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5)

상서정의(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傳]言汝衆士 當是我 勿非我也 我乃有敎誨之言이어든 則汝所當居行이라
[疏]‘王曰又’至‘攸居’
○正義曰:王之所云, 又復稱曰 “汝當是我, 勿非我也. 我乃有敎誨之言, 則汝所當居行之.”
[疏]○傳‘言汝’至‘居行’
○正義曰:王以誨之已終, 故戒之云 “汝當是我, 勿非我.
旣不非我, 我乃有敎誨汝之言, 則汝所當居行.” 令其居於心而行用之. 鄭玄論語注云“或之言有.” 此亦‘或’, 爲有也.
凡言‘王曰’, 皆是史官錄辭, 非王語也. 今史錄稱王之言曰, 以前事未終, 故言‘又曰’也.


은 말씀하고 또 말씀하였다. “이에 내가 혹 교훈의 말을 함이 있거든 너희들은 마음에 간직해야 한다.”
너희 여러 들은 응당 나를 옳게 여겨야 하고 나를 그르게 여기지 말아야 한다. 내가 교훈의 말을 함이 있거든 너희들은 응당 마음에 간직하여 행해야 한다고 말한 것이다.
의 [王曰又]에서 [攸居]까지
正義曰의 이른 것을 또 다시 일컬어 “너는 응당 나를 옳게 여겨야 하고 나를 그르게 여기지 말아야 한다. 내가 교훈의 말을 함이 있거든 너희들은 응당 마음에 간직하여 행해야 한다.”라고 한 것이다.
의 [言汝]에서 [居行]까지
正義曰은 교훈이 이미 끝났기 때문에 경계하기를 “너는 응당 나를 옳게 여겨야 하고 나를 그르게 여기지 말아야 한다.
이미 나를 그르게 여기지 않을진댄 내가 너희들에게 교훈의 말을 함이 있거든 너희들은 응당 마음에 간직하여 행해야 한다.”라고 하였으니, 그들로 하여금 마음에 간직하여 行用하게 한 것이다. 鄭玄이 단 ≪論語≫의 에 “‘’이란 말은 의 뜻이다.”라고 하였으니, 여기의 ‘’자도 의 뜻으로 보아야 한다.
무릇 ‘王曰’이라 말한 것은 모두가 바로 史官이 기록한 말이고, 의 말이 아니다. 지금 史官의 말로 기록해 칭해 이르되, 앞의 일이 끝나지 못했기 때문에 ‘又曰’이라고 말한 것이다.


역주
역주1 王曰……爾攸居 : 蔡傳은 ‘居’를 居處의 뜻으로 보아 “‘王曰’의 아래에 응당 缺文이 있을 것이니, 〈多方〉의 끝에 있는 ‘王曰’과 ‘又曰’로 미루어보면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내가 혹 말하는 바가 있는 것은 모두 너희들의 居止를 염려해서이다.’라고 하였으니, 이는 윗글에 있는 ‘爾居(너희들은 편안히 거주하여)’의 뜻을 거듭 맺은 것이다.[王曰之下 當有缺文 以多方篇末王曰又曰 推之 可見 時我或有所言 皆以爾之所居止爲念也 申結上文爾居之意]”라고 풀이하였다.

상서정의(5)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