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5)

상서정의(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此厥不聽 人乃或譸張爲幻하여 曰小人怨汝詈汝커든 則信之
[傳]此其不聽中正之君 有人誑惑之하니 言小人怨憾詛詈汝 則信受之
則若時하면 不永念厥辟이며 不寬綽厥心하여
[傳]則如是信讒者 不長念其爲君之道 不寬緩其心이라 言含怒
亂罰無罪하고 殺無辜하니 怨有同하여 是叢于厥身이니다
[傳]信讒含怒하여 罰殺無罪하니 則天下同怨讐之하여 叢聚於其身이라
[疏]‘此厥’至‘厥身’
○正義曰:此其不聽中正之人, 乃有欺誑爲幻惑以告之曰 “小人怨汝詈汝.” 不原其本情, 則信受之,
則知是信讒者, 不長念其爲君之道, 不審虛實, 不能寬緩其心, 而徑卽含怒於人. 是亂其正法, 罰無, 殺無辜.
罰殺欲以止怨, 乃令人怨益甚, 天下之民有同怨君, 令怨惡聚於其身. 言褊急使民之怨若是, 敎成王勿學此也.
[疏]○傳‘則如’至‘含怒’
○正義曰:君人者察獄必審其虛實, 然後加罪. ‘不長念其爲君之道’, 謂不審察虛實也,
‘不寬緩其心’, 言徑卽含怒也. 王肅讀‘辟’爲辟, - 扶亦反.- “不長念其刑辟, 不當加無罪也.”


그 〈中正한 사람의 말을〉 듣지 않는 〈임금은〉 사람이 혹 속이거나 현혹시켜서 ‘小人이 당신을 원망하고 당신을 꾸짖는다.’고 하거든 그 말을 믿었으니,
中正〈한 사람의 말〉을 듣지 않는 임금은 사람이 속이거나 현혹시킨다는 것이니, 소민이 당신을 원망하고 꾸짖는다고 말하면 믿고 받아들인다.
이와 같으면 임금 된 도리를 길이 생각하지 않으며 마음을 너그럽게 가지지 아니하여,
이와 같이 참소를 믿는 자는 그 임금 된 도리를 길게 생각하지 아니하며 그 마음을 너그럽게 가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노여움을 머금음을 말한다.
죄 없는 사람을 어지럽게 형벌에 처하고 무고한 사람을 죽었으니, 〈온 천하가〉 함께 원망하여 〈그 원망들이〉 한 몸에 집중되었습니다.”
참소를 믿고 노여움을 머금어 죄 없는 사람을 처벌하거나 죽였으니, 온 천하 사람들이 함께 원망하고 원수로 여기어 원성이 그 한 몸에 집중되었다는 것이다.
의 [此厥]에서 [厥身]까지
正義曰:그 中正〈한 사람의 말〉을 듣지 않는 사람은 속이고 현혹시키는 자가 있어 고하기를 “소민이 당신을 원망하고 당신을 꾸짖는다.”라고 하면 그 본의가 무엇인지 깊이 살펴보지도 않은 채 믿고 받아들이니,
‘이와 같이 참소를 믿는 자는 그 임금된 도리를 길게 생각하지 아니하며 虛實을 살피지 아니하며 능히 그 마음을 너그럽게 가지지 않고 지레 곧 사람에 대해 노여움을 머금는다.’는 점을 〈孔安國은〉 알았던 것이다. 이것이 바로 그 正法을 어지럽혀 무죄한 사람을 처벌하고 무고한 사람을 죽이는 것이다.
처벌과 죽임으로 원한을 그치게 하려고 하나, 이에 사람으로 하여금 원한이 더욱 심해져서 천하의 백성들이 다 함께 임금을 원망하게 만들어 怨惡이 몸에 집중되도록 한 것이다. 급한 성질이 백성의 원한을 이와 같게 만든 점을 말하여 成王으로 하여금 이런 것을 배우지 말도록 한 것이다.
의 [則如]에서 [含怒]까지
正義曰:임금은 獄事를 살필 때에 반드시 그 虛實을 깊이 살펴본 연후에 죄를 가해야 하는 것이다. ‘不長念其爲君之道’는 虛實을 살피지 않음을 이르고,
不寬緩其心’은 지레 곧 노여움을 머금음을 말한다. 王肅은 ‘’을 (벽)의 뜻으로 읽어서 - 〈은〉 反切音이다. - “刑辟을 길게 생각하지 아니하여 無罪한 사람에게 가하는 것은 마땅치 않은 일이다.”라고 하였다.


역주
역주1 [罪] : 저본에는 없으나, 宋刊 單疏本에 의거하여 ‘罪’를 보충하였다.

상서정의(5)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