았을 터이고, ‘감히 구한다’는 것 또한 어진 이를 공경하는 뜻이니, 그 일을 중히 여겨서 그 말을 경건하게 한 것이다.[商猶謂之天邑者 蓋言其地舊爲天子之都 理當富於賢德 敢求亦敬賢之意 重其事而敬其辭]”라고 하였다.
역주4 予惟率肆矜爾 : 兪樾(≪群經平議≫)은 ‘率’은 用의 뜻으로, ‘肆’는 어조사로 보아 “‘予惟率肆矜爾’는 나는 너희들을 애처롭게 여겨서라는 뜻인데, 枚傳에서 ‘率肆’를 ‘殷나라의 故事에 따라’라고 풀이하였으니, 그 〈經의〉 뜻을 잃은 것이다.[予惟率肆矜爾者 予惟率矜爾也 枚傳解率肆爲循殷故事 失其義矣]”라고 하였다.
역주5 (是以) : 孔傳에 의거하여 ‘今徙’ 앞으로 옮겼다.
역주6 (安而) : 저본에는 있으나, 孔傳에 의거하여 衍文으로 처리하였다.
역주7 (往)[汝] : 저본에는 ‘往’으로 되어 있으나, 宋刊 單疏本에 의거하여 ‘汝’로 바로잡았다.
역주8 (惟是)[我惟] : 저본에는 ‘惟是’로 되어 있으나, 孔傳에 의거하여 ‘我惟’로 바로잡았다. 아래도 같다.
역주9 (朕) : 저본에는 있으나, 문의로 보아 衍字로 처리하였다.

상서정의(5)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