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5)

상서정의(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嗚呼 하라 我亦不敢寧于上帝命이니라
[傳]歎而言曰 君 當是我之留하라 我亦不敢安于上天之命이라 不敢不留
弗永遠念天威하고 越我民罔尤違
[傳]言君不長遠念天之威하고 而勤化於我民하여 使無過違之闕이라
在我後嗣子孫어늘 大弗克恭上下하여 遏佚前人光인댄 在家不知니라
[傳]惟衆人 共存在我後嗣子孫이어늘 若大不能恭承天地하여 絶失先王光大之道인댄 我老在家 則不得知니라


아, 아! 나의 〈머묾을〉 옳게 여기도록 하라. 나 또한 감히 上帝을 안정한 것으로 여기지 않는다.
탄식하고 나서 말하기를 “아! 마땅히 나의 머묾을 옳게 여기도록 하라. 나 또한 감히 上天을 안정한 것으로 여기지 않기 때문에 감히 머물지 않을 수 없다.”라고 한 것이다.
하늘의 위엄을 길이 생각하고 우리 백성들이 과오로 법을 어기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하지 않는가.
은 하늘의 위엄을 길이 생각하고 우리 백성들을 부지런히 교화하여 과오로 법을 어기는 잘못이 없도록 해야 하지 않는가라고 말한 것이다.
사람들은 모두 우리 後嗣의 자손에게 관심을 가지는데, 〈嗣王이 만일〉 크게 능히 天地를 공손히 받들지 않아, 先王光大를 실추시킬 경우, 우리가 만약 집에 있게 되면 그것을 알 수 없을 것이다.
여러 사람들은 모두 우리 後嗣의 자손에게 관심을 가지는데, 〈嗣王이〉 만일 크게 능히 天地를 공손히 받들지 않아, 先王光大를 실추시킬 경우, 우리가 늙어서 집에 있게 된다면 그것을 알 수 없을 것이란 말이다.


역주
역주1 君已曰時我 : 蔡傳은 ‘君’은 그대, ‘已’는 旣, ‘時’는 是, ‘我’는 우리의 뜻으로 보아, “아! 그대가 전에 이미 ‘〈小民을 공경하고 天命을 기원하는〉 바로 이 일은 우리들에게 달려 있다.’ 말했다.”라고 풀이하였다.
역주2 (也)[已] : 저본에는 ‘也’로 되어 있으나, “‘也’는 古本‧岳本‧宋板本‧≪纂傳≫에 모두 ‘已’로 되어 있으니, 疏와 부합한다.”라고 한 阮元의 校勘記에 의거하여 ‘已’로 바로잡았다.
역주3 君已……在家不知 : 蔡傳은 ‘尤’는 怨, ‘違’는 背의 뜻으로 보고 ‘已’자를 아랫句에 붙여서 “召公이 일찍이 이미 말하기를 ‘〈백성을 공경하여 천명을 기원하는〉 이 일은 우리들에게 달려 있을 뿐이다.’라고 하기에 周公이 이르기를 ‘우리들은 또한 〈천명은 무상한 것인데,〉 감히 구차하게 천명을 안정한 것으로만 여기고서, 하늘의 위엄이 무서운 것과 백성들에게 원망하고 위배하는 때가 없도록 하는 것을 길이 생각하지 않을 수 없는데, 천명과 인심은 거취가 일정하지 아니하여 실로 지도하는 사람에게 달려 있을 뿐이다.’라고 하였다. 그런데 지금 召公이 전에 한 말을 잊고 훌쩍 떠나가기를 구하니, 가사 우리 後嗣의 자손에 있어서 크게 능히 하늘과 백성을 공경하지 않고 교만과 사치를 부려 文王과 武王의 光明한 德을 끊어 실추시킨다면 집에 물러가 있다고 모른 체 할 수 있겠는가.[召公已嘗曰 是在我而已 周公謂我亦不敢苟安天命 而不永遠念天之威 於我民 無尤怨背違之時也 天命民心去就無常 實惟在人而已 今召公乃忘前日之言 飜然求去 使在我後嗣子孫 大不能敬天敬民 驕慢肆侈 遏絶佚墜文武光顯 可得謂在家而不知乎]”라고 풀이하였다.
역주4 惟人 : 孔傳은 아랫句에 붙여서 읽고, 蔡傳은 윗句에 붙여서 읽었는데, 丁若鏞(≪尙書知遠錄≫)은 “‘惟人’은 마땅히 아랫句에 붙여야 한다.[惟人當屬下句]”라고 하였다.

상서정의(5)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